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기저귀 몇개월에 뗐나요

20개월 조회수 : 6,084
작성일 : 2014-06-27 20:30:13

제가 제 아이들을 키울 때는, 24개월 이전에는 기저귀를 뗐는데,

지금은 30개월이 돼서도 기저귀를 차는 것이 전혀 이상하게 느껴지질 않는것 같아요.

지금 18살인 큰애는 아들인데 18개월에 대변은 변기에 싸기 시작했고(기저귀에 대변 못봄)

소변은 20개월에 다 뗐거든요. 가끔 실수하는 것도 두돌 전에는 확실히 잡혔구요.

12세인 둘째는 딸인데 큰애보다는 좀 늦었지만, 22개월 무렵에 기저귀 뗐구요.

제가 아이들 키울 때는 대부분 18개월에 배변 훈련 시작해서, 18-24개월에 기저귀를 뗐거든요.

간혹 24개월이 지났는데도 기저귀를 차는 아이들을 보면, 엄마가 게으르구나..라는 생각도 했었구요.

그런데, 지금은 24개월이 넘어서 기저귀 차고 다니는 아이들이 많고, 엄마들도 배변 훈련을 시키지를 않아서요.

이것도 세대차이의 한 부분이라고 봐야하나요?

그냥 궁금해서요.

IP : 115.86.xxx.2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돌돌엄마
    '14.6.27 8:53 PM (112.153.xxx.60)

    요즘은 두돌 넘어야 시작하는 분위기예요.
    저도 첫째 28개월쯤에 뗀 것 같고
    둘째 20개월인데 생각도 안 하고 있어요~
    일찍 떼면 떼는 데 오래걸리고 아이도 스트레스 받는다고.. 기저귀 일찍 떼서 좋을 건 기저귀값 안 드는 것밖에 없다고들 ^^;;

  • 2.
    '14.6.27 9:41 PM (110.70.xxx.92)

    요샌 애들 정서적..그거 되게 신경쓰잖아요
    의사부터
    두돌전후라 의사샘이 말하던데
    아기의사 반해서 하면 틱도 온다 하셨구

    어린이집 다니면 그냥 보고 배운다
    냅두라하시더군요

    아기한테 몇번 시도하다
    요새 다시 하는데 금새 잘하더라구요
    한글처럼 마찬가진것 같은데
    어차피 할건데 굳이 시간 걸리며 그전에 빨리는
    정말 기저귀값 절약밖엔..
    애가 26개월인데
    이틀 말해주니
    낮엔 바로 가리더라구요
    밤에도 기저귀 안 찬다하던데 그건 안되구ㅠ

  • 3. ..
    '14.6.27 10:38 PM (119.204.xxx.99)

    요즘은 육아서가 많아서 그런지 억지로 하지않는편이랍니다. 이론적으로는 억지로 떼면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서요. 가끔 억지로 떼는 경우도 봤는데 전 좀 무식하다고(죄송)생각되더라구요. 개인차가 무지크더라구요. 7개월에 스스로 떼는 여자아이가 있는가하면 소변은 남들할때 떼고 대변은 40개월 다되서 떼주신 저희 아들까지요. 전 절대 강요하지 않았거든요.

  • 4. ...
    '14.6.27 10:53 PM (211.36.xxx.231)

    아들이 27개월인데요 아들은 물론 어린이집 비슷한 또래들 아무도 안뗐어요...
    일단 저는 자기가 변기쓰고 싶어 할때까지 그냥 두려구요..
    뭐 네돌까지 못떼도 큰 문제있나 싶고
    엄마가 억지로 가르치는거 보다 자기가 챙피? 해서 알아서
    뗀다고 하지 않을까 싶어요
    근데 사실 제가 귀찮아서 그냥두는 것도 있어요...- -;;
    근데 늦게 기저귀 떼는게 않좋은가요?
    이 글 보니 급 걱정도 돼네요 ...ㅜㅜ

