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책, 종이에 대한 예의(기사)

도도 조회수 : 1,425
작성일 : 2014-08-20 11:36:33

종이가 떴다. 이 찬란한 디지털시대에. ‘종이회사’ 덕이다. 사실 종이라는 건 형체가 가장 분명한 물질이다. 그러니 ‘전자’와 대비를 이루지 않는가. 그런데 실체 없이 서류로만 존재하는 회사를 ‘종이회사 (페이퍼컴퍼니 :paper company) ’라고 부른다. 대단한 역설이 아닐 수 없다. ‘종이회사’ 논란을 일으킨 이들 가운데는 출판사 시공사의 전재국(54) 대표도 끼어 있다. 종이로 책을 만들어 업계 5위 안에 들어온 이다. 그에게 종이는 대체 뭔가.

종이가 정말 뜬 건 이곳이다. 서울 통의동 대림미술관이 장장 6개월에 걸쳐 열고 있는 ‘슈타이들’ 전. 전시는 책을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세계적인 출판거장 게르하르트 슈타이들(63)의 평생 작업을 옮겨놨다. 독일 괴팅겐 출신의 슈타이들은 열일곱 살부터 독학으로 습득한 인쇄기술로 출판업을 시작했다. 40여년이 지난 지금 그는 책과 종이로 표현할 수 있는 최고의 가치를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변변한 학력이나 자격도 없이 일궈낸 그의 출판사에는 사진·회화·문학 등에서 날고 긴다는 저작자들이 줄을 서서 낙점을 기다린다. 슈타이들도 그들에게 최선을 다한다. “시각·후각·촉각 등 모든 감각을 총동원해” 그들의 콘텐츠를 담아낼 종이부터 골라낸다.

책 한 권을 만들 때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건 단연 종이다. 비용에서도 그렇고 형태 구성에서도 그렇다. 출판전쟁이 종이전쟁인 때가 왕왕 있다. 2년 전쯤엔 이런 일이 있었다. 소설책 본문에 간혹 쓰이는 ‘이라이트’라는 종이가 갑자기 품귀를 빚은 것. 원인을 수소문해 보니 신경숙의 소설 ‘엄마를 부탁해’ 때문이었다. 당시 미국서 영어 번역본이 나온 여파로 국내서 다시 붐이 일자 급하게 20만부 추가인쇄에 들어갔던 터다.

하지만 재생지 느낌을 주는 두툼한 부피의 이 종이를 국내선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다. 현실적인 이유는 ‘독자들이 찾지 않는다’다. 국내 출판물에 가장 흔하게 쓰는 종이는 미색모조지. 반질한 질감에 컬러·흑백 인쇄가 무난하며 비침이 덜하고 변색이 없다. 하지만 흔한 것이 싼 것은 아니다. 이 역시 고급지에 속한다. 미색모조지에 들어가는 펄프 외의 재료는 돌가루. 국내서 출판되는 책이 보통의 외국서적보다 무거운 건 이 때문이다. ‘단행본=미색모조지’의 공식은 한국출판계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비단 본문종이뿐이겠는가. 서점에 한번 나가 보라. 화려한 디자인에 은박·금박으로 치장된 표지까지 책의 발전은 눈이 부실 정도다. 단언컨대 책을 한 권 산다면 같은 비용을 들여 얻을 수 있는 값어치 중 최대를 뽑을 수 있다.

그래 다 좋다. 지식의 보고를 잘 만들어내려는 의도는 존중해야 마땅하다. 문제는 모든 책이 다 지식의 보고냐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 고급스러운 종이에 얹을 만큼 내용까지 고급스러우냐는 거다. 지난해 출간된 새 책은 8690만여부. 3만 9767종의 책을 평균 273페이지로 2185부씩 찍어냈다. 그런데 과연 여기서 건져낼 책이 몇 권이나 되겠는가. 책 내는 일이 정말 쉬운 일이 됐는지 ‘진정 이것이 책일 수 있는가’ 싶은 함량 미달의 콘텐츠는 홍수를 이룬다.

만약 당장 이사를 해야 한다고 치자. 사정상 버려야 하는 책을 추려야 한다. 그때 차마 못 빼내고 주저하게 하는 책이 있다면 결코 외관 때문이 아닐 거다. 한때 뼛속까지 흔들어놨던 그 내면 때문이다. 물론 출판할 수 있는 책이 따로 있는 건 아니다. 그러나 최소한의 필터링은 필요하다. 이는 저자 자신과 함께 출판사의 제1역할이 돼야 한다. ‘세상에 반드시 남겨야 할 단 한 권’이란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저 팔릴 건가 아닌가의 잣대만 들이댈 일이 아니다.

