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학평준화에 이어 입시제도 개혁

히잉 조회수 : 1,721
작성일 : 2014-06-21 11:30:16
이것도 공부논쟁이라는 책에 나오는 얘기입니다
너무 공감을 했어요
지금의 다양화된 입시정책들이 입학사정관제니 논술이니 등등 취지는 성적에만 치우치지 말고 창의력이나 인성 특기 등 다양한 부분을 학생에게 요구하자는 거지만 현실에서는 부모가 부자인 아이들에게만 절대적으로 유리한 제도라는 거에요 부모의 경제력과 정보력평가라는 거죠 제가 졸업한지 십년 됐는데 그때도 sky 애들은 거의 강남 애들이었어요
차라리 수능 성적 하나만으로 뽑는게 맞다고 봐요
고등학교 공부는 사실 전문화하기 힘들잖아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본 교양과 기초 지식 인성 예체능 강화 진로탐색 이런 부분에 중점을 두는게 옳은 방향이죠
IP : 122.37.xxx.222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6.21 11:34 AM (182.222.xxx.189)

    허영님, 공부논쟁이라는 책 읽을만한가요?^^;; 서점에 갔더니 의견들이 엇갈려서요.
    좋다는 반응도 있고
    1시간이면 읽고 끝낼 내용, 속은 시원하나 남는게 없다..이런 평도 있어서 살까말까 망설였는데.

    허영님 올리신 글 보면 꼭 한번 읽어보고 싶긴 하네요.

  • 2. 히잉
    '14.6.21 11:36 AM (122.37.xxx.222)

    입시사정관제는 미국 입시제도를 따라한 건데 평가만 달라지고 교육은 그대로죠 여러가지로 학생을 평가하겠다면 교육 안에 그 여러가지가 포함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 3. 그렇다고 봐요
    '14.6.21 11:38 AM (182.219.xxx.95)

    입학사정관제 이전에 대학은 데모장이었어요.
    등록금 인하투쟁에다 온갖 비리 성토장이었던 대학에서
    과연 누구를 선호할까요?
    우리대학에 들어와서 데모를 일삼는 학생보다는
    집안 좋고 성적 좋고 등록금 인하나 사학비리 규탄 데모도 안하는 학생을 선호할 것 같아요.
    대학도 기업입니다.
    대학에서 기부금입학을 허용해달라는 요구가 사라졌어요.

  • 4. 저도
    '14.6.21 11:39 AM (175.209.xxx.94)

    원글님 동감.. 울나라는 아직 멀었어요. 차라리 수능성적 하나만 보는게 깔끔함. 이거저거 다른걸 더 중요하게 보고 수능 비중 낮춘다, 혹은 입학 쉽게 하고 졸업 어렵게 한다~ 하면 별별 비리 더블 트리플로 늘을 걸요.

  • 5. ㅇㅇ
    '14.6.21 11:41 AM (211.209.xxx.23)

    히잉님 의견에 동감해요. 교육 개혁이 급선무예요. 입사관으로 부모와 애들만 더 힘들어요. 학교 교육으로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절대 절대 아니죠.

  • 6. 히잉
    '14.6.21 11:42 AM (122.37.xxx.222)

    앗 히잉이에요 ㅋ
    쉽게 쉽게 읽히고 주장과 근거도 분명하고 방안도 제시되어 있어요
    속이 시원하달까요
    대학평준화 입시개혁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현실성이 없네 어차피 경쟁은 피할 수 없네 식으로만 생각하지 마시고 관심을 갖고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어요
    꼭 읽어보세요~

  • 7. 정책 바껴도
    '14.6.21 11:43 AM (203.226.xxx.108)

    문인만 우대하는 사고 안바뀌면 소용없어요
    성적으로 줄세우는게 가장 공정하구요
    땀 흘리는 노동자 직업군 우대해주고
    엘리트 교육은 찬성

  • 8. 히잉
    '14.6.21 12:10 PM (122.37.xxx.222)

    노동자 직업군 우대는 인구 감소 추세에서 자연히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
    그런데 엘리트교육이 중고등학교로까지 내려오는건 반대에요 그러면 기회의 평등은 더 줄죠 상대적 박탈감에 살 길은 오직 공부 또 이렇게 될거구요