  • 5. ㅇㅇㅇㅇ
    '14.6.27 10:56 PM (59.15.xxx.140)

    억지로 하는거 정서에 안 좋다는 연구결과나왔대서
    일부러 좀 냅뒀어요
    게으른게 아니라 애를 좀 냅둬준거죠

  • 6. 16개월
    '14.6.28 12:16 AM (61.78.xxx.187) - 삭제된댓글

    훈련시킨 건 아니고 유아용 변기를 미리 사두고 몇 번 얘기만 했는데 16개월부터 스스로 가리기 시작했어요..
    두 돌 전인데 잠자다 애가 없어져서 불켜고 찾아보니 잠자던 애가 거실에 있는 변기 있는 곳까지
    이동해서 변기에 앉아서 졸고있는 걸 보고 놀랍기도 하고 기특하기도 했어요..
    그 뒤로 30개월 무렵 수박 많이 먹고 바로 잔 저녁에 딱 한 번 이불에 소변 보고 실수한 적 없어요..
    깔끔한 성격이어서 그렇기도 한 것 같은데..갓난아기 때도 소변을 조금만 봐도 갈아달라고 보챕니다.
    우는 법은 없는데 기저기 갈라고 신호를 보냅니다. 기저귀 갈아주면 기분좋아 하고요..
    제 조카들은 36개월 지나서 가리는 애도 있고 그러던데 우리 애가 상당히 빠른 편이었어요..

  • 7. 랄랄라
    '14.6.28 2:26 AM (112.169.xxx.1)

    저언혀 신경 안쓰고 그런거 모르고 애키웠는데 대략 때되니 알아서 떼던데요. 유치원갈때까지 기저귀차는애 없으니 걍 냅두세요.

  • 8. 아이마다
    '14.6.28 5:18 AM (222.113.xxx.95)

    사실 기저귀 떼는게 짐도줄고 애도 부모도 편하지 않나요? 윗분들이 말씀하신것처럼 대소변 가리기가 아이 자존감하고 관련 있다는 육아 전문가의 의견과 아이마다 방광의 성숙?도가 달라 소변을 참고 화장실에서 할 수 있는 시기가 저마다 다르다고 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 예전에 애키웠던 사람들은 돌지나면 다뗐다며 아직 준비 안된 아이 기저귀 떼기 돌입해서 혼내고 강압적으로라도 해야된다고 조언하죠.
    아이가 준비가 되면 밤기저귀까지 한번에 떼는 경우 많구요. 학교 다닐때까지 기저귀 차는 아이 없잖아요. 내애가 다른애의 기준이 될 수 없는거 같아요.

  • 9. 두돌 지나
    '14.6.28 8:54 AM (211.178.xxx.199)

    저희 아이 중 3인데 두돌 지나고 나서도 좀 더 있다 뗀 것 같아요.
    따로 배변 훈련같은 것 한 적 없고요.
    위에 답변처럼 아무리 늦어도 학교 다닐때 기저귀 차고 다니는 아이 없으니 가만히 내버려둬도 저절로 되겠지 하는 생각이었어요.

  • 10. 제목만 읽고
    '14.6.28 11:25 AM (72.66.xxx.140)

    전 지금 기저귀 차는 아이 기르시는 어머니인데 궁금해서 다른 아이들이 궁금해서 물어보신줄 알았어요.
    기저귀 일찍 뗀다고 똑똑한 아이도 아니고, 늦게 뗀다고 엄마가 게으른것도 아니죠.18개월에 뗀 아이나 36개월 지나 떼나 어차피 어느 시점 되면 똑같아져요. 
    남의 아이들 말씀 하시나본데 아이 부모님이 어련히 알아서 잘 하겠죠. 근데 빨리 떼면 실수도 하고 오래 걸리는 반면, 나이 들어? ㅋ 떼면 하루 아침에도 떼요. (전 둘 다 경험해봤어요) 
    원래 육아에는 정서가 없죠잉?

