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동차 수동운전 하시는분 계실까요?

언제쯤 조회수 : 3,249
작성일 : 2014-09-20 07:07:39
안녕하세요
10년전에 오토로 운전면허를 취득했지만 흔히들 얘기하는 장롱면허입니다.
사는곳이 유럽이고 차가 수동이어서 운전 배우는것을 미루고 있다가 다시 운전을 배우려고 합니다.
며칠전에 남편과 운전연습을 해봤는데 면허 취득할때만 운전하고서는 처음인지라(오토도 쉽지 않은데) 수동으로 운전을 배우려니 정신이 하나도 없습니다. 
다음에 한국에 가게 되면 일단 장내기능만 연습해오라고 하는데 운전에 대한 겁이 많은편이라 한숨이 나옵니다.
(아직 영어만 하기때문에 이곳에 있는 학원에 가기엔 무리입니다)

제 생각은 오토운전에 적응이 된 상태에서 수동운전을 배우면 좀 나을꺼 같은데
남편은 백지인 상태니까 지금부터 바로 수동으로 배우는게 나을꺼 라고 합니다.

수동운전자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IP : 31.39.xxx.156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행복한 집
    '14.9.20 7:10 AM (125.184.xxx.28)

    암편말씀에 동감이요.
    오토로 하게되면 수동이 힘들어서 익힐수가 없어요.
    수동은 발로 기어를 넣어주면서 기어변속을 하는건데요
    힘드셔도 처음부터 수동 배우고 오토 들어가시는게 운전을 다양하게 하실수 있어요.

  • 2. ..
    '14.9.20 7:34 AM (211.208.xxx.144) - 삭제된댓글

    수동으로 운전하다가 오토로 하니까 발과 손이 넘 편하고 좋은거예요.^^
    그 반대였으면 운전하기가 더 겁났을 것 같아요.
    운전은 하다 보면 재미납니다.
    수동운전하면서 발과 손이 같이 움직이니 머리가 좋아진다 체면을 걸면서 했네요.ㅋ

  • 3. 사람에 따라
    '14.9.20 7:57 AM (98.217.xxx.116)

    수동을 하겠다고 하면 도저히 벽을 넘지 못하교 영영 운전 못하시는 분도 계시더라고요. 특히 기계치이신 분들.

    자동으로 먼저 운전 익힌 뒤에, 나중에 필요하면 (영영 필요 안할 수도 있습니다.) 수동 익히면 됩니다.

  • 4. 사람에 따라
    '14.9.20 7:57 AM (98.217.xxx.116)

    저는 지금 수동차 씁니다.

  • 5. 사람에 따라
    '14.9.20 8:01 AM (98.217.xxx.116)

    또 한 가지 문제는 자동차라는 분야가 남성 중심이었는데 남자 평균키보다 여자 평균키가 작자요. 수동은 클러치 때문에 운전대에 더 가까이 앉게 되는데, 에어백 때문에 핸들과 최소 25센치미터 거리 유지가 되는 가 보세요.

    차종에 따라 클러치 페달이 더 깊숙이 들어가서 운전자가 더 가까이 앉아야 되기도 합니다.

    원글님 키가 어느 정도 크시면 별 문제가 안 되는 것이긴 합니다.

  • 6. albireo
    '14.9.20 8:05 AM (110.13.xxx.19)

    저 나름 기계 잘 다루는데 오토 5년쯤 타다 수동으로 차 바꾸고 이틀만에 상사 모시고 10분 거리 출장가다 시동 5번 꺼트렸어요..ㅠ.ㅠ
    일단 시동 꺼지는 민감한 정도가 차마다 다르니까 저도 차와 사람의 적응 문제이지 운전 숙련 정도와의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핸들감이나 주차실력(전 이게 초보와 초보가 아닌점의 차이라고 생각해요.)은 좋겠지만 수동의 가장 큰 문제는 저속주행시 시동꺼트리지 않는 것과 오르막에서 정차 후 출발이니까 이것만 익히시고 천천히 숙련시키면 될 듯 해요.

