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형광등을 달지 않고 간접조명을 사용하는 이유,아세요?

미국 조회수 : 7,322
작성일 : 2014-06-26 21:57:34

미국 유학와서 제일 답답한게 바로 어두운 거예요.

밤되면 오직 간접조명에 의지해야 하고'''.

물론 부엌만 형광등이라 그 밑에서 책을 읽을 정도였어요.

형광등이 어찌나 그리웠는지 모릅니다.

그네들도 무슨 이유가 있을 텐데,과연 무엇일까요?

IP : 14.46.xxx.165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6.26 10:04 PM (211.177.xxx.43)

    한국사람 제일 먼저 구매하는 아이템.. 형광등...

  • 2. 나두궁금
    '14.6.26 10:08 PM (112.173.xxx.214)

    아시는 분 댓글 얼릉 달아주세요.
    목 빠지것으...

  • 3. 실제로 그런가요
    '14.6.26 10:08 PM (61.79.xxx.76)

    저는 영화만 봐도 볼 때마다 답답해요.
    왜 그리 컴컴하게 하고 사는 지..
    어휴..갑갑해요

  • 4. ..
    '14.6.26 10:09 PM (211.178.xxx.93)

    저는 한국사람인데도 너무 밝은거 싫고, 특히 흰 형광등 불빛.
    외국처럼 스탠드 놓고, 간접조명으로 은은한게 좋던데요...
    밝으면 신경이 사나워지더라구요...

  • 5. 미국
    '14.6.26 10:11 PM (58.143.xxx.100)

    미국여행때 같은 경험
    지인들에게 물어보니 백인 눈이 빛에 약하데요
    그래서 거리 가로등도 약하다네요

  • 6. 저도
    '14.6.26 10:22 PM (218.233.xxx.192)

    저도 윗님처럼 알고 있어요. 그래서 선글라스도 꼭 쓰죠.
    꼭 패션때문만이 아니라요.

  • 7. ,,,
    '14.6.26 10:34 PM (116.34.xxx.6)

    에너지가 넘쳐났을때 버릇을 아직도 가지고 있는 거지요
    그네들의 에너지와 자원 낭비는 혀를 내두를 정도입니다

  • 8. 아하
    '14.6.26 10:45 PM (114.129.xxx.165)

    그래서 미드 CSI에서 어두컴컴한 집안에서 후레쉬 비춰가며 조사하는 장면이 많았군요.
    왜 형광등을 안키고 후레쉬로 저러나 했어요.

  • 9. * * *
    '14.6.26 10:54 PM (122.34.xxx.218)

    남편이 독일에서 오래 살았어요..

    10여년 만에 한국에 돌아와 생경하게 느껴지던 것 중 하나가
    아파트의 '전면창' 이었대요....

    보통 독일집들은 벽이 엄청나게 두껍고 벽 중간 중간 조그마하게
    창이 있었대요.... 그런데 독일인들은(아니 유럽인들은)
    그 작은 창으로 들어오는 햇살 마저 커튼으로 가리우고 살더라고....

    대낮에 커튼 드리우고.. 낮임에도 실내엔 스탠드 하나둘 켜놓고...

    그렇게 살다 들어오니 일단,
    눈이 부시게 밝은 거리 거리와(특히 휘번쩍한 간판들)
    집집마다 거실의 형광등.....이 적응하기 힘들고

    그리고 한국의 베란다 (샷시) 문화와
    실내의 창들이 모두 전창(-이거 뭐라고 표현할지-) 인 게
    참 새삼스레 신기했다는군요,...

    그렇게 주-야간으로 조도를 엄청 낮추고 살면서도
    또, 페인트 칠은 노란빛을 선호해서 (독일은 벽지-월페이퍼 사용은 거의 없고
    다 페인트칠이라고) 집들 자체는 화사하고... ^^

  • 10. ...
    '14.6.26 11:27 PM (211.214.xxx.45)

    근데 밤에 간접조명 이용하고 어둡게 지냈더니 이웃집 소음이 너무 크게 들리더라구요. 그래서 어쩔수 없이 형광등 키고 밝게 삽니다...

  • 11. ...
    '14.6.26 11:31 PM (124.195.xxx.150)

    간접조명 쓰는게 눈에는 더 좋지 않나요?
    우리나라 초중고 아이들중에
    안경 쓰는 아이들의 비율이 서양에 비해 월등히 높은 거 같아서요.

  • 12. 꿀꿀
    '14.6.26 11:54 PM (210.217.xxx.81)

    10년전.. 교환학생으로 미국갔을 때 컬러사이컬러지 수업때 들은 내용인데요..
    형광등은 사람얼굴을 창백하게 만들고, 분위기도 차갑게 만들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더 설명 해줬던거 같은데.. 오래되서 잘 생각이 안나네요.

  • 13. ..
    '14.6.27 12:00 AM (125.191.xxx.10)

    집 = 휴식인데, 형광등은 긴장하게 만들고 (정신을 또렷이 하게..)
    그래서 휴식에 맞지않으니 자연스레 그리 된 것 같아요.
    대신 인테리어도 작은 불빛으로도 어둡지 않게
    밝게 하는 것 같구요.

