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근데.. 제사 안지내면 안 되는거죠? 한국 풍토에서는?

루나틱 조회수 : 2,542
작성일 : 2014-09-02 00:26:08
제 경우에는.. 뭐.. 제 자식들이 한국인 처럼 자란다는 가정하에;;
저는 제사 따위는 지내지 말라고 할 거라서요...
이유는 뭐 천국이 있든 극락이 있든 그냥 없어지든.. 글쎄요..
성경에서도 하나님이 내려 본다는 이야기는 있어도 죽은 사람이 내려본다는 이야기는 못본것 같은데..
어차피 저도 모르는 거라.. 필요 없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저는 지내지 말라고 할것 같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은.. 뭐 원하시면 해드리는데
이런 말을 했더니.. 저랑 동의 하시던데 ㅋㅋㅋㅋ;;; 알지도 못하는데 뭐하러 하느냐시더군요;; 흠..
어쨌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뭐 그 쓸데 없는거 뭐하러 하냐는 시비 거는건 아니고;;
그냥 저는 원하면 해드리는 거고 아니면 말고..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저는 일단 하지 말라고 할꺼라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제사.. 에 대해서?
IP : 58.140.xxx.188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9.2 12:27 AM (118.221.xxx.62)

    안지내는 집도 꽤있죠
    종교가 젤 크고 자식 힘들지 않게 하려는 것도 있고요

  • 2. ...
    '14.9.2 12:27 AM (118.221.xxx.62)

    저도 화장해서 뿌리고 제사 같은거 하지 말라고 했어요

  • 3. ..
    '14.9.2 12:30 AM (223.33.xxx.46)

    지금은 제사 모시고 있지만 아들에게는 제사
    안물려주려고 합니다

  • 4. 성당
    '14.9.2 12:30 AM (112.121.xxx.135)

    미사로 드립니다.

  • 5. ㅇ ㅇ
    '14.9.2 12:33 AM (223.62.xxx.125)

    제가 장손 며느리인데, 저까지만 하고 그만 두게 할거에요.

  • 6. 집안 어른의 결단에 달린 거죠.
    '14.9.2 12:34 AM (114.129.xxx.71)

    우리 친정은 제사 안 지낸지 백년이 넘었어요.
    장로였던 증조부께서 제사를 그만두도록 하셨거든요.
    덕분에 제사상은 TV로만 보다가 결혼 후에야 진짜 제사상을 실물로 처음 봤네요.

  • 7. ,,,
    '14.9.2 12:45 AM (116.126.xxx.2)

    우리 바로 윗 세대분이 돌아가시면 모를까,,,현재는 계속 해야 될거에요

  • 8.
    '14.9.2 12:46 AM (203.226.xxx.230)

    저는 제사 지내요
    제사도 한국의 전통인데 그게 사라져 가면 그건 그거대로 안타까울 때가 있어요
    제사가 스트레스가 되는 상황이 가장 문제긴 하지만요
    누구는 전통을 이어가는 사람도 있어야겠죠
    저는 젊은 사람인데 좀 특이한 편이죠?
    그렇다고 제사 없애야 한다 이런 사람들을 안 좋게 보지도 않아요
    각자 삶의 방식인데다 솔직히 이해도 가거든요

    저는 아빠 엄마가 결혼하고 얼마 안되서 돌아가셨어요
    자식은 언니랑 저 둘뿐인데.....매년 언니랑 돌아가면서 제사 지내요
    형부도 제 남편도 당연히 그래야 한다고 생각했고요
    앞으로도 계속 지낼 생각이에요
    시부모님이 돌아가셔도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지금도 시댁 제사 가요 1년에 두번씩
    근데 여지껏 큰 트러블이 없어서 그랬는지 그게 그렇게 큰 스트레스로 다가오지는 않더라구요
    그렇지만 내 자식들한테 제사를 강요할 생각은 없어요
    나의 부모에 대한 도리는 나까지만 하면 되지 내 아들 딸 며느리까지 할 필요는 없어요

  • 9. oops
    '14.9.2 12:55 AM (121.175.xxx.80)

    제사를 지내고 안지내고...이미 사람마다, 집안마다 선택사항이 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적어도 수백년 이상 지속되어온 고유의 전통을 지금 시대환경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없애야 한다? 유지해야한다?....그런 식으로 접근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보다는 이미 의식구조가 제사문화의 근간인 유교문화와 농경문화가 거의 희박해진 상황이고,
    현대 가정환경에도 맞지 않은 부분이 많아진 만큼
    지금 시대상황에 맞게 제사문화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주목했으면 합니다.

  • 10. 형식이
    '14.9.2 1:17 AM (14.32.xxx.157)

    제사 형식이 중요하지 않죠.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가족들이 모여 조상에 감사하고 기리는 정도.
    부모님 그리고 남편이 먼저 가면 제사상 지금처럼 차릴거고요.
    제가 죽고 난뒤엔 명절이나 제삿날엔 형제들끼리 꼭 모여 밥한끼 같이 먹고 제사상에는 국수한그릇과 제가 좋아하는 카푸치노 한잔 놓고 부모에게 영상편지 쓰듯 한마디씩만 해줬으면 좋겠네요.

