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습기 굳이 용량 큰걸로 몇 십만원 주고 살 필요 없는듯 해요.

제습기 조회수 : 19,728
작성일 : 2014-06-26 13:54:21

전에 살던 집에 습기가 너무 많아 급기야 곰팡이가 번지기 시작해서 스트레스 받아하던 차에

제습기 샀었는데요.

그때는 지금처럼 제습기가 유행하던 때도 아니었어요. 2010년에 샀으니까요.

제가 사고 나서 일 이년 사이에 홈쇼핑에 퍼지면서 너도 나도 사고 살까 고민하고 하더라구요.

일단 정말 효과는 많이 봤어요.

곰팡이가 더이상 생기지 않더라구요. 완전 그당시의 스트레스를 생각하면 대박 이었죠.

지금은 집을 이사해 그런 경우는 없지만 장마 때 빨래 말릴때나 안방 침대 눅눅해 질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어요.

그래봐야 일년에 몇 일 안써요.ㅎㅎ 뭐 에어컨 이런 것도 마찬가지겠죠.

그런데 저는 그 당시 19만원인가 주고 위닉스 제품 6리터 짜리로 샀어요.

지금 나오는 제품들 용량에 비하면 턱없이 작아 보이지만

어차피 집 전체를 통채로 뽀송뽀송하게 제습 할 순 없거든요.

작은방에 빨래 건조대 두고 밤새 돌리고 아침에 보면 6리터에 물이 가득 차고 빨래는 다 말라 있어요.

눅눅한 방에 그때 그때 가져다 놓고 문 닫아 놓고 돌리면 뽀송해진다 싶어도 6리터가 다 안차더라구요.

지금 나오는 제품들은 용량이 엄청 큰 대신 가격이 거의 사오십 하는 것 같던데.

제습기는 강추고 여름에 정말 필요한 물건이라 생각하지만

굳이 대기업 제품들로 용량 큰거 몇십만원 주고 사지 않으셔도 될 듯 해서 글 남겨봐요~^^ 

IP : 125.177.xxx.38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6.26 1:57 PM (183.109.xxx.150)

    저도 10만원대 작은거 샀다가 쳐박아두고 큰거 사서 너무너무 만족하고 있어요
    전력소모부터 다르구요
    시간절약도 확실하고
    전 제습기나 식기 세척기는 무조건 큰거 사는게 좋다고 생각해요

  • 2. 전력소모...?
    '14.6.26 1:58 PM (125.177.xxx.38)

    전 굳이 전기세 눈여겨보지 않아도 될정도로
    미비하던데요...제습기때문에 전기세 신경쓴적은 한번도 없어요.

  • 3. 큰놈강추
    '14.6.26 2:08 PM (118.36.xxx.143)

    예를 들어 6리터짜리 12리터짜리비교하면
    6리터짜리 2시간 돌릴 것과
    12리터짜리 1시간 돌리는 거랑 같아요.
    방방 돌려가며 제습하고 빨래도 건조해야하는데
    용량 큰걸로 빨리하는게 낫죠
    열기도 장난 아닌데 종일 틀어놓을수도 없고

  • 4. 윗님
    '14.6.26 2:23 PM (59.6.xxx.251)

    저도 윗님과 같이 알고 있어요.
    제습기 용량이 물통 크기가 아니라 물을 흡수하는 속도의 차이라고..
    그래서 용량 큰 게 좋아요.

  • 5. 흠..
    '14.6.26 2:24 PM (125.177.xxx.38)

    글쿠나..전 용량 작은걸로 만족하고 살았기에
    (큰 걸 써본일이 없으니)
    요금 가격이 너무 비싼 것 같아 가격 대비 글 써봤어요.
    써보신분들 다수가 큰 용량이 좋다 하시면 그게 더 좋은가보네요~

  • 6. 큰놈강추
    '14.6.26 2:28 PM (118.36.xxx.143)

    네, 리터(L)라는 게 정확히는 일정한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제습되는 양을 말하는 거죠.
    12L는 24시간 가동하면 12리터 제습된다는것이구요.
    설마 물통크기로 가격이 결정된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겠지요??

  • 7. 미니
    '14.6.26 2:34 PM (222.106.xxx.57)

    원글님 덕분에 좋은 정보 얻어가요.. 저도 모르고있었거든요.