  • 14. 킬링라이트
    '14.6.27 1:15 AM (211.36.xxx.170)

    라고도 하더라구요
    밤은 휴식의시간인데 대낮처럼 만들어놓는 불빛
    밤문화가 유난히 발달한 우리나라사람들은 아무렇지않지만
    어두워지면 가게도 문을닫고 어른도 애도 일찍들자는 서양사람들에겐
    맞지않나봐요
    누가 이민갔더니 밤에 그렇게 못자던 애들이 서양애들처럼 초저녁이면 골아떨어지더라고
    어둑어둑한 불빛이 몸의 생체리듬을 방해하지않는거같아요

  • 15. 물어봤어요.
    '14.6.27 2:14 AM (24.57.xxx.38)

    제가 캐나다에 살고 있는데 주변에 물어봤었어요.
    한결같은 대답은...(궁금하시죠?^^)

    집이란 곳은 쉬기 위한 공간이고 휴식을 위한 곳이다. 저녁에 일을 마치고 집에 와서는 편안하게 쉬면서
    안정을 취해야 하는..그래서 은근한 조명에 정신적인 안정을 취하는 것이다.
    형광등은 일하는 공간, 사무실이나 마트, 이런 곳에서 집중하면서 바쁘에 일할때 필요한 불빛이다..
    이렇게 이분법적으로 생각하더라구요.

  • 16. 윗분
    '14.6.27 2:17 AM (82.216.xxx.61)

    맞아요. 제 외국인 남편과 친구들도 그렇게 얘기하더라구요.
    한국사람들은 왜 집에 가서도 사무실에서처럼 조명을 피곤하게 해 놓냐구요

  • 17. 그런
    '14.6.27 3:36 AM (36.38.xxx.45)

    너무밝은 형광등이 켜진상태로살아서 익숙해지긴햇지만 사실 너무밝아 안정이 안되는 느낌이잇어요
    차가운 빛이기도하고.
    제맘대로 살수잇다면 전 은은한 노란빛의 간접조명을 하고살고싶어요 그런데 가족들은 싫어하니 그리못하고 사네요. 외화에서 나오는 스탠드 켜놓은 집이 전 참 좋더라구요

  • 18. 영화나 미드에서...
    '14.6.27 10:54 AM (218.234.xxx.109)

    영화나 미드에서 제일 답답할 때가 그거였어요.
    침실에 자려고 누웠는데 주방이나 현관에서 무슨 소리가 난다(침실은 2층에 있고 주방은 1층) 그러면
    우리 같으면 침실 불부터 환하게 켜고 동선 따라 불을 다 환하게 켜가면서 확인하잖아요.
    근데 쟤네들은 왜 저 작은 백열등 하나 켜놓고 이리 기웃 저리 기웃 하다가 결국 살해당하고 저러나...

  • 19. 자끄라깡
    '14.6.27 9:43 PM (119.192.xxx.215)

    윗님 빵 터졌어요.
    이리저리 기웃 하다가 결국 살해 ㅋ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4634 미스 미얀마 진짜 이뿌죠? 19 미모대단 2014/09/04 6,478
414633 불펜 펌> 초모범생 안철수의원 16 그린 2014/09/04 1,909
414632 전세집에 도배하는게 그리 아까운 일인가요? 28 그냥 2014/09/04 7,559
414631 1박2일 서울에서 휴식하기 좋은곳 어디 있을까요? 휴식 2014/09/04 855
414630 라디오스타 신해철보고 깜짝 놀랐어요. 이혁재인줄.. 10 어제 2014/09/04 4,762
414629 바이텍스 드셔보신분 1 ㅇㅇ 2014/09/04 7,330
414628 고딩아들이랑 영화보기 3 영화보기 2014/09/04 888
414627 어제 올라왔던 영어공부법.... 5 타도에요 2014/09/04 2,635
414626 영어챕터북 꾸준히읽는 아이들 영어 잘하나요?? 15 영어 2014/09/04 3,625
414625 오십대 하루에 운동 얼마나 하세요? 3 댜이 2014/09/04 2,479
414624 미국인한테 홍삼 액기스 선물 어떤가요?? 7 정관장 2014/09/04 1,875
414623 7살 친구딸, 7살 우리딸 6 ... 2014/09/04 1,594
414622 황금레시피 소갈비찜 질문이요! 놓지마정신줄.. 2014/09/04 2,970
414621 갑상선 기능저하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는데요~ 5 갑상선 2014/09/04 2,745
414620 방콕 가는 비행기 원래 비싼가요? 호텔질문도 5 방콕 2014/09/04 2,213
414619 애봐주시는 분 계셔도 초등 1학년땐 휴직하는게 낫나요? 1 여행가고싶다.. 2014/09/04 2,078
414618 조카의 방문 5 외동맘 2014/09/04 1,660
414617 사랑하는 여자친구가 시간을 갖고 싶다고 하는데 어찌해야할까요.... 6 회동짱 2014/09/04 5,619
414616 하루 1시간걷는건 운동안되죠? 13 2014/09/04 4,077
414615 치과에서 잇몸 때우신 분 계신가요? 14 낚인건가. 2014/09/04 9,812
414614 관세사직업 5 ^^ 2014/09/04 3,601
414613 고등학생 한달 용돈 얼마가적정한가요? 10 고1 2014/09/04 2,826
414612 김제동 청운동에서 세월호 유족앞 찾아 길거리 강연.감동.. 5 행성B612.. 2014/09/04 1,097
414611 부모님들, 아이들이 학교에서 뭘 배우는지 관심 좀 가져주세요 2 역사교사 2014/09/04 1,091
414610 요즘 마트에서 햅쌀 사보신분들 괜찮으셨나요? ㅇㅇ 2014/09/04 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