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가르쳐야 할 건 언제 어디서든 새로운 걸 배우고 익히고 옳은 판단을 하게 하는 것

~~ 조회수 : 893
작성일 : 2014-07-09 19:12:13

저는 대학에서 강의를 합니다.

보따리 강사지요. 아마 명문대 글 쓰신 분보다 제가  나이나 학번으로 위일듯 하네요.

네. 저도 그 대학에서 박사했고 연구교수 하다하다 때려쳤다 이젠 강의합니다.

교양과목 주로 하는데 이 아이들 과학 영역의 교양 들어야 졸업되는 탓에

고등학교때 듣도 보도 안했던 이상한 내용 수업한다고 싫어라 합니다.

요즘 문과아이들은 과학을 1학년때 조금 하다 만다고 하네요.

 

그럼 저는 학생들을 슬슬 꼬시죠.

학생여러분~ 

앞으로 여러분들이 살 세상은 내가 살아온 세상과 달라서

어떤 지식 그 자체를 쓰게 될 일은 전혀 없다.

내가 지금 가르치는 이 내용은 5년만되어도 구닥다리가 되어있을 거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걸 처음 발견하고 알아냈던 방법을 이해하면

너도 새로운 거 나와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걸 쓸 수 있게 된단다.

그러면서 우리 세상에 이런거  만드는 멋진 사람들이 있고 이런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고,

우리 생활과는 이렇게 연결되어 있단다.

요딴 소리를 하죠.

 

심지어는 니가 이런쪽 사업을 하는게 니가 아는 쪽만 가지고 사업하는 것보다 낫지 않겠니?

혹은 이런쪽과 연결된 문과쪽 학문을 이야기하며

이상한 융합을 외치기도 합니다.

 

실은  진심입니다. 세상은 변해서 대학때 배우는 지식으로 평생을 살 수 있던 시대가 아닌 시대를 살고 있고

앞으로 우리 애들은 더 그런 변화앞에 놓여지게 될겁니다.

 

지금 명문대생들이 요구하는 프리미엄은 예전처럼 변화가 적던 시절에  얹어줄 수 있는 거였어요.

스카이가 내 앞길을 보장해주는 줄 알고 공부를 하고 대학을 갔다면 그것자체가 잘못이였다는 거죠.

 

대학에서 강의를 다녀봄 전공수준은 대학에서 다시 새로운 출발선입니다.

아주 어려운 천재나 해야하는 전공들은 모르겠으나,

제가 하는 쪽은 열심히 공부하는 게 장땡인 분야여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평균적으로 학부가 좋을 경우  더 잘할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한 과에서 얼마나 실력이 천차만별이었는지 기억하시죠?

제가 수업하는 한 클래스의 학생들도 본인이 어떤 한학기를 보냈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하물며 대학 4년은요? 아니 인생에서의 10년은요?

 

흔히들 중학교때 성적이 고등성적이 아니라고 하면서, 왜 고등성적이 대학성적이 아니고, 대학성적이 인생 성적이 아니라는 생각은 하지 않을까요?

 

지긋지긋하게 고등학교때까지의 성적가지고 평생을 논하는 이전의 프리미엄은 우리 모두 내려놓고

걍 심플하게 저 사람은 고등학교때 열심히 한사람,

대학학부가 별로지만 성공한 사람은 걍 심플하게 저 사람은 대학이후 노력한 사람

이렇게 봐주는 게 맞지 않나 합니다.

이건 아마도 회사도 마찬가지일듯요. 회사일이 공부일과 얼마나 연관되어 있으려나요?

업무가 프리젠테이션을 요하면 그걸 잘하는 사람, 새로운 아이템을 잘 찾아야한다면 그것으로 다시 평가받아야 하는 거죠.

 

저도 두 아이의 엄마고, 내일이 마지막 기말고사인 우리애들

꼭 명문대 sky가야 하냐고  묻진 않아요. 애들도 가고 싶어 합니다.

