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본인 연봉보다 신용카드 사용액이 더 많을경우

.. 조회수 : 4,574
작성일 : 2014-08-05 18:08:44
연말정산시 오히려 돈을 더 많이 물어야 된다고 들었는데..정말인가요?
제 명의 신용카드를 제 동생하고 같이 쓰는데, 자기가 쓴 금액만큼 동생에게 받기도 하구요..
그밖에 가족들이 쓰는 휴대폰이며 각종 요금을 제 카드로 긁거든요..
연봉보다 더 많이 나올거 같네요...;;;
이럴경우 세금문제는 어떻게 될런지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해주세요..
IP : 210.178.xxx.1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8.5 6:14 PM (118.36.xxx.253)

    금시초문의 황당한 이야기입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어차피 본인 소득금액의 일정 퍼센테이지까지만 공제받게 되어있어요

  • 2. 음~
    '14.8.5 6:29 PM (175.209.xxx.14)

    제가 그런 경우가 있었습니다. (제 급여보다 생활비를 많이 쓴다는 의미로 남편 월급이 일부 쓰는거지요)

    간단하게 설명하면 급여보다 카드사용대금이 많으면 세금을 더 공제받는 거지요 (세금을 덜 낸다는 의미)
    물론 윗님 말씀대로 급여에 따라 일정액(최대공제액)이 있습니다.

  • 3. --
    '14.8.5 6:37 PM (118.36.xxx.253)

    아무튼 쓴만큼 세액공제를 더 많이 받을순 있어도 돈을 더 낼일은 절대 없습니다.

  • 4. rafale
    '14.8.5 6:38 PM (121.130.xxx.196)

    그런건 없는데 가족중에 소득있으신 분이 있다면 나눠서 쓰는게 세액공제 더받습니다.

  • 5. ..
    '14.8.5 6:39 PM (61.43.xxx.154)

    연봉보다 신용카드 사용액이 많고 적은 것은 연말정산시 크게 상관없습니다. 더 물어야 된다는 거는 잘못된 얘기구요.

    연말정산시 신용카드 공제에 대해 대충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신용카드 사용액중 총급여의 25% 넘는 금액의 15%를 소득에서 제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많이 쓰면 그만큼 세금대상이 되는 소득이 줄어들게 되니 세금을 적게 내도 되겠죠.
    다만 무한정으로 줄여주는게 아니고 최대 500만원까지만 소득에서 빼주는 것이기 때문에 한계는 있구요 여기에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금액이 같이 들어가는건데 이건 또 퍼센티지가 다르기 때문에 이것까지 얘기하면 복잡해지니 이건 생략할게요..

  • 6. ^^
    '14.8.5 7:38 PM (210.178.xxx.13)

    제가 걱정하고 있었던 건 기우였군요..한시름 놓았네요,,조언주신 분들 넘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5004 어떤 치즈인지 알려주세요! 2 치즈 2014/08/06 775
405003 배꼽아래쪽에ㅣ누르면 딱딱한게 3 증상 2014/08/06 2,106
405002 친구란 뭘까요.. 5 친구...?.. 2014/08/06 1,301
405001 "십일조 안하면 암(癌)걸립니다" 20 무무 2014/08/06 3,628
405000 조갑경은 참 이쁘고 목소리도 곱고 7 .. 2014/08/06 3,484
404999 재봉틀부품이요 1 ㅇㅇ 2014/08/06 767
404998 보성여행과 그 주변 돌아볼곳,,알려주셔요~ 2 날개 2014/08/06 1,171
404997 새누리의원중에 세월호 특별법으로 돌아설 사람은 없나요 5 .. 2014/08/06 801
404996 요즘 초5 생일선물로 뭐가 좋은지요? 하나 2014/08/06 1,524
404995 황우여 '국회법' 어긴 채 변호사 활동 8 세우실 2014/08/06 999
404994 일체형pc사용하시는분 어떤가요? 6 더워요 2014/08/06 1,179
404993 유용한 무료 인강 사이트 모음 가져와봤어요 12 유유 2014/08/06 3,304
404992 울 아들 군대가면 맨날 면회가고 진상짓 해야겠어요 35 에효 2014/08/06 6,015
404991 나쁜 시력이나 노안때문에 고민인 분들께 드리는 정보 108 딜라이라 2014/08/06 19,569
404990 부모님 선물 어떤게 좋을까요? 1 면세점 2014/08/06 910
404989 처음으로 늙은 오이를 무쳤어요 6 라떼 2014/08/06 1,493
404988 주의 무료백신 악성코드 발견시 치료 불가능 벨라지오 2014/08/06 2,123
404987 초 5, 초 3 남자아이들 볼 만한 연극 혹은 뮤지컬 꼭 좀~ .. ^^ 2014/08/06 556
404986 세월호에 단원고 아이들을 태워야했던 이유가 뭘까요 17 왜일까 2014/08/06 4,166
404985 제빵클래스 수강료 4 빵조아 2014/08/06 1,754
404984 교장 성추행 신고했지만... 오히려 피해 교사들 '경고' 2 샬랄라 2014/08/06 1,090
404983 계곡으로 물놀이 하러 갔다가 생긴 궁금증 6 왜일까? 2014/08/06 1,942
404982 피어싱. 필라테스 문의 9 horng 2014/08/06 1,797
404981 잡곡밥 얼렸다가 먹어도 괜찮나요? 9 다이어터 2014/08/06 2,790
404980 안철수의 '새정치' / 희미한 옛 사랑의 그림자!!! 13 걸어서세계로.. 2014/08/06 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