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님이 이혼하신 유부님들.. 명절 어떻게 지내시나요?

친정이 스트레스 조회수 : 3,258
작성일 : 2014-09-04 15:13:15


안녕하세요?
날이면 날마다. 명절이면 명절마다 찾아오는 고민이네요. ^^

저희 부모님들은 제가 결혼한이듬해에 이혼을 하셨어요.
물론 계속 살아오시면서 삐걱거리는 결혼생활을 하셨었고..
이혼이 소송까지 가면서 자식들에게 모든 치부를 드러내 보이셨죠.


당시엔 평생 안보고 살아도 되겠다 싶을 정도로 원망스러웠는데.
(아유. 뭐 거의 사랑과 전쟁 수준)

그래도 가족이니까. 일년에 서너번은 만나고 하지요.

아버지는 사시던 넓은 집에 혼자 계시고,
판결이 불리하게 나서 한푼도 못받고 갈라지신 어머니는 삼촌댁에 계시다가
지금은 입주 시터로 계셔요.

흠.. 남들이 보면 이상할수도 있으나.
아무튼 이혼 과정, 아니 그 이전부터 가정환경 자체가 평범치는 않아서.
사실 자식들 어느 누구도 엄마를 모셔야겠다. 이런 책임감은 없어요.


오히려 약간은, 평생 현실감각 없이 호의호식하시고 사치하시던 엄마가
철 좀 들었으면 좋겠다 (?) 이런 마음도 있구요.

못됐나요? ^^; 그렇게 되더라구요.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자란 자식들은, 자기 방어에 급급하지
부모에게 애정이나 동정심을 느끼기가 쉽지 않은것같아요.


언니,저 남동생 셋다 부모에 대해 냉소적이여요.
거리감도 늘 있구요.

암튼 저희 형제들은 결혼을 모두 했고
설때 아빠, 추석때 엄마, 두분 생일, 이 정도로 일년에 서너번만 다 같이 모여요.

그런데 늘 명절때마다 애매~하게 가족모임을 하게 되고
너무 번거롭게 되어서, 다른 분들은 어떤가 궁금해요.

엄마 아빠 집에서 모이는게 아니라
(엄마는 따로 거처가 없으시고, 아빠가 살던 친정은 동네에 이상한 소문 너무 많이나서
저희는 가지도 않아요)

주로 저희 집에서 모이고, 음식은 제가 해서 식구들 대접하는데

저도 시댁에 가서 장보고, 음식하고 이틀을 보내고 오는데
마지막날 집에와서 또 음식하고 이러니까.. 부담스럽기도 하고.

어느 한분을 모셔서 명절 지내도.. 다른 한분도 챙겨드려야하니까

돈도 두배로 들고..

(참고로 언니는 제사 있는 시댁이라 일을 너무 많이 하고

음식 솜씨가 없어서 음식 좀 나눠어서 하자는 의미가 없어요. ㅜㅜ

올케는 애기가 있어서, 준비하기는 힘들것 같아서 김치같은거나 가져오라고 해요)

외식을 하려해도 딱히 갈곳도 없고
(다들 명절끝 속 안좋으니 집에서 깔끔하게 먹고싶다고)

어떻게 해야 서로 편하고 효율적으로(?) 명절을 지낼수있을까요.

이혼 하신 부모님을 두신 분들은 - 특히 별로 살갑지 않은 관계일때-
어떻게 명절 지내는지 알고 싶어요.

일년에 거의 명절때만 보는지라.

그냥 넘어가기도 애매하고..

다들 명절때는 시댁 스트레스로 글쓰시는 분들이 많은데.
저 같이 친정 스트레스 있는 사람도 있네요.

IP : 121.162.xxx.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9.4 3:18 PM (124.58.xxx.33)

    이혼해도 사실 자식있으면 문자 그대로 완벽히 갈라지진 못해요. 거기다 손주까지 태어나면 더 그래요.
    부부 사이가 안좋아도, 명절날 사위 며느리 보기 민망해서 그런지,
    이혼한지 20년 됐어도 명절날 식당이나 호텔 이런곳에 한자리에 모여서 간단히 식사하는거죠.
    명절날 이혼한 부부야 서로 안보고 싶겠지만, 그러면 자식들이 여기갔다 저기갔다 너무 힘들어지니까요.
    그냥 부모가 양보해 주는거 같아요. 꼭 집에서 명절 지내야 할 필요는 없다고 봐요.

  • 2. ...
    '14.9.4 3:36 PM (125.146.xxx.201)

    ^^
    확실히 첫 친손주 돌때도 두분다 초대했다고 마음상해서 (마주치기 껄끄러운데 배려없다고) 결국은 한분은 안오신 저희 부모님이 흔한 케이스는 아닌가봐요?
    심지어 남동생 결혼할때도 아빠 얼굴 마주하기 싫다고 당연히 안오신다는거 제가 눈물로 읍소해서--; 겨우 참석시켰으나 결국 한분은 사진도 안찍으시고 결혼식 시작하니 나가심... 다시 생각해봐도 참...

