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식물 쓰레기통 스덴과 락앤락 중 뭐가 더 효율적일까요?;

... 조회수 : 2,004
작성일 : 2014-07-24 09:05:19

 

 

82쿡 살림 선배님들!

 

그동안 음식물을 비닐봉지에 담아 사용해 왔다가...

환경에 좋지 않다는 생각에,

 

음식물 쓰레기통을 이요해 버려보려고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통을 대충 검색해보니,

 

락앤락 음식물 쓰레기통이 가장 유명한 것 같던데...

 또 한편으로는 스덴 음식물 쓰레기통도 깔끔하고 세척하기 편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음식물쓰레기통 사용해 보신 선배님들!!

사용해 보신 분 중에 어떤게 좋으셨나요?

 

조언 부탁드리곘습니다. ^^;

IP : 122.153.xxx.34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7.24 9:21 AM (121.157.xxx.2)

    락앤락 사용중인데 밀폐는 정말 좋은데 다른 쓰레기통이랑 차이 모르겠어요.
    겨울에 베란다에 뒀더니 날개가 얼어서 떨어져요.
    스덴이 좋지 않을까요? 비싸지 않다면요.

  • 2. ..
    '14.7.24 9:29 AM (175.116.xxx.45)

    락앤락 베란다에 방치중입니다. 밀폐되는건 좋은데.. 그거 열고 닫기가 영 귀챦더라구요.. 그리고 음식물쓰레기 버릴때마다 닦는것도 고역이고.. 안에 비닐넣고 해도 어차피 냄새나서 닦아야하더라구요.. 스텐으로 된것도 있나요? 아무튼 저는 그냥 다시 비닐로 돌아왔구요.. 냉동실 이용합니다. 냉동실 밑칸 하나를 완전 빼서 거기 안쓰는 적당한 크기 뚜껑있는 통안에 비닐넣고 음식물쓰레기 버려요.. 냄새안나서 좋구 초파리 안날라다녀서 넘 좋네요.. 비닐써야하는건 마찬가지지만..ㅠㅠ

  • 3. ....
    '14.7.24 9:47 AM (122.32.xxx.12)

    음..저는 락앤락 김치통 길쭉한걸 음식물 쓰레기통으로 쓰거든요..
    딱 밀폐되니 냄새도 안나고 날파리도 안생기고 용량도 크고 그래서..
    버리고 나서 물로 헹구고 이런식으로..써요..
    음식물 쓰레치통이라 나오는건 씻는게 더 귀찮아 보여서 그냥 밀폐되는 큰통으로..^^;;

  • 4. 불편해서 다시 비닐로..
    '14.7.24 2:10 PM (39.115.xxx.77)

    비닐에 담아 버렸었는데 비닐 좀 덜 써보려는 생각에 음식물 쓰레기통 구입해서 사용해 봤어요. 동일회사 제품인데 보통 밀폐용기에 비해 밀폐도 잘안되고 결정적으로는 속통의 망에 쓰레기가 끼어서 그걸 씻는게 일이더군요. 결국 비싼돈 주고 구입했지만 몇번쓰다 다시 비닐로 돌아왔습니다.

  • 5. 비닐이 좋아요
    '14.7.24 2:40 PM (117.52.xxx.130)

    안쓰는 넓은 그릇받치고 비닐 쓰는게 제일 편해요. 봉지집게 (다이소에 파는것)로 묶어놓으면 초파리 거의 없어요.

    스텐쓰레기통 닦는게 더 고역일듯해요. 하루만 방치하면 썩은내 나자나요..매번 락스로 닦아야하니..환경오염이 더 될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3975 화정에 성인영어회화 배울곳 있을까요 2 파랑새 2014/08/02 2,201
403974 가정에서 손님에게 종이컵으로 음료 대접하는 분들 있나요? 71 의아 2014/08/02 12,502
403973 4 20년째 2014/08/02 1,328
403972 오피스텔 사시는분 안계실까요 10 ,,, 2014/08/02 3,543
403971 부추부침개 후기!! 16 자취생 2014/08/02 5,643
403970 4층이하 아파트분들은 커튼이나 블라인드로 사생활보호하시나요 5 ... 2014/08/02 3,506
403969 갤럭시 노트2 요즘 얼마정도면 적정가격인가요? 9 요즘 2014/08/02 2,014
403968 광화문 세월호대책위 지랄들 하세요. 25 공분 2014/08/02 3,714
403967 홍삼 비슷한 피로 회복제 또 없나요".&.. 딸기체리망고.. 2014/08/02 1,077
403966 군부대 사망자 도표입니다. 5 있네요 2014/08/02 1,921
403965 시아버지가 좋아하는 며느리 스타일은 어떤건가요 27 ... 2014/08/02 7,532
403964 임플 란트에 대해 잘 아시는 분 1 치과치료 2014/08/02 1,150
403963 오르골이라는 악기 장난감? 11 .... 2014/08/02 1,787
403962 머리가 무거운데 이건 뭘까요? 3 궁금이 2014/08/02 1,201
403961 오늘 저녁7시 광화문 세월호 가족과 음악회 2 여름 광화문.. 2014/08/02 1,377
403960 혹시 쇼핑몰 준비하시는 분들 계신가요? 1 라빈2 2014/08/02 1,587
403959 사십대분들 동네나 마트갈때 무슨 백 들고 가세요? 27 43 2014/08/02 4,784
403958 호주산 부채살 샀는데 5 뭐해먹지 2014/08/02 2,993
403957 국방부 게시판에 가서.. 9 저기요 2014/08/02 1,402
403956 요리 좀 할 줄 아는 남편 두신 분 부러워요 4 .. 2014/08/02 1,449
403955 에볼라바이러스 치료제가 없는 심플한 이유 13 전쟁이고마워.. 2014/08/02 5,335
403954 2013년 유기견 6만마리.. 애견사회의 그늘 4 .... 2014/08/02 1,503
403953 돈만 (?)밝히는 집 주인 8 집주인 2014/08/02 2,195
403952 부산에 계시는 삼성카드 설계사분 있으면 연락주세요 1 asdf 2014/08/02 1,134
403951 윤일병 사망한것도 가슴 아프지만 8 이걸 생각 .. 2014/08/02 2,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