  • 11. 울애들 중고딩인데
    '14.6.28 8:11 PM (222.236.xxx.157)

    아들딸 모두 18개월때 기저귀 떼었어요.
    여름에 팬티 입히고 잘못해서 쉬할경우 본인들이 팬티가 젖는거 인지하더니
    자연스럽게 가리더라구요.

    그런데 요즘 엄마들은 40개월이 돼도 기저귀 채우는 경우 많이 봐요.
    빨리 떼면 엄마나 아이들이나 여름에 땀차는 기저귀 안차도 되고 훨 좋지만
    늦게 뗀다고 특별히 늦되는 아이라는 건 아닌것 같아요.

    다들 엄마들의 의견이 어떠냐에 따라 빨리 훈련시키느냐 늦게 두는냐 차이인것 같아요.

    이제껏 봐온 아이들중 아주 특별하게 똑똑한 아이들 치고 늦게 기저귀 떼는 아이는 못봤어요.
    ~~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3335 생각해보면 한국이 참 서민들 살기엔 좋은거 같아요. 121 그립다 2014/08/31 13,619
413334 카카오톡 질문드립니다 1 ㄱㄴ 2014/08/31 923
413333 돈이 없어서 언어 못배운다는 핑계-.- 6 00 2014/08/31 3,245
413332 Mbc 에서 다모 다시 재방영 해줬으면.... 2 ... 2014/08/31 1,025
413331 전세집 할망구에게 온갖 욕설과 폭언듣고 알게된사실.. 4 ㅁㅁ 2014/08/31 3,313
413330 그것이 알고싶다 정말 무섭지 않나요 7 .. 2014/08/31 12,980
413329 저는 가정을 갖고 싶어요 10 패밀리 2014/08/31 3,536
413328 홈쇼핑에서 누름쓱쓱이 진공 저장 용기 어떤가요? 4 님들!! 2014/08/31 2,366
413327 17만원 차이인데 세부퍼시픽보다는 제주항공이 6 더 나을까요.. 2014/08/31 2,234
413326 쓰레가통에 콩나물 길러 먹기 8 ........ 2014/08/31 2,583
413325 군견세마리한테 먹을거 주는 꿈은 무슨 꿈일까요?? 13 ... 2014/08/31 2,480
413324 저도 유기견을 키우고 았어요!! 8 카라 2014/08/31 1,786
413323 TV에 나오는 꽃동네 사태를 보고 느낀 점 5 ..... 2014/08/31 2,835
413322 사랑받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8 소망 2014/08/31 3,991
413321 주의: 본동영상은 불쾌한 내용일수도 있습니다,정신적으로 참혹해집.. 1 .. 2014/08/31 1,588
413320 수업료 떼어 먹은 사람. 베트 2014/08/31 1,104
413319 추석선물로 백화점 빵 선물을 하려는데.. 4 선물 2014/08/30 2,716
413318 노태우가 범죄와의 전쟁할때 치안이 얼마나 안좋았나요? 3 엘살라도 2014/08/30 2,043
413317 한알만 먹어도 4키로까지 빠지는 약 .. 13 ^^ 2014/08/30 6,620
413316 브로크백 마운틴 봤는데요 17 자게 추천영.. 2014/08/30 4,231
413315 호주 일일관광 팁 부탁드려요 1 혜야 2014/08/30 1,103
413314 오늘 마트에서 깜짝 놀랄 옷차림을 봤는데 17 ㅇㅇ 2014/08/30 20,163
413313 남편이 피부관리 미용에 목숨걸어요 5 대략난감 2014/08/30 2,836
413312 동남아 아가씨 식사초대를 해야하는데 2 게으름뱅이 2014/08/30 1,141
413311 친절한 우리 동네 부동산 사장님한테 화가 나요 9 2014/08/30 3,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