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가 너무 짠데..

김치찌개 조회수 : 1,734
작성일 : 2014-08-21 18:32:22

김치가 너무 짜요.

씻어서 찌개를 끓여도 짠데 (배추 자체에 배인 짠맛이 안 없어지는 듯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설탕이나 양파 등으로 중화시키는 거 말고요..(염분 섭취는 그대로일테니)

짠맛을 빼내는 방법 없을까요? 

IP : 118.37.xxx.19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8.21 6:36 PM (203.152.xxx.185)

    무를 큼직하게 잘라서 군데군데 박아두세요.
    무가 염분을 어느정도 흡수할거에요.

  • 2. 김흥임
    '14.8.21 6:36 PM (49.174.xxx.58) - 삭제된댓글

    안익은게 짜단말씀이신가요
    그렇다면 무우숭덩숭덩잘라 짱박아도되고
    쪽파 한덩이씩 돌돌말아 짱박아도됩니다

  • 3. 김치찌개
    '14.8.21 6:54 PM (118.37.xxx.190)

    익은김치...신김치에 가까운데 짜네요..
    암튼 무 시도해보겠습니다.

  • 4. ㅇㄹ
    '14.8.21 7:16 PM (211.237.xxx.35)

    신김치면 무박으면 맛이 더 이상해지죠;;;
    신데다 짜면 쌩으로 먹는건 한계가 있고..
    김치쌈이나 찌개 김칫국 볶음등으로 소비하셔야 할듯...

    씻어서 그냥 물에 좀 담궈두세요. 그럼 짠맛은 좀 빠집니다.
    담그는 물에 설탕 약간 타서 담그면 짠맛이 더 빨리 빠지고 맛도 많이 중화되고요.
    짠맛 좀 빠진후 김칫국 끓여드시거나 찌개, 볶음등 아님 김치쌈 해드세요..

  • 5. ....
    '14.8.21 7:38 PM (175.223.xxx.165)

    채칼로 무채 잔뜩 썰어서 같이 넣놨더니
    짜게 절여진 배추가 적절히 짠맛이 빠지고
    김치맛도 좋아졌어요
    근데 저는 김치 담그고 나서 얼마 안되서인데
    신김치라고 하시니
    그건 어떨지는 모르겠네요

    물에 담가서 짠기빼고
    등갈비나 돼지고기 넣고 고추장으로 찌개가 제일나을거같네요

  • 6. 4070
    '14.8.21 7:46 PM (222.64.xxx.188)

    옆집할머니가 주셨는데 너무 짜서 . 마침 또 옆집언니가 주셨는데 너무 싱거워서 .. 둘 합체 했더니 환상 이였어요 . 하나는 젓갈이 너무 많이들었고 하난 너무 양념을 애꼈고 ㅋㅋ
    암튼 주신거는 버리지 않고 맛나게 잘 먹었죠 ㅎㅎ

  • 7. ㅎㅎ
    '14.8.21 8:59 PM (118.37.xxx.190)

    여러 팁들 감사합니다.^^

  • 8. 그거 정답은
    '14.8.22 11:01 AM (121.143.xxx.106)

    물에 담가 놓으시면 아주 짠김치도 맹탕 되더라구요. 저 그래서 김치찜했는데 멸치넣어 하니 슴슴하게 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0185 성북구에 비가 너무 무섭게 내려요 4 서울 2014/08/22 1,849
410184 괜찮아 사랑이야...를 보고 7 ㄷㄷㄷ 2014/08/22 3,430
410183 유민이 아버님 상황을 라디오를 통해 알리는 건 어떨까요? 4 ㅁㅁ 2014/08/22 1,164
410182 문법이나 일본 생활경험도움주실분 3 일본어 공부.. 2014/08/22 806
410181 지금 새벽2시 모기야 2014/08/22 923
410180 우엉차랑 율무차를 섞어 마셔도 될까요 차사랑 2014/08/22 1,029
410179 지방의 20년 다된 24평형 방3 아파트 관리비가 좀 그래요.... 3 관리비 2014/08/22 3,153
410178 대구 들안길 맛집 추천부탁드려요 대구님들 5 .. 2014/08/22 1,967
410177 304명의 목숨으로 모자랍니까? 4 청명하늘 2014/08/22 801
410176 생리 시작 전 쇼핑 욕구..미치겠어요 4 .. 2014/08/22 2,921
410175 이 사진을 보고 눈물을 참을 수 없네요. 3 ... 2014/08/22 1,565
410174 익스피디아에서 호텔정보 보고 있는데 최대 숙박인원 무슨 말인지 9 어려워요. 2014/08/22 4,326
410173 이 나라가 왜 이렇게 까지 추락하고 있을까요? 19 성냥갑 2014/08/22 3,239
410172 내일 새누리당에 전화를 겁시다 3 꽃향기짙은날.. 2014/08/22 873
410171 영화 비엔나 호텔의 야간배달부 보신분 계세요? 7 미호 2014/08/22 1,699
410170 우슬초보다 좀 더 단단한 실 추천해주세요. 초보 코바늘.. 2014/08/22 1,097
410169 누가 피로하대요? 5 ... 2014/08/22 1,061
410168 세월호 사건으로 득을 보긴 본 거 같나요? 1 주어없습니다.. 2014/08/22 708
410167 (잊혀지고있나요?)13개월후기 이유식중에서 2 방글방글 2014/08/22 883
410166 샷 추가가 뭔가요 27 궁금 2014/08/22 42,718
410165 조선일보, 종북매도가 표현의 자유 2 night 2014/08/22 681
410164 세월호 잊혀지는 거... 이기주의의 극한같아요... 6 세월호 2014/08/22 926
410163 우리가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 2 리본달기 2014/08/22 847
410162 퐐로 퐐로 퐈알로미 부탁 2014/08/22 1,095
410161 코스트코에서 햄 뭘로 사야할까요??? 3 2014/08/22 2,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