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확실히 예체능계는 인문계와 다르네요

예체능 조회수 : 5,558
작성일 : 2014-06-25 08:29:23

고지식한 모범생 애들보다

잘 노는 애들이 실기도 뛰어나게 잘하네요..

성실한 모범생 입장에서 생각할때

자기네들은 놀지도 않고 매일 매일 열심히 연습했는데..

실기점수는 오히려 소위 노는 애들이라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더 높게 나오니 이렇게 억울하고 약오르는 일이 어디 있겠어요....

그런 이유로 많은 성실한 학생들이 슬럼프에 빠지게 됩니다..

예체능계에서는 그 '끼'라는 것이 참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더군요..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끼있는 아이들의 공통점은 또 끈기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네요..

평소에는 거의 노는 쪽에 집중합니다

그러다 시험 직전에 또 벼락치기로 다 해내더군요..

그것도 참 대단한 능력이다 싶습니다.. 

실전에서의 집중력은 또 무서울 정도로 강하구요..

그렇게 귀신같고 괴물같은 아이들이 의외로 많습디다..

한창 자기 꿈을 키우고 그 꿈을 향해 열심히 정진해야 할 중요한 청소년 시기에

벌써부터 저런 상실감을 느껴며 좌절하여 중도에 자기 꿈을 포기하려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간혹 그래도 결국은 성실한 애들이 살아남는다라는 말을 하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그러기엔.. 아직 어린 아이들에겐 너무나도 긴 마라톤이네요..... 

이 세상 쉬운일이 어디 있겠냐만

예체능 전공 정말 겪어본 본들은 다 아실겁니다.....

 

 

 

  

 

IP : 218.38.xxx.13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글쎄요
    '14.6.25 8:33 AM (211.36.xxx.184)

    디자인이나 공예쪽은 아닌듯
    끼도 중요하지만결국 본인이 고민하고 몰입한 시간양도 중요해요

    디자인은 애인다루듯이 해라

    애인 생기면 밤낮으로 생각하듯이 그런 애정과 근성 끈기가 있어야 해요.

  • 2. 원글
    '14.6.25 8:36 AM (218.38.xxx.13)

    예체능도 범위가 넓긴 하지요.. 음악계 얘기입니다..

  • 3. 경험자 맘
    '14.6.25 8:37 AM (123.215.xxx.209)

    끼도 문론 중요하지만... 일반적인 한계 내에선 성실, 노력이 둥요하다고 봐요. 끼있고 노는 거같이 보이는 애들도 보이는게 다가 아닐거 같고 입시에선 성실, 노력, 의지가 더 중요한거 같아요!

  • 4. 다 마찬가지
    '14.6.25 8:40 AM (124.53.xxx.27)

    예능이든 공부든 다 비슷한데 같아요
    재능이 어느 정도 있는 상태서 의지를 갖고 노력해야 하는거

  • 5. ㅡㅡㅡㅡ
    '14.6.25 8:41 AM (203.226.xxx.105)

    성공했다는 음악가 나와서 하는 얘기 들어보면 연습량이 살인적이던데요

  • 6. ㅎㅎ
    '14.6.25 8:42 AM (180.68.xxx.105)

    결국엔 그 끼 있는 애들중에 성실한 애들이 살아남아요. 아무리 잘해도 불성실한 애들은 결국 아웃됨.
    잘하는 사람들은 널렸거든요. 요즘 왠만하면 다 잘합니다....ㅡㅡ;;;;

  • 7. 끼리끼리 할때는
    '14.6.25 8:43 AM (59.27.xxx.47)

    그 넘의 끼가 크게 보이지만
    경쟁 상대가 대한민국 전체가 되면 끊임없는 성실함보다 나은 것 없어요
    이만시간의 법칙이라고 하잖아요
    어떤 일이든 이만 시간을 집중해서 하면 전무가가 된다고요
    일회일비는 어떤 분야도 있어요
    그 감정의 파고를 그 순간마다 넘어가는 것도 재능중에 재능이에요

  • 8. dma
    '14.6.25 8:53 AM (39.121.xxx.7)

    근데 진짜 그런끼있음..한국서 예체능 못해요.장한나는 끼없어 갔나..
    여긴 돈입니다.

