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금 아기들이 컸을 쯤엔 고부갈등 없을까요?

....... 조회수 : 2,344
작성일 : 2014-06-24 08:12:21

여자와 남자가 똑같이 일하고

남자의 외모가 중요해지고

고부간의 갈등은 없어지고

동거가 많아지지 않을까요?

IP : 61.101.xxx.16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백김치
    '14.6.24 8:15 AM (175.114.xxx.175)

    고부갈등은 ᆢ아뇨
    동거는 이미 많은 듯

  • 2. 아니요
    '14.6.24 8:16 AM (59.24.xxx.162)

    아니요~ 더 심해질거에요.
    다들 자식이 하나 아니면 둘인데, 거기다가 어느 누구 하나 자기 자식에게 애정(본인이 볼 때)울 쏟지 않는 사람이 없으니까요.

  • 3.
    '14.6.24 8:16 AM (122.36.xxx.75)

    장서갈등이 많이 생긴거보면 ‥ 고부갈등도 없어지진 않을거같아요
    다만 지금보다 많이 좋아지겠죠^^
    저희부모님세대랑 저희세대랑 많이 차이 나듯‥

  • 4. ㅡㅡㅡㅡ
    '14.6.24 8:17 AM (175.195.xxx.42)

    외국처럼 대학들어갈 시기에 부모로부터 독립하면 가능할듯요. 부모가 결혼비용 보태야하고 집도 마련해줘야 하는 지금 정서로는 절대 불가능이구요

  • 5. 글쎄..
    '14.6.24 8:18 AM (125.132.xxx.28)

    10년전보다 심한 건 사실이라서. 이게 반드시 변화가 좋은 방향으로만 가지는 않는것 같아요.

  • 6. 장난해?
    '14.6.24 8:32 AM (219.250.xxx.89)

    내가 겪은게 있는데 넌 지금 이까짓걸로 힘들다고 그래?
    이렇게 생각하는 분들이 더 많을껄?

  • 7.
    '14.6.24 8:38 AM (223.62.xxx.4)

    자식도 평생 자기손아귀에서 놓지못할텐데요 고부갈등이 없어질리가..

  • 8. ㅁㅁㄴㄴ
    '14.6.24 8:39 AM (122.153.xxx.12)

    고부갈등은 줄어들고 장서갈등이 커지고 있죠 요즘은

  • 9. 점둘
    '14.6.24 8:41 AM (116.33.xxx.148)

    정서적 독립은 경제적독립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요
    결혼비용도 직접 해결하지 못한채 하는 결혼
    양가에서 자유로울수 없다 생각하구요

    부모 역시 노후에 자식으로부터 독립하려면
    경제력이 있어야하는데
    각집마다 사교육비가 우선인지 노후자금저축이 우선인지
    살펴보면 답이 나오죠
    지금이야. 우리는 세대가 다르니 안그럴거다 하고
    아이들한테 기대지 않겠다, 너희는 너희 삶을 살아라하지만
    현실은 먹고살돈 없는 노후 누구에게든 의지 하지 않을까요?
    우리는 부모를 책임져야한다라는 책임을 어릴적부터 보고 배웠고
    강요받아와서 힘들어도 참고 해야한다는 부분이 있지만
    지금 우리 아이들에겐 그것마저도 없죠
    그렇다면 갈등은 더 많을테고 해결은 어렵겠죠
    다만, 아들 딸 구분없이 가르치고 교육시켰으니
    고부갈등, 장서갈등, 사돈갈등 첨예할듯합니다

    제 결론은 사교육비 줄여 노후자금 만드는게
    내 아이를 진정 위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 10. 고부갈등은
    '14.6.24 8:46 AM (211.177.xxx.197)

    아들에게 평생 집착하는 정신병적인 부모가 빚어내는갈등이니까

    부모가 아들로부터 독립하면 되는건데..그게 안되니까.. 문제겠지요.

  • 11. ,,,,
    '14.6.24 8:51 AM (121.160.xxx.196)

    요즘 부모들이 자식한테 더 올인하는 것 같던데요.
    사람들이 사랑/돈/관심 다 쏟아부은 자식한테서 독립할 수 있을까요?
    고부갈등/장서갈등 더 심해지겠죠.
    노후준비가 되어 있느냐 없느냐는 일도 아닐것임.

  • 12. ㅁㅁㄴㄴ
    '14.6.24 8:53 AM (122.153.xxx.12)

    외동 들이 많아져서 앞으로 집착과 갈등이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 13. ㅡㅡㅡㅡ
    '14.6.24 8:57 AM (175.195.xxx.42)

    부모돈으로 집도 마련 뭣도 마련 그렇지만 부모의 집착은 싫다 이것도 모순적이기는 매 일반이고..

    윗님말씀처럼 요즘 애들 설문해보면 부모 부양안하겠다가 대부분 아이들의 대답이예요. 나중에 자식한테 손벌리다가 부모자식관계 파탄나고 굴욕당하지 말고 애한테 너무 쏟아붓는걸 자제해야할 것 같아요.

  • 14. ..
    '14.6.24 9:01 AM (220.77.xxx.185)

    줄지는 않을 듯요.
    고부갈등 만큼 장서갈등도 커지지 않을까 싶어요.
    예전처럼 딸 아들 차별하며 키우지도 않고
    자식들에게 올인하는 부모들이 많다보니
    어떤형태로든 보상심리가 작용하지 않을까요?

