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기저귀 몇개월에 뗐나요

20개월 조회수 : 6,137
작성일 : 2014-06-27 20:30:13

제가 제 아이들을 키울 때는, 24개월 이전에는 기저귀를 뗐는데,

지금은 30개월이 돼서도 기저귀를 차는 것이 전혀 이상하게 느껴지질 않는것 같아요.

지금 18살인 큰애는 아들인데 18개월에 대변은 변기에 싸기 시작했고(기저귀에 대변 못봄)

소변은 20개월에 다 뗐거든요. 가끔 실수하는 것도 두돌 전에는 확실히 잡혔구요.

12세인 둘째는 딸인데 큰애보다는 좀 늦었지만, 22개월 무렵에 기저귀 뗐구요.

제가 아이들 키울 때는 대부분 18개월에 배변 훈련 시작해서, 18-24개월에 기저귀를 뗐거든요.

간혹 24개월이 지났는데도 기저귀를 차는 아이들을 보면, 엄마가 게으르구나..라는 생각도 했었구요.

그런데, 지금은 24개월이 넘어서 기저귀 차고 다니는 아이들이 많고, 엄마들도 배변 훈련을 시키지를 않아서요.

이것도 세대차이의 한 부분이라고 봐야하나요?

그냥 궁금해서요.

IP : 115.86.xxx.2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돌돌엄마
    '14.6.27 8:53 PM (112.153.xxx.60)

    요즘은 두돌 넘어야 시작하는 분위기예요.
    저도 첫째 28개월쯤에 뗀 것 같고
    둘째 20개월인데 생각도 안 하고 있어요~
    일찍 떼면 떼는 데 오래걸리고 아이도 스트레스 받는다고.. 기저귀 일찍 떼서 좋을 건 기저귀값 안 드는 것밖에 없다고들 ^^;;

  • 2.
    '14.6.27 9:41 PM (110.70.xxx.92)

    요샌 애들 정서적..그거 되게 신경쓰잖아요
    의사부터
    두돌전후라 의사샘이 말하던데
    아기의사 반해서 하면 틱도 온다 하셨구

    어린이집 다니면 그냥 보고 배운다
    냅두라하시더군요

    아기한테 몇번 시도하다
    요새 다시 하는데 금새 잘하더라구요
    한글처럼 마찬가진것 같은데
    어차피 할건데 굳이 시간 걸리며 그전에 빨리는
    정말 기저귀값 절약밖엔..
    애가 26개월인데
    이틀 말해주니
    낮엔 바로 가리더라구요
    밤에도 기저귀 안 찬다하던데 그건 안되구ㅠ

  • 3. ..
    '14.6.27 10:38 PM (119.204.xxx.99)

    요즘은 육아서가 많아서 그런지 억지로 하지않는편이랍니다. 이론적으로는 억지로 떼면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서요. 가끔 억지로 떼는 경우도 봤는데 전 좀 무식하다고(죄송)생각되더라구요. 개인차가 무지크더라구요. 7개월에 스스로 떼는 여자아이가 있는가하면 소변은 남들할때 떼고 대변은 40개월 다되서 떼주신 저희 아들까지요. 전 절대 강요하지 않았거든요.

  • 4. ...
    '14.6.27 10:53 PM (211.36.xxx.231)

    아들이 27개월인데요 아들은 물론 어린이집 비슷한 또래들 아무도 안뗐어요...
    일단 저는 자기가 변기쓰고 싶어 할때까지 그냥 두려구요..
    뭐 네돌까지 못떼도 큰 문제있나 싶고
    엄마가 억지로 가르치는거 보다 자기가 챙피? 해서 알아서
    뗀다고 하지 않을까 싶어요
    근데 사실 제가 귀찮아서 그냥두는 것도 있어요...- -;;
    근데 늦게 기저귀 떼는게 않좋은가요?
    이 글 보니 급 걱정도 돼네요 ...ㅜㅜ

  • 5. ㅇㅇㅇㅇ
    '14.6.27 10:56 PM (59.15.xxx.140)

    억지로 하는거 정서에 안 좋다는 연구결과나왔대서
    일부러 좀 냅뒀어요
    게으른게 아니라 애를 좀 냅둬준거죠

  • 6. 16개월
    '14.6.28 12:16 AM (61.78.xxx.187) - 삭제된댓글

    훈련시킨 건 아니고 유아용 변기를 미리 사두고 몇 번 얘기만 했는데 16개월부터 스스로 가리기 시작했어요..
    두 돌 전인데 잠자다 애가 없어져서 불켜고 찾아보니 잠자던 애가 거실에 있는 변기 있는 곳까지
    이동해서 변기에 앉아서 졸고있는 걸 보고 놀랍기도 하고 기특하기도 했어요..
    그 뒤로 30개월 무렵 수박 많이 먹고 바로 잔 저녁에 딱 한 번 이불에 소변 보고 실수한 적 없어요..
    깔끔한 성격이어서 그렇기도 한 것 같은데..갓난아기 때도 소변을 조금만 봐도 갈아달라고 보챕니다.
    우는 법은 없는데 기저기 갈라고 신호를 보냅니다. 기저귀 갈아주면 기분좋아 하고요..
    제 조카들은 36개월 지나서 가리는 애도 있고 그러던데 우리 애가 상당히 빠른 편이었어요..

  • 7. 랄랄라
    '14.6.28 2:26 AM (112.169.xxx.1)

    저언혀 신경 안쓰고 그런거 모르고 애키웠는데 대략 때되니 알아서 떼던데요. 유치원갈때까지 기저귀차는애 없으니 걍 냅두세요.