  • 11. ....
    '14.9.2 8:34 AM (113.131.xxx.32)

    저도 그놈의 형식이 문제라고 생각해요
    남의 집 귀한딸 제사,명절 음식 시킬려고 그러는거 같고...
    저도 제가 죽고 나면 제가 좋아하는 크림소스 스파게티 한그릇하고 믹스커피 한 잔 놓고 제 생각 조금 해주면 고맙겠어요
    ㅋ안 해줘도 할 수 없구요
    제사 명절 하루종일 음식 해대는 문화는 이젠 없어져야죠

  • 12. 백년전에
    '14.9.2 8:37 AM (112.173.xxx.214)

    언젠가 여기 댓글 보니 제사 100년전 없앤 집안인데도 후손들 잘만 산다네요.
    그리고 제사라는 게 문화라서 하고 안하고는 본인 선택인거죠.
    제사 안지내서 큰일 날 것 같으면 제사 없는 민족들은 다 죽었게요.

  • 13. ....
    '14.9.2 9:38 AM (203.226.xxx.105)

    전 제사를 안지내는 집에서 성장했기에 제사라는 걸 왜 그토록 힘들게 하는지 이해를 못했어요.

    그런데 부모님 돌아가시고 보니... 죽은 이가 너무너무 그리워서,
    사랑하던 이가 한번이라도 찾아와줬으면 하는 마음이
    제사라는 형식으로 자리잡은 거구나 하고 그제서야 이해 되더라고요..
    (일본의 오봉이라는 절기도 그렇거니와...)

    그래서 제사라는 게 더더욱 지금과 같이 의미도, 뜻도 없는 건 반대해요.
    정말 죽은 이가 그립다면 명절, 기일에 화려한 음식들보다는
    차라리 그 시간에 가족들끼리 모여 앉아 돌아가신 분의 사진이나 영상, 추억을 함께 공유하면서
    고인을 기리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들이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제삿상 형식도,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 위주로 놓는 게 맞지, 뭐는 놓네 안놓네, 근본이 있네 없네..
    이건 다 허례허식이에요.

    옛날에는 집성촌에서 제사를 거하게 지내면서 친족들의 단합을 유도하려고 그랬겠지만,
    또 먹을 게 없던 시대에 제사라는 걸로 아랫것들까지 먹을 수 있는 몇 안되는 기회이기도 하고요.

    돌아가신 분이 오징어를 좋아했으면 오징어를 두고,
    치즈케익 좋아했으면 치즈케익 두고.

    그게 더 제사의 뜻에 맞고, 고인을 기리는 거라고 생각해요.
    저도 다가오는 엄마 첫 기일에는 엄마가 가장 좋아했던 대하구이 놓을 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5885 웃기는 학부모 1 2014/09/04 1,498
415884 수능영어 절대평가면 공부방식은 어떤식으로? 12 궁금 2014/09/04 2,999
415883 유럽 사람들 한국에서 사는거 의구심이 들어요 .. 56 코지 2014/09/04 18,799
415882 점점 일자리가 줄어드네요. 8 ..... 2014/09/04 2,404
415881 왜 직장서는 되는데, 집에있는 컴퓨터로는 82쿡 로그인이 안될.. 3 .. 2014/09/04 1,142
415880 굴욕?... 2 갱스브르 2014/09/04 788
415879 6개월 휴식이 생기면 머할까요? 2 잠시자유부인.. 2014/09/04 961
415878 서영석의 라디오 비평(9.4) - 교육부 지시, 필수 한국사 교.. lowsim.. 2014/09/04 647
415877 진짜 거지 같은 집을 산 거 같아요 7 도와주세요 2014/09/04 5,736
415876 송광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에 관한 설문조사 7 꼭 참여!!.. 2014/09/04 905
415875 몰수 할 해외 재산 더 있으면... 리아 2014/09/04 1,010
415874 가정용 프린터기 혹은 복합기 저렴한거 추천부탁해요 4 궁금 2014/09/04 4,088
415873 동그랑땡, 닭고기로 해도 될까요?? 3 저기. 2014/09/04 1,420
415872 팔순 친정엄마에게 대만여행 괜찮을까요? 5 대만여행 2014/09/04 2,209
415871 스물 중반 가방 좀 봐주세요 2 가방 2014/09/04 941
415870 깨지기 위해 읽는다 3 샬랄라 2014/09/04 880
415869 학교폭력 피해자로 산다는게 이렇게 힘든줄은 몰랐습니다. 6 모범택시기사.. 2014/09/04 3,352
415868 전문직 남자들과 선본 여자가 13 보고 2014/09/04 7,102
415867 70대 친정어머니 핸드폰 요금제 추천좀 부탁드려요 5 2014/09/04 1,393
415866 골다공증이라는데 어떤 약들 처방받으셨나요? 5 40대중반 2014/09/04 1,758
415865 '시국선언·조퇴투쟁' 전교조위원장 등 3명 영장 기각 7 세우실 2014/09/04 933
415864 아랫집에 물 셀 경우에요.. 5 ... 2014/09/04 1,551
415863 핸드폰 바꿔준다고 전화오는거요...괜찮은건가요? 6 핸드폰 2014/09/04 1,938
415862 사랑하되 소유하지 않는다는게 1 tk 2014/09/04 1,358
415861 토요일 밤에 해도 상하지 않는 제사음식은 뭐가 있을까요?? 8 지혜를 2014/09/04 1,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