  • 3. ..
    '14.9.4 4:25 PM (180.224.xxx.40)

    매번 외식해요.
    전 진짜 뭐 없어도
    화목한 가정 부러워요.

  • 4. 음~
    '14.9.4 11:30 PM (14.32.xxx.157)

    이혼은 역시 끝이 아니군요.
    제가 본 케이스는 친정이 아니라 시부모님이 이혼한 케이스라, 명절이면 혼자이신 시어머니가 오셔서 지낸답니다.
    그리고 시아버지는 이미 재혼하셨고 자식도 또 있답니다. 자식이 아주 어릴때 이혼하셨죠.
    이혼하신 시어머니보다 재혼하신 새시어머니가 훨씬 좋은 분이신지 가끔 집으로 초대하기도 한다더군요.
    시어머니쪽으로는 성이 다른 여동생이 있고, 시아버지쪽으로 배다른 형제들이 있답니다. 각자 재혼했지만 어머니는 다시 혼자되셨죠
    많이 복잡한 집안이고, 어머니집과 친척집등 이집저집 오가며 자랐는데 그 아들은 사법고시 패스한 전문직이네요.
    결론은 홀로되신 시어머니만 챙기고 시아버지쪽은 가끔 만나서 밖에서 밥 먹고 헤어진답니다.
    원글님네도 시아버지는 명절에 남동생집으로 가시거나 남동생이 아버지댁으로 가거나 하게 하시고, 원글님은 어머니만 챙기시면 될거 같아요.
    두분 각자 생일때나 형제들도 한꺼번에 모여서 챙겨드리고, 형제들끼리는 각자 생일때 한번씩 얼굴보고 밥 먹고 하세요.
    꼭 가족이 다 같이 모이길 원하신다면 지금처럼 누군가 한명이 희생해야하고요.
    명절에 아버지, 어머니 나눠서 모시는게 서로가 편할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54351 미국에서 산 아이폰 한국에서 쓰는데 문제 없나요? 9 미국 2015/01/08 25,745
454350 외로울때 뭐해야 하나요 7 ㅠ ㅠ 2015/01/08 2,488
454349 횡단보도에서 자전거 사고. 3 anfro 2015/01/08 1,351
454348 갤럭시s4 랑 G2 중에 뭐가 나을까요? 7 비교좀 2015/01/08 1,525
454347 갱년기 여성 필수 영양제 뭐가 있을까요? 3 갱년기 2015/01/08 2,403
454346 이건 무슨 잎일까요 1 ... 2015/01/08 497
454345 하지정맥류 어떤 수술방법이 좋은가요? 1 내일수술 2015/01/08 1,876
454344 아이들 유학시키신 분들께 여쭙니다... 1 다시 2015/01/08 1,391
454343 조언필요) 장롱4자 와 세통 반 구입 방크기 고민요.. 5 아이둘맘 2015/01/08 882
454342 항공사 기장의 접근.. 3 ples07.. 2015/01/08 2,719
454341 문법3800제 푼 다음엔 뭐가 좋을까요 5 마더텅 2015/01/08 2,207
454340 오래가는 식체 12 48세 2015/01/08 1,974
454339 밥상에서 아이패드 1 태블렛 싫어.. 2015/01/08 789
454338 세월호 유가족 MBC 항의방문..나오지 않은 이진숙 본부장 4 샬랄라 2015/01/08 1,673
454337 모유수유중에 과자,커피 안되겠죠? 5 .. 2015/01/08 6,391
454336 생수 사먹는데요 4 :::~~~.. 2015/01/08 1,413
454335 강세훈 앞으로 어느정도 환자들 영향 있을것 같으세요.??? 6 ... 2015/01/08 1,709
454334 당뇨 있으신 부모님 운동을 어떻게 하세요? 2 ^^ 2015/01/08 1,191
454333 가화만사성을 공감합니다..죽고싶어요. 5 hj.. 2015/01/08 2,961
454332 성과급은 영업이익 기준인가요? 당기순이익 기준인가요? 안알랴줌 2015/01/08 883
454331 제2롯데 근처 주민들, 부동산때문에 집값하락했다며 퇴출 요구해 .. 8 2015/01/08 3,796
454330 비타민 사시려는 분들께 4 참고하세요 2015/01/08 3,106
454329 혹시 방송댄스학원 다녀보신분 계시면 질문드립니다!! 5 비상하리라 2015/01/08 2,035
454328 키높이 운동화 좀 추천해주세요. 1 왕고민 2015/01/08 1,136
454327 학벌과 일의 능력 비례관계 아님 그러므로 전업이 아깝다는건 아닌.. 1 ㅇㅇㅇ 2015/01/08 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