  • 7. %%%
    '14.9.20 8:26 AM (98.217.xxx.116)

    "일단 시동 꺼지는 민감한 정도가 차마다 다르니까 "

    맞아요. 그런 게 있어요. 컨슈머리포츠에서도 VW 2.0 TDI가 시동 꺼뜨리기 쉽다고 나왔는데, 제가 타봤을 때도 그랬고, 딜러 직원이 시동 꺼뜨리는 것도 봤습니다. 차 매니아 웹사이트에도 그런 글이 나오는데, 그 차를 사서 적응을 하니 괜찮아졌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오르막길의 경우는 제 차는 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마치 옛날 수동차 몰 때 오르막길에서 출발할 때 핸드브레이크 사용하는 것이 자동으로 됩니다. 컴퓨터가 경사진 것을 알아차리고 차가 지 혼자 알아서 살짝 브레이크를 밟고 있습니다.

    그럼 제 발이 브레이크 페달에서 가속페달로 옮겨지는 사이에 차가 뒤로 밀려 내려가지 않습니다.

  • 8. ..
    '14.9.20 8:53 AM (175.223.xxx.214)

    유럽이시면 길안막히고 길 좋지않나요? 그렇다연 조금만 익숙해지면 수동이나 자동이나 별 차이 없을 듯 해요. 가다서다 할때 짜증나고 간혹 시동꺼지고, 경사로에서 뒤로 밀리는 것 때문에 위험한데요..차에 익숙해지면 시동꺼질일 거의 없어요. 경사로만 연습충분히 하셔요. 저는 스무살때부터 수동운전 10년한 아줌마입니다.전혀 어렵지않아요.

  • 9. 수동으로
    '14.9.20 9:14 AM (112.170.xxx.132)

    수동으로 바로 배우시는게 낫습니다.
    오토로 조금배우다 수동하려면 겨우 익숙해지려는 습관에 새로 뭔가 교정해야하니까 더 헷갈릴꺼에요.
    수동으로 손에익히고 오토는 그냥 껌입니다...놀이동산 범퍼카 모는거 같아요.

    마치 자전거 배워야하는데 일단 세발자전거로 익숙해지고 배우겠다는거랑 비슷한 느낌이랄까요.

    그나마 유럽사람들은 느긋하니까...저도 수동 10년몰고 자동 10년째인데, 다 잊어버려서
    얼마전 유럽에서 차를 렌트했더니 수동을 주더군요. 교차로 한복판에서 시동을 몇번을 꺼뜨렸는데,
    빵빵대는 사람이 없더라구요. 울나라같았음 ㅎㅎㅎㅎ
    그래도 신기한게 몸에 익힌것은 금방 돌아오더군요. 주변에 자동만 20년 몬 친구있는데 수동 못합니다.

    느긋한 마음으로 배우세요. 뒤에서 욕해도 니가 급하면 날 뛰어넘어 가던지라는 마음으로...

  • 10. ,,,
    '14.9.20 9:24 AM (1.246.xxx.108)

    수동으로하다 오토로하니 신세계입니다
    오토하던사람은 수동 잘 못한다고 하더군요

  • 11. ~~~
    '14.9.20 10:29 AM (175.223.xxx.113) - 삭제된댓글

    유럽에 계속 살려면 수동 배우셔야겠네요.
    그리고 심한 경사로에서 핸드브레이크 사용하면 아주 유용하니 그것도 꼬~옥(!) 익히시길 바래요.

  • 12. 근데
    '14.9.20 10:47 AM (116.41.xxx.227) - 삭제된댓글

    2종 자동 면허로는 수동을 몰 수 없다고 알고 있어요.
    연습만 하는게 아니라 수동으로 면허 다시 따셔야 해요.

  • 13. 또마띠또
    '14.9.20 1:33 PM (112.151.xxx.71)

    저는 첨부터 수동으로 배웠고 13년째 수동차만 모는데요.
    처음부터 수동 몰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첨엔 정신하나도 없어서 따로 교습을 받으셔야 되고요. 익숙해지면 별 문제 없어요.의식안해도 그냥 손에 익은대로 막 움직여요., 신기신기

    저땜에 제 여동생도 수동으로 시작했는데(면허따고 제차로 연습) 굳이 수동 할 줄 아는데 오토 차 안사더라고요. 회사 주차장에 이중주차 해놓으면 지차 아무도 못뺀다고....(요새 아무도 수동 안모니까)

    사람들이 제차 타면 깜짝 놀래요. 남자는 스틱이죠~! 라고 말합니다(저는 여자)

  • 14. 언제쯤
    '14.9.20 4:15 PM (31.39.xxx.156)

    답글 달아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그리고 핸드 브레이크 잊지 않겠습니다!
    "근데" 님 말씀이 맞아요. 면허증 다시 따야해서 연습하고 있습니다. 여기 올줄 알았다면 처음부터
    수동운전으로 따는건데 후회가...