  • 9. 원글
    '14.6.25 8:54 AM (218.38.xxx.13)

    그 감정의 파고를 그 순간마다 잘 넘기는 것이 가장 어려운 숙제네요..ㅠ

  • 10. 조수미도 서울대 시절
    '14.6.25 8:54 AM (180.65.xxx.29)

    연습안하고 맨날 놀고 해도 최고로 잘했다고 하잖아요. 타고나는 부분은 어쩔수 없는듯해요

  • 11. ㅎㅎㅎㅎㅎ
    '14.6.25 8:58 AM (203.249.xxx.10)

    끼 있으면서 성실하고 무섭게 노력하는 애들이 대어급이 됩니다.
    끼 있어도 노력안하고 방치하면 금새 반짝이다가 무너지고요,
    아무리 노력해도 끼없고 재능없는 애들은 두드러지게 반짝이진 않지요

  • 12. 좋은날
    '14.6.25 9:14 AM (183.106.xxx.220)

    한국 입시 위주식 예체능 교육은
    재능있는 아이도 오히려 끼를 죽이는거 같아요.

    대학들어와서 자괴감 느끼고 전공 바꾸거나
    유학 가서 다른일 하면서 그나라에 눌러앉은 친구들을 봐와서요.

  • 13. 점둘
    '14.6.25 9:16 AM (218.55.xxx.75)

    공부도 재능이니 결국 겉은거에요
    인문,자연,예체능 모두 재능+성실해야 살아남죠

  • 14. ㅎㅎ
    '14.6.25 9:18 AM (121.162.xxx.53)

    예술은 사기다라고 말한 백남준이 어느정도로 똑똑하고 얼마나 열심히 작업에 매달렸는지 ㅎㅎ 아시나요?
    좁은문이에요. 예술가로 이름이 알려지고 돈까지 버는 위치까지 간 사람들중에 놀고 먹은 사람들 없어요.
    낸시랭도 ㅎㅎ작품수는 많았어요. 지금은 뭘하는지 모르겠지만....그냥 노력해도 안되는 사람은 거기까진거에요.
    그래도 대단한거죠. 중간에 탈락하는 사람들도 많은데..재능있는 사람들과 동등한 위치까지 가는 테크니션이 되는것도 ㅎㅎ

  • 15. 입시
    '14.6.25 9:36 AM (123.215.xxx.209)

    음악은 결국은 실기더라구요.

  • 16. ...
    '14.6.25 9:55 AM (183.102.xxx.158)

    피아노 조성현군 보면 그런 이야기 안나와요.
    연습량이 어마어마합니다.
    재능도 있지만 연습량도 무지막지하죠.
    그래서 세계적 콩쿨을 휩쓰는거에요.
    예원, 서울예고라면 다들 아실걸요.

  • 17. 윗님
    '14.6.25 9:58 AM (218.38.xxx.13)

    조성진이겠죠..

  • 18.
    '14.6.25 10:02 AM (211.51.xxx.98)

    원래 음악 분야는 한 두명의 천재가 있고 나머지는 들러리라는 얘기가 있잖아요.
    엄청 잘해서 서울대 음대 들어갔더니, 정말 천재가 한, 두명 있어서
    그 애들을 보면 자신이 들러리밖에 안되겠다는 좌절감을 절로 느낀다고 하대요.

    그렇지만, 미술 쪽은 약간 다른 것 같기도 해요.
    아이가 회화 쪽인데, 재능도 물론 타고 나야 하지만 무조건 엄청나게 그려야 하더군요.
    게으르면 빛을 발할 수가 없어요. 타고난 재능에 타고난 성실성을 갖춰야만
    미술 쪽은 성공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19. gg
    '14.6.25 10:12 AM (211.109.xxx.19)

    주변에 고만고만한 아이들 보고 일반화시키기엔...



