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 월차 쉬는 거 쉽게 알려주세요~

이해불가 조회수 : 930
작성일 : 2014-09-16 12:18:54

법인업체에서 근무해요.

 

이제 일년 일했구요, 공휴일은 특별한 일 없으면 거의 쉬어요.

 

제가 다른 곳에 근무했을 때는 월차휴가라 해서

생리때, 혹은 특정한 날 쉬고싶을 때, 월차를 냈거든요.

 

근데 지금 이곳에선

 

그 달에 개천절, 한글날... 이런 공휴일이 있으면

그때 쉬는 거고 

올해 11월달 처럼 평일에 쉬는 날이 없으면

하루 월차를 낼 수 있다는 거에요.  그러니까 10월같은 경우에는

월차를 낼 수 없다는 거죠.

 

보통 이런가요?

 

이런 부분에선 뭐라뭐라 말을 해도 제가 잘 이해가 안가요.

 

오십중반이에요 -.-;;

IP : 183.107.xxx.204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9.16 12:36 PM (183.103.xxx.233)

    노동법에서 휴일로 정하는것은
    근로자의 날과 일요일 뿐이고 나머지는 회사규정에 따라
    공휴일도 휴일이 아닐수 있어요

    님네 회사는 공휴일을 근무일로 정해 놓고
    그때는 무조건 연차로 쉬는걸로 정해 놓은것 같은데
    그렇다면 그렇게 따를수 밖에 없는데요.

    그렇게 하더라도 일년에 연차가 최소 15개가 있으니까
    공휴일이 있는 달에도 연차를 더 사용하고 싶으면
    더 사용하면 돼요. 무조건 1년에 15일은 쉴수 있어요

  • 2. ....
    '14.9.17 4:02 PM (218.234.xxx.94)

    원래 1년 근속하면 연차가 15일 나옵니다. (이거 안주는 회사가 불법)
    즉 2014년 1월 1일부터 근무한 사람은 2015년 1월 1일이 되면 사용할 수 있는 연차가 15일 나오죠.

    그러면 2014년 한해 동안은 여름휴가도 못가고, 멀리 사는 가족이 위독해도 못가보고 회사 출근해야 하느냐..
    그건 아니고요. 이듬해(2015년)의 연차에서 빌려 와서 쓰는 겁니다.

    만일 내가 2014년 여름에 3일 휴가를 갔고, 집안일로 5월, 9월, 11월에 각각 하루씩 월차를 냈다고 하면,
    2015년에 나올 15일의 연차 중 6일을 당겨와서 쓴 거에요.
    그러므로 2015년이 되면, 15일의 연차에서 6일이 빠지고 9일만 남습니다.
    (2015년에 9일 연차 다 쓰고 또 써야 할 일이 있으면 마찬가지로 2016년의 것을 당겨와서 쓰게 되죠..)

    원래 직장인들이 15일 이상 연차를 다 못쓰기 때문에 위와 같이 입사 1~3년 동안은 익년의 연차를 끌어와서
    월차로 대신 써도 여유로울 거에요. (다만 회사 분위기나 상사가 허락을 안할 뿐, 법적으로는 문제 없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4427 깍두기가 안 아삭해요. 3 궁금 2014/11/10 1,665
434426 신랑 자랑 하나씩만 해보시죠. 30 팔불출 2014/11/10 2,922
434425 대리석 식탁 좋은가요? 15 더로마 2014/11/10 6,551
434424 미소된장, 쌀로만든된장? ㅇㄹ 2014/11/10 961
434423 부동산 시세차익 없이 2억에서 5억 9 비법 2014/11/10 5,914
434422 드라마 가족끼리 왜 이래를 꼭 보라는 시어머님 22 . 2014/11/10 4,385
434421 친정에 부모님 모시는 문제 30 이런상황 2014/11/10 6,502
434420 해남사시는 분들.. ... 2014/11/10 1,320
434419 강씨 사건..병원관계자들이 나와주면 좋겠지만 3 이번에 2014/11/10 1,358
434418 물걸레청소기 아너스나 오토비스 10 선택 2014/11/10 3,975
434417 백부상으로 서류문의드려요 3 . 2014/11/10 8,361
434416 새벽에 분명히 모기물렸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흔적도 없네요 ... 2014/11/10 757
434415 율무 끓여먹으면 부작용 있나요 2 .. 2014/11/10 2,331
434414 자식이 마음아프게 할때 어찌들 푸시나요 17 푸름 2014/11/10 4,587
434413 김치 냉장고 조언 좀 해주세요~ 15 ... 2014/11/10 1,799
434412 김장할때 진젓과 액젓의 양대비 같은가요? 1 파랑 2014/11/10 1,558
434411 주@백... 살려고 하는데 어떤가요? 6 마귀할멈 2014/11/10 2,520
434410 법원, 2년 계약직도 기간만료 이유로 함부로 해고못해 세우실 2014/11/10 1,005
434409 결혼했고 집 한채 있고 저도 회사 다녀요. 노후대책? 7 아이 하나 2014/11/10 3,539
434408 점점 더 없어져가요. 4 가을 2014/11/10 2,211
434407 배란/생리 때마다 질 내가 쓰라린데.. 제발 도와주세요.. 프리티카 2014/11/10 1,073
434406 그냥 무 인데 총각무 김치처럼 담가도 될까요? 5 무청달린 작.. 2014/11/10 1,186
434405 서울 근교 가족여행할만한 데가 있을까요? 4 고민 2014/11/10 1,633
434404 절임배추 사다가도 김치담기 어려울까요? 12 정녕 2014/11/10 2,599
434403 늙어가는 부모님과 커가는 아이들을 보다가 답답해지는 기분을 느꼈.. 4 등불 2014/11/10 1,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