제가 애들 학교에서 상담선생님(오지랖도 넓지요)도 해봐서 아는데 아이들 전교 1등부터 꼴등까지 공부가 가장 큰 스트레스인게 대한민국 학생들입니다. 눈물날 만큼 다 잘하고 싶어합니다.

좋은 대학에 안가도 걱정없을 만큼 부자인 엄마 아빠가 아니여서 미안하다고 말은 해줍니다.

 

무슨 얘기를 하려다 이 지경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프리미엄이 없어진 시대니 보낼 필요없다 하는 얘기에 주저리주저리 했습니다.

프리미엄이 없어지는 게 맞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선의 공정한 방식으로

올바른 교육현장에서, 바른 가치관을 가진 아이들이 성장하기를 바래봅니다.

 

 

 

 

 

 

IP : 14.52.xxx.15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7.9 7:16 PM (59.10.xxx.225)

    동감합니다.

  • 2. 공감해요.
    '14.7.9 7:19 PM (58.140.xxx.162)

    키워드 '유연성'

  • 3. 공감해요.
    '14.7.9 7:20 PM (58.140.xxx.162)

    '판단력'도요.

  • 4. 추천과 감사
    '14.7.9 10:06 PM (220.76.xxx.234)

    좋은 글이라 댓글 많이 달릴 줄 있는데
    그게 아니었네요
    저도 백배 동감이구요
    이런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5. 필독
    '14.7.10 12:32 AM (218.48.xxx.96)

    훌륭한 글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2871 아니 자기가 좋은 말 3 카카카 2014/10/01 708
422870 정유미 보면 모나리자 미소가 왜 중요한지 알겠어요 18 ... 2014/10/01 6,965
422869 나에게만 보이는 것 1 갱스브르 2014/10/01 933
422868 햄버거에 들어가는 달달한 갈색소스..그거 뭐예요? 1 햄버거 2014/10/01 1,449
422867 손석희 뉴스 룸에 새로 생긴 그 테이블 ... 2014/10/01 773
422866 손연재 선수 잘하는것 같긴한데ᆢ 55 크하하 2014/10/01 10,018
422865 월 통신비용 얼마정도 드시나요? 1 조사 2014/10/01 943
422864 가죽재킷 벌써 꺼내 입으신 분 계세요? 6 가을 2014/10/01 1,597
422863 내일 통영가는데 회뜨는곳이나 횟집 추천이요 3 카스 2014/10/01 1,887
422862 집땜에 머리아파요. 아파트로갈지 빌라로갈지... 13 몰라. 2014/10/01 3,134
422861 광명역 다시질문입니다 8 모모 2014/10/01 1,172
422860 요양보호사 자격증 따려면 돈이 얼마가 드나요? 2 dma 2014/10/01 23,228
422859 전주-순천-남해 3박4일 여행 괜찮을까요? 13 잊지않아요 2014/10/01 3,096
422858 평일의 휴가~~~~ niniki.. 2014/10/01 575
422857 김치류를 담글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2 익어가는 2014/10/01 1,751
422856 저보고 자꾸 왜사냐는 친구 ㅠ 4 ... 2014/10/01 2,335
422855 유방 물혹 1 .. 2014/10/01 2,405
422854 핸폰 구입과 개통 어떻게 하는건가요? 2 도와주십쇼!.. 2014/10/01 766
422853 피부 화사하게 표현해주는 화장품 뭐가 있을까요? 17 ㅇㅇ 2014/10/01 5,359
422852 라디오 듣고 있는데 1 @.@ 2014/10/01 741
422851 말끝마다 너..힘들구나 .. 하는 친구한테 뭐라해야함? 8 음.. 2014/10/01 3,839
422850 냉동새우로 새우젓 만들 수 있나요? 3 ... 2014/10/01 1,146
422849 리듬체조 매진이라고 하지 않았나요? 4 음.... 2014/10/01 1,990
422848 홈**스 김치 왕만두 맛있나요? 2 .. 2014/10/01 640
422847 5세 유치 흔들거림..치과 근무하시는분 도움 주세요 3 궁금 2014/10/01 1,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