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초5여아 연산실수 어떻게 잡나요? 도움이 절실합니다.

궁금이 조회수 : 3,168
작성일 : 2014-09-17 14:43:54

제 딸이 초등5학년입니다.

얼마 전까지 학원을 보내다가 9월부터 아이와 상의 끝에 모든 학원을 다 중단하고 집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저희 집의 경우엔 아이가 학원 가는 것을 싫어해서 중단한 것이 아니라, 학원을 가든 안 가든 수학 점수에 큰 변화가 없어서 끊게 되었어요.

학원에서는 1회 수업 후 내주는 숙제양이 꽤 많아서 수학문제를 푸는 양이 많았던 것 좋았는데, 제 딸의 경우 어제 푼 문제를 오늘 보아도 어제 풀었다는 걸 기억하지 못하더군요.

집에서 공부를 하고 나서 발견한 가장 큰 문제점은 아이의 연산력이 말도 못하게 약하다는 것입니다.

6세부터 초3까지 눈높이 수학을 했어요.

연산 속도는 빠른 편이었고 정확성도 있는 편이라고 생각했는데,

집에서 아이가 풀어놓은 문제집 채점해주며 충격 먹었어요.

어려운 식을 다 세워놓고 기본 사칙연산에서 실수가 어마어마해요.

예를 들어 16*2를 38, 5*5를 15 이렇게 써놓기도 하고요.

등식의 같은 쪽에 있는 분수의 분자끼리 약분하기도 하고...

하루에 푸는 문제양은 5장 정도입니다. 문제집 수준은 5-2 문제집 중에서 난이도 있는 걸 위주로 풀고 있구요. 6학년 선행을 나갔는데, 진도만 나간거지 아이가 잘 이해하지 못한 부분도 많은 걸로 생각하고 있어요.

지금 저의 고민은 어찌보면 단순합니다.

어떻게 하면 아이의 연산 실수를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을까? 입니다.

10문제를 틀리면 7문제가 이런 류의 단순 연산 실수이니 상황이 너무 심각합니다.

반면에, 연산력만 길러진다면, 쉽게 점수를 올릴 수 있는 돌파구가 될 것이구요.

기적의 계산법 문제집을 하루에 일정량 풀리면 어떨까?

아니면 구몬이나 눈높이 같은 학습지를 다시 시작해야 할까?

고민이 많네요.

82에도 수학, 연산으로 고민하시는 선배 동료 엄마들도 많으실거고

또 전문적으로 수학을 가르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정말 아주 작은 의견이나 조언도 지금 저에겐 너무 소중하답니다.

댓글 많이 달아주셔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IP : 114.206.xxx.5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4.9.17 2:50 PM (211.237.xxx.35)

    고3딸이 이과인데 언젠가 그러더군요.
    수학은 암기과목이라고..
    고2 고3때 담임선생님이 같은 분이고 수학선생님인데..
    전국탑권안에 들정도의 수학실력이 있는 분이래요. 그분도 그러셨대요
    자기가 수학을 잘하게 된 계기는 수학문제를 외워서라고요.
    이게 무슨 뜻이냐면..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이 풀어보면 관련 문제를 외우다시피 하게 된다는거죠.
    식도 답도 다 외워진대요.
    전 수학을 잘 못해서 이해가 잘 안되지만, 그말을 듣고보니 대략 끊임없이 많이 풀어라 라는말인것 같아요.

  • 2. ^^
    '14.9.17 2:53 PM (114.206.xxx.57)

    저도 잘 모르지만, 그게 바로 유형을 익히고 풀이를 이해하는 것일듯해요.
    근데 저희 딸래미는 어제 풀었던 아주 특별한 유형의 문제가 다음날 바로 또 나왔는데, 전혀 새로운 문제를 대하듯 하더라구요.

    그런데, 연산도 아주 약간은 암기가 들어있을 수 있지만, 모든 연산을 다 외울 수는 없는건데...
    기본적인 연산능력을 어떻게 키워주면 좋을지 고민입니다.

  • 3. ............
    '14.9.17 2:54 PM (1.251.xxx.56)

    지금보다 한단계 더 쉽게 풀게 해보세요.
    매일 풀리시고 완전히 마스터했음을 3일이상 확인후에 그 다음단계로 넘어가게 해보세요.
    천천히 연산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 4. 부족한 연산만
    '14.9.17 3:26 PM (121.145.xxx.107)

    체계적으로 훈련하도록 만들어진 책이 있어요.
    앞부분에 테스트 문제 있고요.

    부족한분야 다시 집어서 개념도 다시 정리하면서 풀게하세요.
    책에는 일주일 완성. 이런식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아이 상황에 맞게
    양조절해서 하면 됩니다.