    어려서 연습량이 이미 어마어마한 피아노천재를

    어른들은 그 연습량을 모르기 때문에 ' 타고난 재능이 뛰어나다'

    라고 표현하더군요.

    물론 재능 없지야 않겠지요.

    참고로 서울대 음대 교수하는 제 동창 이야기입니다.

    행여나 잘 모르고 폄하하실까봐 덧붙여보자면, 이 친구가 공부도 전교1등 한 전력있습니다;;

  • 20. ....
    '14.6.25 12:01 PM (14.46.xxx.209)

    타고난 재능 만으로 길게 못 버텨요.결국은 어마무시 연습량까지 더해져야 그길로 성공가능 합니다.재능 무지 있는친구가 안일함으로 결국은 도태되는걸 보니 안타깝더군요.

  • 21. ...
    '14.6.26 10:04 AM (183.102.xxx.158)

    앗 조성진이네요.
    조성현은 플룻이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4402 사랑지다 - 남과 여, 불문율에 대한 지나다가 2014/07/03 786
394401 목,코 감기 빨리 낫는법 아시는분 ㅠㅠ 3 임산부감기 2014/07/03 3,268
394400 독일에서 사올만한 아이들 선물이요.. 8 ^^ 2014/07/03 2,680
394399 원글지웁니다 41 2014/07/03 9,101
394398 찌개용 두부 으깨서 순두부 찌개처럼 할수 있을까요? 6 혹시 2014/07/03 1,476
394397 부정적/불안감이 너무 많은 엄마, 애 망치고 있나봐요 4 애 망치는 .. 2014/07/03 2,069
394396 서정희 고소인 "10년 알고 지냈는데..전세금 20억받.. 10 뻔뻔하네 2014/07/03 8,022
394395 입주시 천정형 에어컨 신청, 왜 공동으로 신청하는 금액이 더 비.. 5 .. 2014/07/03 5,193
394394 세계보건기구는 사춘기를 질병으로 분류하라 1 너도나도 2014/07/03 1,219
394393 새누리 국조 파행시키고.. 해경청장 몰래 만나다 들켜~ 6 국민몰래 2014/07/03 1,183
394392 홍명보 감독 유임때문에 차두리가 화났네요. 9 .,?! 2014/07/03 4,746
394391 김어준 평전 3회 - 인생의 새 전기, 배낭여행 3 lowsim.. 2014/07/03 1,570
394390 "억" 소리 나는 변호사 '성공 보수'..무죄.. 1 파렴치한 2014/07/03 963
394389 차두리 트윗 21 .. 2014/07/03 9,252
394388 [세월호 진상규명] 오랫만에 글을 남깁니다... 1 청명하늘 2014/07/03 1,013
394387 감자에도 종류가있나요? 7 123 2014/07/03 2,249
394386 올 세수부족 9조 전망…증세없인 박대통령 공약이행 ‘암울’ 3 세우실 2014/07/03 945
394385 완두앙금 어디다 쓰면 좋을까요? 3 .... 2014/07/03 684
394384 에버랜드 평일에 가면 그래도 한산한가요? 1 .... 2014/07/03 1,566
394383 친구가 카톡차단 4 ..... 2014/07/03 2,680
394382 슈퍼맨 사랑이 하차 안하네요.. 5 ㅇㅇ 2014/07/03 5,257
394381 매실 장아치 담글때. 1 ... 2014/07/03 751
394380 계약한 아파트 매물이 인터넷에 올려져있어요 7 ? 2014/07/03 2,727
394379 드디어 향수샀어요!(구입후기 ㅎㅎ) 9 ㅇㅇ 2014/07/03 3,626
394378 레이디 디올 클러치 어떨까요? 디올 2014/07/03 1,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