  • 8. 아이마다
    '14.6.28 5:18 AM (222.113.xxx.95)

    사실 기저귀 떼는게 짐도줄고 애도 부모도 편하지 않나요? 윗분들이 말씀하신것처럼 대소변 가리기가 아이 자존감하고 관련 있다는 육아 전문가의 의견과 아이마다 방광의 성숙?도가 달라 소변을 참고 화장실에서 할 수 있는 시기가 저마다 다르다고 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 예전에 애키웠던 사람들은 돌지나면 다뗐다며 아직 준비 안된 아이 기저귀 떼기 돌입해서 혼내고 강압적으로라도 해야된다고 조언하죠.
    아이가 준비가 되면 밤기저귀까지 한번에 떼는 경우 많구요. 학교 다닐때까지 기저귀 차는 아이 없잖아요. 내애가 다른애의 기준이 될 수 없는거 같아요.

  • 9. 두돌 지나
    '14.6.28 8:54 AM (211.178.xxx.199)

    저희 아이 중 3인데 두돌 지나고 나서도 좀 더 있다 뗀 것 같아요.
    따로 배변 훈련같은 것 한 적 없고요.
    위에 답변처럼 아무리 늦어도 학교 다닐때 기저귀 차고 다니는 아이 없으니 가만히 내버려둬도 저절로 되겠지 하는 생각이었어요.

  • 10. 제목만 읽고
    '14.6.28 11:25 AM (72.66.xxx.140)

    전 지금 기저귀 차는 아이 기르시는 어머니인데 궁금해서 다른 아이들이 궁금해서 물어보신줄 알았어요.
    기저귀 일찍 뗀다고 똑똑한 아이도 아니고, 늦게 뗀다고 엄마가 게으른것도 아니죠.18개월에 뗀 아이나 36개월 지나 떼나 어차피 어느 시점 되면 똑같아져요. 
    남의 아이들 말씀 하시나본데 아이 부모님이 어련히 알아서 잘 하겠죠. 근데 빨리 떼면 실수도 하고 오래 걸리는 반면, 나이 들어? ㅋ 떼면 하루 아침에도 떼요. (전 둘 다 경험해봤어요) 
    원래 육아에는 정서가 없죠잉?

  • 11. 울애들 중고딩인데
    '14.6.28 8:11 PM (222.236.xxx.157)

    아들딸 모두 18개월때 기저귀 떼었어요.
    여름에 팬티 입히고 잘못해서 쉬할경우 본인들이 팬티가 젖는거 인지하더니
    자연스럽게 가리더라구요.

    그런데 요즘 엄마들은 40개월이 돼도 기저귀 채우는 경우 많이 봐요.
    빨리 떼면 엄마나 아이들이나 여름에 땀차는 기저귀 안차도 되고 훨 좋지만
    늦게 뗀다고 특별히 늦되는 아이라는 건 아닌것 같아요.

    다들 엄마들의 의견이 어떠냐에 따라 빨리 훈련시키느냐 늦게 두는냐 차이인것 같아요.

    이제껏 봐온 아이들중 아주 특별하게 똑똑한 아이들 치고 늦게 기저귀 떼는 아이는 못봤어요.
    ~~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7646 미생 1회 보신분 1 ... 2014/10/18 1,894
427645 삼시세끼 보고나니.‥ 10 주부 2014/10/18 5,103
427644 플루트 저렴하게 배울 수 있는 곳 있나요? 6 플루트 2014/10/18 1,497
427643 믹스커피 끊고 살쪘어요 ㅠㅠ 10 ... 2014/10/18 5,089
427642 한 겨울에도 자전거 타시는 분들 의류 조언좀 해주세요 3 , 2014/10/18 965
427641 장하성 "진보 진영, 당분간 집권 포기해야" 5 장하성 2014/10/18 1,659
427640 아이들 환절기 잠바 사려고 해요 1 벌써초딩엄마.. 2014/10/18 690
427639 요즘 홈케어라고 에스테 제품 쓰는거 유행인데 써보신분? 1 2014/10/18 1,313
427638 월요일에 산 쇠고기.. 1 궁금 2014/10/18 615
427637 코스트코 레몬 무게 2014/10/18 1,461
427636 제가 좀 정이 없죠? 13 친목따윈 개.. 2014/10/18 2,823
427635 면생리대 몇개를 사야할까요? 1 0행복한엄마.. 2014/10/18 1,406
427634 저도 상황이 답답해서 속풀이 좀 해볼게요 14 ... 2014/10/18 3,269
427633 구호 입으시는 님들 4 통통사이즈 2014/10/18 2,824
427632 안녕하세요!어머니 옷 브랜드로 라코스테, 해지스 빈폴 등등 괜찮.. 7 유관장 2014/10/18 2,549
427631 판교 야외공연 기획 담당자 투신자살 37 ... 2014/10/18 12,602
427630 북한인도 쓰는 카톡!! 5 ㅇㅇㅇ 2014/10/18 1,160
427629 김필보단 임도혁 5 손님 2014/10/18 1,800
427628 앞니가 톡 빠지는 꿈 3 tealia.. 2014/10/18 1,597
427627 국립수목원 땅, 앞뒤 안 맞는 수상한 감정..특혜인건가 또하나의사기.. 2014/10/18 775
427626 보리 2회 보는데요 2회 2014/10/18 646
427625 소개팅후 마음에 안들경우.. 1 ㅠㅠ 2014/10/18 2,448
427624 최근들어 꿈에 자꾸 나타나요.. 3 전남친 2014/10/18 1,368
427623 턱보톡스 반영구 진짜 가능한가요 4 아침햇살 2014/10/18 9,133
427622 글좀 찾아주세요 남편외도관련.. 2014/10/18 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