  • 8. ==
    '14.6.26 2:42 PM (147.47.xxx.73)

    저는 작년에 샀는데, 작은 건 바퀴가 없어서 불편하더라구요. 다른 방으로 옮겨가면서 써야하는데, 무거우니 옮기는 게 너무 불편하네요. 가격 차이가 커서 큰 걸로 안 샀는데, 돈이 충분하시다면 무조건 바퀴 있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작은 용량은 바퀴 없이 만들고, 큰 용량만 바퀴 만들어놓은 것 좀 얌체같아요. 제습기 작은 게 무슨 1-2kg 짜리고 아니고 10kg 짜리를 이 방에서 저 방으로 옮겨가는 걸 매일 하자니 너무 귀찮아요.

  • 9. ..
    '14.6.26 2:52 PM (220.77.xxx.185)

    저도 이번에 제습기 처음 사보는거라 용량때문에 고민했었거든요. 저도 원글님 덕분에 몰랐던 걸 알아서 좋네요.

    원글과 더불어 댓글로 정보 나누는 82님들이 있어 자게가 건강한것 같아요.

    그리고 쿨하게 받아들이는 원글님 좋은 분 같아요.^^

  • 10. 주은정호맘
    '14.6.26 3:31 PM (112.162.xxx.61)

    4인가족인데 냉장고 세탁기 김치냉장고 공기청정기 밥통 다 작은용량으로 샀어요 집도 20평대 좁은평수지만 가전은 큰걸 선호하지 않는지라...티브이만 46인치인데 하루종일 티브이보는걸 좋아해서 이건 잘샀다 싶어요 ㅎㅎ

  • 11. ㅡㅡㅡ
    '14.6.26 4:42 PM (121.130.xxx.79)

    저도 6리터 10만원안되게주고사서 작은방이넣고 써요
    바퀴도있고 어차피 끄면 순식간에 눅눅해져서 계속 켜고있으니 전 작아서 부담없고 좋아요

  • 12. 건너 마을 아줌마
    '14.6.26 5:51 PM (222.109.xxx.163)

    제습기 구입 고민중. 정보 감사해용~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7886 세부 샹그릴라 리조트 요즘 가는거 어떤가요 4 ... 2014/07/16 2,016
397885 제2 롯데월드 미스터리 7월 오픈 무산된 이유는? 7 큰일날뻔 2014/07/16 2,551
397884 발아현미 집에서 해드시는 분~~ 14 알려주세요 2014/07/16 1,999
397883 강쥐 사과 3 견주초보 2014/07/16 1,211
397882 앞무릎쪽이 어딘가 부딪힌것처럼 아픕니다. 1 무릎 2014/07/16 716
397881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7/16am] 짧지만 굵었던 5분? lowsim.. 2014/07/16 708
397880 "朴대통령, 최경환 장관 등 5명 어제 임명".. 6 헐~ 2014/07/16 1,368
397879 초6 남자애 키우시는 맘님들.. 7 발육상태 2014/07/16 1,371
397878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백제의 역사 mac250.. 2014/07/16 1,369
397877 제주도 VS 거제도 5 가족여행 2014/07/16 2,498
397876 급질..김천실내체육관근처에 1 커피중독 2014/07/16 1,240
397875 노각 짜게 절여졌을땐 어떻게해요?ㅠ 3 샤랄 2014/07/16 1,200
397874 동물병원 소개... 급합니다. 6 ... 2014/07/16 1,679
397873 '올가'에는 괜찮은 식품들이 뭐뭐가 있나요? 3 올가 2014/07/16 1,651
397872 동생 결혼식에 엄마 쥬얼리 조언부탁드려요 5 헷갈려요 2014/07/16 1,391
397871 26평..31평 어떤걸 선택해야하나요? 14 우리집 2014/07/16 3,489
397870 대선개입 부정선거 원세훈 전 국정원장-징역4년 4 쥐와 닭도 .. 2014/07/16 827
397869 2014년 7월 16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2 세우실 2014/07/16 604
397868 패션 1 .... 2014/07/16 710
397867 선천적으로 수학머리 없는 아이는 1:1과외도 소용 없나봐요.. .. 6 수학 2014/07/16 4,293
397866 안철수 새정치연합, 접전지역에서 거의 전부 열세 38 여론조사 2014/07/16 2,310
397865 생일인데 참. . 10 귤사 2014/07/16 1,189
397864 단식 동참 24시간째입니다 7 소년공원 2014/07/16 1,427
397863 세월호 팔찌 살 수 있는 곳 6 가르쳐주세요.. 2014/07/16 1,060
397862 외국어 잘하는 것을 재능이라고 할 수 있나요? 26 우리아들빠샤.. 2014/07/16 6,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