  • 9. yj66
    '14.6.21 3:23 PM (154.20.xxx.253)

    입시사정관제는 외국에서 들여온건데 과연 우리나라 사정관들이 외국의 경력있는 사정관 같은
    판단 능력을 갖췄는지 참 의문이에요.
    시험만 가지고 줄세우는 건 답이 아니지만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입시사정관제는
    더 말이 안되는 제도 같아요.
    커트라인도 없고 입시사정관들이 판단한다는 그 기준도 모호한 상황이잖아요.
    정말 외국에서는 아이들이 스스로 찾아서 하는 봉사나 알바까지도
    한국은 부모나 나서지 않으면 힘든 상황이니 정말 가정형편 어렵거나 결손가정의
    아이들은 어찌 준비를 해야 할까요?
    대학을 안 나오면 인간 취급을 못 받는 사회가 문제인지
    국토대비 인구가 너무 많아서 문제인지 ...

  • 10. ...
    '14.6.21 4:05 PM (182.222.xxx.189)

    앗.....ㅎㅎ
    제 컴퓨터 빛 때문에 허영이라고 잘못 봤나봅니다...
    죄송합당.
    그리고 답변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6560 저희애도 목화솜 요에 쉬야했어요.. 2 쉬야 2014/07/11 1,718
396559 ”한국 인구경쟁력, 2010년 OECD 17위→2030년 21위.. 세우실 2014/07/11 1,317
396558 미 핵 항공 모함 부산입항..시민단체 '일본과 군사훈련이라니' 2 전쟁훈련 2014/07/11 800
396557 냉장고서 3일된 치즈케익 먹어도 될까요? 2 치즈케익 2014/07/11 1,830
396556 오징어 양념해서 냉장실 넣은거 9일됐는데 3 꼬슈몽뜨 2014/07/11 1,104
396555 혹시 기숙사고등학교에 아이 보내시는 분 계신가요 6 기숙사고등학.. 2014/07/11 1,915
396554 어쩜 이렇게 백전 백패.. 1 아.... 2014/07/11 1,089
396553 목도 얼굴과 같은 기초바르시나요? 3 .. 2014/07/11 1,617
396552 40대 아줌마들..강남역에서 놀면 좀 그럴까요? 10 어디로갈까나.. 2014/07/11 4,446
396551 팩트TV 입니다. 82cook 회원님들께 감사인사드립니다. 25 룰루aa 2014/07/11 3,012
396550 배고프다, 부페 좋아한다 하구선 안 먹는 심리는 뭔가요? 갸웃... 10 어떤 심리?.. 2014/07/11 2,348
396549 파마약이 독하긴 독한가봐요 4 시작 2014/07/11 2,233
396548 고추씨가 까만건 2 어케 2014/07/11 8,462
396547 이경제.통곡물선식.. 15 ^^ 2014/07/11 3,653
396546 한인섭 서울법대 교수 “권은희 전략공천은 진심으로 잘 된 일” .. 4 아틀라스 2014/07/11 1,662
396545 세돌안된 아이에게 피자 시켜주는 올케 35 피자 2014/07/11 11,498
396544 피자에 대한 추억. (혹시 레드핀피자 기억하시는 분?) 5 추억 2014/07/11 1,670
396543 바이엘과 소나티네..보통 같이 하는지요? 3 피아노 2014/07/11 2,137
396542 안녕하세요. RTV입니다. 11 RTV 2014/07/11 2,161
396541 20.30대가 결혼을 하기 위한 조건 1 QOL 2014/07/11 1,782
396540 얼척없는 소리 들으시면 그냥 지나치시나요? 8 조작국가 2014/07/11 1,658
396539 신발색이 맘에안들어 다른색으로 도색(?)해보신분계신가요 5 혹시 2014/07/11 1,747
396538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7/11pm]경제통-가정의 기업경제화 lowsim.. 2014/07/11 756
396537 청주중학교 잘 아시는분 11 서울토박이 2014/07/11 1,594
396536 평등한가요? 1 어떤 여자 2014/07/11 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