    저는 애들 크면 멀리 떨어져 살아서 비정기적으로
    한두번씩 만나는 걸로 하자고 남편과 결론 냈어요.

  • 15. . .
    '14.6.24 9:01 AM (223.62.xxx.68)

    장서갈등은 그나마 장모가 딸 도와주다가 생기는게 많죠. 고부갈등은 노답이예요. 여전히 내아들만귀하고 내아들이집안일하면 눈에쌍심지 안켤 시부모자리가 얼마나있을까요? 가뜩이나.여자들이 더희생하지않으면 온갖모욕을.주는세상인데.

  • 16. 딸 도와주다가 생기긴요
    '14.6.24 9:04 AM (180.65.xxx.29)

    그런 생각이 장서갈등에 원인이라 봅니다.
    나때문에 자식 결혼생활 갈등 원인이 되고 있는데
    내가 도와 준다 생각 하니 갈등이 생기죠

  • 17. ou00
    '14.6.24 10:31 AM (114.129.xxx.125)

    외동이 많아서 집착이 많아진다니..그럼 예전에는 자식을 그렇게 많이 낳았는데 왜 집착하는지..
    자식 숫자와 상관이 없지요.그냥 답은 남편 많이 바라보시는 분은 고부갈등 적을꺼고요.남편보다 자식 바라보며 결혼 생활 하시는 분은 자식 바라보게 되어있어요.
    근데 미래에 달라질 부분은 우리 자식들의 태도이지요.
    그래도 지금 남자들은 엄마가 고생한건 알아요.그래서 못하면서도 한쪽으로는 죄책감 비스므레 하는 마음이라도 갖고 있어요.
    근데 우리 자식들은? 엄마가 고생하며 살고 참으며 사는 모습을 본 세대들이 아니에요.
    커피를 마시고 자기를 꾸미고,엄마 친구들과 놀거나...그렇게 엄마가 불쌍해 보이는 세대가 아니거든요.
    글쎄요.엄마들은 똑같이 자식한테 집착하겠지요.(사교육비도 워낙 많이 드니까..투자하는 만큼 기대하는 마음도 크니까요.) 근데 자식들이 부모를 생각하는 마음이 달라질꺼 같아요.그리고 젊은 세대가 적어지기 때문에 얘네들이 세금 내느라도 바쁠듯 해서..우리 세대만은 정말 착각하고 뒷통수 맞을 세대로 보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1739 신라호텔저렴히 1 제주 2014/06/24 2,457
391738 딸아이 상견례 7 조언 2014/06/24 4,513
391737 자라섬 째즈페스티벌에 가보신분들 4 답변좀요 2014/06/24 1,266
391736 세월호 시위중 하이힐로 경찰 머리찍은 40대 여성 구속 1 ... 2014/06/24 1,468
391735 박원순 ”아내 등 가족, 정몽준 먼저 용서하자고 말해” 20 세우실 2014/06/24 3,521
391734 [국민TV 6월24일] 9시 뉴스K - 노종면 앵커 진행(생방송.. lowsim.. 2014/06/24 824
391733 윤스 파라다이스호텔과 맨하탄 비지니스 호텔 선택과 자유 여행 1 상하이 여행.. 2014/06/24 1,217
391732 교육청이 해수부 협조지시로 각 학교에 세월호 수학여행 적극 홍보.. 3 충격 2014/06/24 1,955
391731 이 반찬 이름 뭔가요?풋고추+밀가루+고추장→찜통에찌기 8 망고 2014/06/24 2,900
391730 입원중...별 사람이 다 있네요ㅠ 8 2014/06/24 4,560
391729 아파트 단지내 자전거 사고? 9 myoung.. 2014/06/24 4,471
391728 남편이 억울하답니다 87 나는.. 2014/06/24 22,222
391727 골다공증 먹는약 말고 주사로 맞아보신분 계세요? 4 감사 2014/06/24 2,748
391726 쿠키를 만들어 먹었는데 6 2014/06/24 1,609
391725 그러면 10년짜리 비과세 저축보험은 괜찮은건가요? 7 ??? 2014/06/24 3,084
391724 방금 전 동네 슈퍼 갔다가.. 33 한미모 2014/06/24 12,325
391723 박정희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파인거 아셨나요? 16 다카키마사오.. 2014/06/24 2,861
391722 30대인 딸이 남친이랑 여행가겠다면.. 보내주나요? 14 ㅇㅇ 2014/06/24 7,884
391721 서울시내 저렴하면서 깨끗한 호텔 추천부탁 1 외국인 2014/06/24 2,144
391720 맘스브래드 빵맛이 특별한가요?? 5 2014/06/24 2,026
391719 아이 치아교정 비용 때문에요 교정 2014/06/24 1,173
391718 장염이 거의 다 나았는지 배가 넘 고프네요 6 장염치료중 .. 2014/06/24 3,876
391717 계약끝난 전세계약서는 어떻게 처리하는건가요? 1 궁금 2014/06/24 1,629
391716 간절)핸드폰 요금제 잘 아시는분!!!! 1 정 인 2014/06/24 1,295
391715 황산은규제없이 아무나 살수있나봐요. 2 이렇게위험한.. 2014/06/24 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