    궁금한점이 있는데 클러치 밟을때 발뒷꿈치 때고 밟으세요?
    저는 붙이고 밟았는데 운전하는 법 찾으니까 뒷꿈치 때고 밟아야 한다고 나와서요
    익숙해지면야 괜찮겠지만 초보다 보니 클러치 밟는 위치 못찾을까봐 자꾸 뒷꿈치를 붙이게 되요

  • 15. 제 차의 경우
    '14.9.20 10:15 PM (98.217.xxx.116)

    클러치 페달이 상당히 깊이 들어가서 발 뒤끔치가 바닥에 고정된 상테에서는 끝까지 밟는 것이 아예 불가능합니다.

    클러치를 밟지 않을 때는 풋 레스트에 발은 놓으세요. 풋레스트가 편하기도 하고, 급커브 틀 때에 풋레스트를 발로 밀어서 상체를 의자에 밀착하여 몸이 의자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도 합니다.

    힐 홀드 기능이 있는 차는 핸드브레이크 기법을 컴퓨터가 알아서 해 주는데요, 요즘 차들이 ESP (ESC) 등 차가 알아서 브레이크 밟는 기능이 어차피 있기 때문에 힐 홀드 기능을 추가하는데 별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가의 차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경사진 곳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다가 발을 떼 보세요. 발 뗀 후에도 브레이크가 잠시동안 계속 걸려있는 것을 느끼실 것입니다.



    전세계의 여성운전자와 미국의 많은 남성운전자가 앉는 잘못된 앉는 방식이 있는데 원글님도 그런 식으로 앉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클러치를 (클러치 없는 차의 경우 시동 걸고 브레이크 페달) 끝까지 밞았을 때 꼬리뼈가 의자에 밀착되는 압력을 느낄 수 있을 만큼 의자가 페달쪽으로 가까이 있어야 하고,

    오른 손으로 핸들 9시 반, 또는 외손으로 핸들 2시 반을 잡고 밀었을 때 윗쪽 등이 의자를 미는 압력을 느낄 정도로 의자가 핸들 쪽으로 가까이 있어야 합니다.

    이는 돌발 상황 대응 능력을 위한 것이고, 우리 나라에서도 텔레비전 프로에 교통사고 관련 전문가, 레이스 드라이버 등이 나와서 안내해 주기도 했던 내용입니다.

    (그런데 많은 미국 자동차 테스터들이 엉덩이르 앞으로 쭉 빼고 의자를 뒤로 심히 제낀 잘못된 방싱으로 앉은 비데오를 내보내어 대중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고 있습니다. 영국의 Carbuyer 비데오를 보시면 테스터가 운전석에 앉는 경우와 뒷좌석에 앉는 경우 모두, 미국의 비데오에서 미국 테스터들이 앉는 것과 심하게 다른 방식으로 앉는 것이 눈에 띄는데, 미국 비데오들이 잘못된 것입니다.)

    그렇게 앚았을 때 핸들과 너무 가까워져서 에어백으로 인한 부상이 우려되면, 그 차종 수동기어는 포기하셔야 합니다. 핸들 위치를 앞뒤 방향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면 잘 활용하세요. 미국 정부에서 핸들과 얼굴 거리를 8인치인지 10인치인지 (둘 중 어느 것인지 정확히 기억이 안 나네요) 확보하라고 하던 때가 있었는데, 지금은 구체적인 거리 기준 수치는 없으나 적정 거리를 확보하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안전벨트 높이 조절하는 것도 차에 있다면 잘 활용하세요. 벨트가 너무 어깨 바깥쪽으로, 혹은 너무 목 쪽으로 지나가지 않게 조절하는 것입니다.