슈타이들이 인정을 받은 건 결국 ‘종이에 누가 되지 않게’ 선별한 콘텐츠에 있다. 그의 숙연한 작업 앞에 미술관은 한 사진작가의 말을 인용, 선언처럼 내걸었다. ‘디지털은 잊기 위함이고 아날로그는 간직하기 위함이다.’ 종이든 사람이든 아니면 다른 무엇이든 깊이 품으려면 방법은 하나다. 예의를 지키는 것이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71&newsid=01249686602842704&D...

 

 

베스트 글에 책에 관한 글이 있어서, 이 가사도 옮겨 봤습니다.
제가 주목하고 싶은 것은 책에 사용되는 종이 '미색모조지' 와 '이라이트지'에 관한 것 입니다.

IP : 175.193.xxx.130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도도
    '14.8.20 11:47 AM (175.193.xxx.130)

    이라이트지는 나무 부스러기를 이용한 펄프로써
    종이를 만들기 위해 나무를 벨 필요가 없기에 친환경적이기도하고,
    눈의 피로도 덜어주고, 가볍고 부피도 작습니다. (미색모조지에 비하면)

    물론, 미색모조지는 돌가루가 함유되 무거운 반면에
    활자 비침이 적고 표면이 반질하고 예쁘지요~^^
    하지만 원목을 가공한 화학 펄프라는 것.


    조금 더 나은 지구환경을 위해 친환경~ 좋잖아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9766 아이폰 데이터가 다 날라갔어요 2 ㅠㅠ 2014/08/20 922
409765 대통령이 자식잃고 애간장이끊어지는 부모앞에서ᆢ 16 ㅠㅠ 2014/08/20 3,843
409764 고로케 냉동해도 괜찮을까요? 2 개망초 2014/08/20 2,584
409763 드롱기로 에스프레소 ..너무 연해요..맹물같아요..ㅠㅠ 도와주세.. 10 에스프레소 2014/08/20 6,722
409762 이직했는데 너무 조건이 별로같아요 1 이직 2014/08/20 1,723
409761 암웨이 더블엑* 좋나요? 9 나좀살려줘 2014/08/20 3,059
409760 김어준의 파파이스 3 2014/08/20 2,486
409759 매일밤 bluebell님께서 세월호 실종자분들 이름을 부르고 계.. 9 ㅇㅇ 2014/08/20 1,035
409758 특위에 수사기소권 전례가 있었군요~!! 8 닥시러 2014/08/20 1,310
409757 옷을 사도 밑빠진 독에 물 붓기 같아요 9 .. 2014/08/20 4,016
409756 여론보고 놀랐어요 55 놀람 2014/08/20 15,395
409755 요맘때 김치 2 요즘김치 2014/08/20 1,749
409754 아이고, 인터넷 구매 포기하고 나와버렸네요ㅜㅜ 3 행복 2014/08/20 1,606
409753 카레에다 가지 넣어도 될까요 10 ,,,, 2014/08/20 4,390
409752 세월호2-27) 황금같은 소조기에 태풍이 온다지만,실종자님들,기.. 31 bluebe.. 2014/08/20 1,254
409751 성난 유족들, 안산 찾은 박영선 '융단폭격' 4 샬랄라 2014/08/20 2,476
409750 저도 투잡시작합니다 3 강한생활력 2014/08/20 3,463
409749 새누리당이 아쉬울것은 하나도 없어요.. 32 글쎄요 2014/08/20 1,843
409748 김무성이 드디어 본색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19 조작국가 2014/08/20 4,470
409747 시장다니시는 어머님들께 여쭤보고 싶어요. 1 어머님들께 .. 2014/08/20 1,351
409746 靑, 세월호 '유민아빠' 朴대통령 면담요청 사실상 거부 26 브낰 2014/08/20 2,684
409745 인공향이 안 들어간 향수는 어떤건가요? 4 향수 2014/08/20 2,236
409744 [잊지말자 0416] 갑자기 매운걸 못먹게 되었어요 2 에효 2014/08/20 3,498
409743 유가족총회, 세월호 특별볍 재협의안을 거부한다 결정 14 청명하늘 2014/08/20 1,389
409742 볶음밥에 대추토마토 넣고 얼려도 될까요? 자취생 2014/08/20 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