  • 5. 어린 애들은
    '14.9.17 3:45 PM (119.203.xxx.37)

    수학 문제 푸는거 옆에서 지켜봐야 문제점을 바로 잡을수 있는데
    현재 같은 경우 따님은 아마 문제 풀기 싫어서 대강 풀기 때문에
    연산 실수가 많을 거예요
    수학을 재미로 느끼고 스스로 잘하고 싶다는 마음을 먹어볼수 없게
    늘 진도와 목표와 점수가 책정되고
    자기는 그냥 엄마가 하라는대로 해왔는데 어느순간
    수학이 재미없고 오로지 의무만 남은 경우
    애가 스스로 필요성을 인지 하지 못한채로 평이한 문제만 연습하면 이렇게 되는게 경우도 꽤 있어요
    연산은 어느정도 연습으로 극복이 되기는 하지만
    결국 학년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정답이 나올때까지 집중을 해야 답실수가 없어요
    반복해서 하다보면 푸는 방법은 알기에 자기가 다 안다고 느껴서 흥미는 잃어서 알아가는 거에 대한
    재미는 잃은채로 연산이라는 단순 노동만 하는것 같아 집중을 안하게 되고 잘하고 싶다는 의욕이 없으니
    그냥 수업은 듣고 숙제는 해간다 정도에서 정체를 해서 발전이 안보이는 겁니다
    수학이 어느 정도 레벨올라가면 암기라는건 맞는 소리 이지만
    누구나 이단계에 오르는게 아니에요
    각 문제 하나하나에 정열을 쏟아 다시 보면 에전에 본걸 기억할수 있어야
    유형화가 되는거니 평이한 문제 1000문제 푼다고 다 유형화 할수 있게 되는게 아니거든요
    그래서 그저 무난하기만한 유형화된 전형적인 문제집 선행은 오히려 독이 된다고 하죠
    기술적으로 부족해서 이기도 하지만
    아이 스스로 수학에 흥미를 느끼고 잘하고 싶다는 느낌이 들게
    엄마랑 같이 고민을 해보세요
    기술도 자기가 늘으려고 해야 늘지 무작정 많이 한다고 연속된 계속적 연산을 다 안틀리긴 쉽지 않아요
    차라리 한문제를 풀어도 머리를 많이 써볼수 있게
    안풀리다 풀리는 재미때문에 연산 같은건 힘들다 느껴지지도 않는 그런 문제집을 풀어보도록 해보세요
    창의수학 ..이런걸 병행 하는 이유이기도 하구요
    지친것 같으면 좀 쉬어가게 하세요
    성취감을 맛볼수 있는 기회를 주시구요
    스스로 목표 설정해서 노력할수 있는 일도 만들어 줘보세요
    아무리 어릴지라도 결국 공부가 지가 해야 한다고 생각해야 효과가 있어요

  • 6. ^^
    '14.9.17 4:30 PM (114.206.xxx.57)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지적해 주신 것처럼 아이가 수학 문제를 풀어 정답을 맞췄을 때의 기쁨이나 어렵게 고민한 끝에 실마리를 발견했을 때의 즐거움을 모르네요.
    그렇다고 사교육으로 뺑뺑이 돌린 건 아닌데, 체계적으로 엄마가 끼고 가르치치도 못한 경우입니다.

    이제야 제가 정신이 들어 초등 고학년에서 기초부터 다잡으려니 힘들기도 하지만, 그래도 또 빨리 문제점을 발견하니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어요.

    기적의 계산법 책을 사놓았는데 한번 시간 재서 풀게 해봐야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1879 동치미용 2 동치미 2014/12/03 641
441878 어느 양계장 주인의 넋두리 2 꺾은붓 2014/12/03 863
441877 영어 해석 한문장만 좀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굽신굽신~ 6 영어 어려워.. 2014/12/03 681
441876 청주에 허리 디스크 전문병원좀 알려주세요! 1 추천부탁 2014/12/03 1,526
441875 효자인 남편을 뭐라 할수도 없고, 부부사이는 멀어지고. 18 내가 나쁜가.. 2014/12/03 12,108
441874 고기굽는 자이글 써보신분 ... 후기 알려주세요. 5 자이글..... 2014/12/03 4,043
441873 폭로전으로 번지는 '정윤회 문건'…권력암투 의혹 증폭 外 3 세우실 2014/12/03 1,112
441872 아이폰에 엠피 화일 넣으려고 하는데요 3 ;;;;;;.. 2014/12/03 601
441871 제발 퍼가주세요 // 이자스민의 미친 법 발의됐습니다. 12월 .. 39 대한민국민 2014/12/03 3,255
441870 중등 남아 내복 어떤거 사시나요? 6 내복 2014/12/03 1,009
441869 여기 게시판에 최근 정윤희씨 등 정치관련 글이 확실히 줄었죠??.. 9 제가 변한 .. 2014/12/03 1,217
441868 오늘 같은 날은 뭐하는게 좋나요 9 2014/12/03 1,181
441867 총각김치 몇단이나 사야 할까요? 3 ... 2014/12/03 1,055
441866 인터넷으로 생연어 주문하려고 하는데... 3 별걸다물어 2014/12/03 745
441865 층간소음 사실은 건설사 문제아닌가요? 6 으악 2014/12/03 1,135
441864 아이가 새벽에 검은것이 주방에서 거실쪽으로 지나 11 그라시아 2014/12/03 3,847
441863 이자스민법이 입법예고되었대요! 12 불체아동안됐.. 2014/12/03 2,439
441862 갑자기 스마트폰 시계가 두 시간 빨라졌어요! 1 .. 2014/12/03 859
441861 기본 블랙 일자형 코트..딱 피트되는 것보다 낙낙한게 6 낫겠죠? 2014/12/03 2,250
441860 감사합니다 30 도와주셔용 2014/12/03 3,267
441859 주상복합이 층간소음이 거의 없는게 장점이라고 하는데 9 소음 2014/12/03 4,002
441858 2014년 12월 3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4/12/03 607
441857 외국으로 연수갈 때 돈 얼마나 갖고갈 수 있나요? 10 연수 2014/12/03 1,773
441856 거의 매일 꿈에서 책이 나와요;; 1 .. 2014/12/03 728
441855 자기들 필요할때만 연락하는 친정식구 12 .. 2014/12/03 4,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