  • 16. ...
    '14.9.21 1:45 AM (119.148.xxx.181)

    수동하고 자동하고 처음에 운전 배울 때 천지차이에요.
    수동 배우다 자동 해보면 신세계...
    그런데 자동 먼저 배우고 수동 배우려고 하면 그냥 운전 포기 할 수도...

    얼마전에 이탈리아에서 렌트 하느라 정말 오랫만에 수동 운전 해봤는데요.
    요즘 수동은 시동 꺼져도 저절로 다시 들어오고 그러던데요?
    옛날 수동과는 많이 다르더라구요..

  • 17. 언제쯤
    '14.9.21 5:00 AM (31.39.xxx.156)

    지금 배워보니 자동운전이 신세계 였다는게 실감이 나네요
    수동운전 너무 어려워요.

    116님 전문가이신가봐요. 님 말씀대로 오토 운전할때엔 운전대에 이렇게 가까이 앉아본적이 없는데 바싹 붙어 앉게 되더라구요. 키가 170대이고 다리길이도 보통인데 클러치 밟으려니까 그렇게 밖에 할수가 없었서 수동운전 하시는 분들 다 이런건가 했었네요. 풋레스트 및 자세의 중요성 배우고 갑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0841 본문 ㅍ할게요 99 .. 2014/09/26 9,529
420840 아이가 자라는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면서... 14 여자들의세계.. 2014/09/26 3,320
420839 덕이지구 하이파크 사는분 계신가요? 2 이사고민 2014/09/26 982
420838 시계 약 갈때 흠집 나는 거 당연한건가요? 10 djdldj.. 2014/09/26 1,586
420837 대학생 딸과 마닐라 여행 15 뭉게구름 2014/09/26 2,091
420836 경영학과 면접을 보는데요 4 한림대 2014/09/26 1,082
420835 내일 도심서 대규모 집회.. 도로혼잡 예상 ㅠㅠ 내일 바자회 가.. 3 .. 2014/09/26 1,351
420834 갈비찜 레시피 추천 부탁드려요 3 추천 2014/09/26 946
420833 유가족을 폭행한 혐의로 목격자 입건 5 ... 2014/09/26 1,081
420832 개목줄좀 하고 다니세요 놀랬더니 놀란다고 뭐라구하네요 8 목줄 2014/09/26 1,677
420831 [원전]경주원전방폐장, 7.0 지진 일어날 수도 1 참맛 2014/09/26 764
420830 발레리노 소개팅 글 보고 검색해본 발레리노의 생활 3 발레 2014/09/26 5,734
420829 단원고 시연이 음원 산사람이 100명도 안된다고 합니다 ㅜㅜ 27 2014/09/26 2,637
420828 급) 수두증(뇌수종)입니다. 병원 추천 좀 해주세요 2 ^^ 2014/09/26 1,621
420827 민동기-김용민의 미디어 토크(9.26) - 막가는 TV조선 이대.. lowsim.. 2014/09/26 441
420826 아이허브 두피샴푸 젤 괜찮은제품??? 2 ... 2014/09/26 2,568
420825 쇠비름...생리촉진시키나요? 3 dma 2014/09/26 1,148
420824 변비에 시달리더니, 무슨 다이어트 제제를 사달라는 딸 9 이거 2014/09/26 1,062
420823 박태환 이놈이 눈물을 쏙 빼주네요 56 조작국가 2014/09/26 16,279
420822 인생의 봄날이 다시 오겠느냐고 물었던 사람입니다. 4 ... 2014/09/26 1,540
420821 20년 전 좋아했던 동아리 후배가 결혼하는데(본문삭제 11 옛생각 2014/09/26 2,794
420820 혹시 기계공학 하고 전자공학 공부하신 분 있나요? 4 엄마 2014/09/26 1,534
420819 열무김치 만들어서 김냉에 넣으면 누렇게 되요.ㅠㅠ 4 3번 망침 2014/09/26 1,363
420818 아래 글보니 공부방 수입이 상당하네요 9 공부방 2014/09/26 10,803
420817 아주버님땜에 스트레스에요.. 13 .. 2014/09/26 5,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