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주 언급되는 돈,물질 얘기들...

산유국공주 조회수 : 2,455
작성일 : 2014-06-16 16:28:52
가끔 와보면
1면 대문에 가진자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 얘기는 항상 빠지지 않는 거 같아요.

헌데 그런 글들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주된 골자는
"경제적 빈곤"이 아닌 "심리적 빈곤"인 것 같아요.
돈보다도 마음이 빈곤한 사람들, 마음이 빈곤한 삶을 사는 사람들.

누군가 나보다 돈이 많다는 사실. 그게 곧 내가 그 사람보다 열등함을 반증하는 건 아니잖아요.
물론 이건 자신이 어느정도 경제적으로 일정수준에 이르렀을 떄 통용되는 얘기긴 해요.
월 30만원 받는 사람은 아무래도 주눅들게 되어 있죠..
자존감에는 마지노선이라는 게 있으니 일단 그건 통과를 해야 하는 거니까.

그치만 이런 케이스에 해당하는 경우는 거의 못봤어요.
지금 내가 먹는 자장면에 너무 행복하다가도
푸아그라를 먹는 옆사람을 인지하는 순간 내 자장면이 초라해지는 느낌이랄까.
가진 사람이 위너는 아니잖아요
이건희 할배가 내가 못가진 마이바흐를 갖고 있다고 해서 위너도 아니고
내가 없는 명품시계,옷,가방으로 휘감는다고 위너도 아니고요.
난 그래도 그렌져는 갖고 있지만 이건희 마이바흐보다 못하단 사실에 빈곤한 마음으로 살 이유가 전혀 없어요

혹, 그런 생각이 든다면
만약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건 "돈의 액수"와 "돈의 절대가치"를 혼동하고 있는 거예요
돈이 줄 수 있는 효용이란 건 어느 수준이 넘어가면 거기서 거기인 법이죠
생활비가 200만원이다가 500만원이되면 삶의 질이 어느정도 상승하는 건 사실이지만
한달에 5천만원 버는 사람이 한달에 2억을 번다고 해서 그 삶의 질과 행복이 1억 5천만큼 수직상승하진 않아요.
최고급 스테이크가 아무리 맛있다한들 50만원짜리 정식을 10인분씩 먹어 치울 수 있는 건 아녜요.
보습학원도 못다니던 아이가 한달 천만원짜리 과외 받는다면 성적이 오르겠지만
한달에 1억원짜리 과외 받는다고해서 그 애가 갑자기 인류역사에 한 획을 그을 대발견을 하는 건 아니고요.

물론 그 수준이라는 게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그걸 넘어가면 돈은 큰 의미가 없어져요
그러니 물질적인 것으로 마음까지 빈곤하게 살 하등의 이유가 없어요.
돈의 액수로 열등하니 마니, 삶의 질이 얼만큼 상승하니마니 논하는 건 그만큼 마인드가 빈곤한 거예요.
제 경험상,
그 돈의 액수에 집착하는 사람치고 마음이 빈곤하지 않은 사람을 못봤거든요.

좋은 차? 좋은 가방? 좋은 옷? 좋은 집? 좋은 시계?
이런 것들이 채워주는 건 나의 허영이지 내 행복이 아니더라구요

그리고 더 불행한 건 그 "액수"에 대해서 본인 스스로도 기준이 없다는 거예요.
만약 돈의 액수가 적어서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끼고 빈곤하다 느껴진다면
도대체 얼마의 액수가 있어야 행복할 수 있을까요?
기준도 목표도 없어요
무조건 많이. 많이.

행복은 돈의 액수가 아닌 돈의 가치에서 오는 거예요
그런 빈곤한 마음을 버리고 사니까 인생이 행복해지더라구요




IP : 119.197.xxx.4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졸부나라라 그렇다봐요
    '14.6.16 4:32 PM (175.223.xxx.189)

    우리나라 끼니 걱정안한지 불과 30~40년이잖아요
    과도기라 봐요 갑자기 졸부가 되서 없는 사람 무시하고
    깔보고 돈이 최고야 하는거...이런 경제 성장한 나라 우리 뿐이잖아요. 졸부 됐으니 거들먹 거려야죠

  • 2. 정말
    '14.6.16 4:37 PM (141.70.xxx.7)

    정말 심해요. 많이 심해요. 넘 철없어 보여요-_-;; 성숙한 사회로 가는 과도기라 생각합니다.

  • 3. 성숙한 사회로 가는 길
    '14.6.16 4:45 PM (61.255.xxx.153)

    남보다 더 많이 가지려는 것은 그만 두고 남보다 더 가치있게 더 충실하게 더 행복하게 사는데 중점을 뒀으면 좋겠습니다.

  • 4. 짝짝짝
    '14.6.16 5:13 PM (119.70.xxx.164)

    님 좀 짱인듯.

  • 5. ...
    '14.6.16 5:49 PM (1.247.xxx.201)

    다 맞는 말씀인데
    "돈이 줄 수 있는 효용이란 건 어느 수준이 넘어가면 거기서 거기인 법" 이라는 부분이 확 공감이 오네요.

    돈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어하는 사람들 보면 대부분 속이 허전하더라고요.
    돈 자랑하고 싶을때 내면의 허전함도 들킨다는것도 알아뒀으면 해요.

  • 6. BRACET
    '14.6.16 6:09 PM (42.82.xxx.29)

    잠깐 저녁먹으러 집에 왔다가 좋은글보네요.
    저랑 생각이 비슷하신듯.
    저는 하나 더 추가하자면 겪어보니 그렇더라구요.
    돈으로 어지간한건 다 할수 있는 상황일때는 지혜가 안생기고 내 뇌속도 둔탁한 느낌.
    뭘 하나 잃어버려도..사면 되지 ..뭘.이러고 끝.
    뭔가손해를 봐도 돈으로 해결하면되지.뭘.

    돈이 적을땐 그상황에서 내가 최대치를 뽑을수 있는 지혜의 머리가 생기더라구요
    더 웃긴건 이런지혜는 또 돈으로도 알수 없는것들이 간혹 더러더러 있더라구요.
    이런걸 경험 해보고 나니...자식키우면서 너 돈 많이 벌어야 된다 이런교육은 못하겠더라구요.
    살면서 네가 얼마나 기지를 발휘하고 지혜를 발휘해서 상황을 잘 모면하는가에 대한 교육이 우선이고.

    또하나 없는듯 살면 목표가 생기잖아요.그게 돈을 좀 더 벌어야겠다 하는 마음이 생기면 사람이 또 다른노력을 하게 되거든요.
    그럼 사사로운.쓸데없는 감정이 덜생기죠.

    이런 부분들이 삶을 엄청나게 풍요롭게 하더라구요.

    님 말처럼 최소한의 돈은 있어야 하지만 펑펑쓸정도의 돈은 사람의 정신을 좀 갉아먹는 부분이 있더라구요

  • 7. ..
    '14.6.16 7:11 PM (222.235.xxx.225)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8. 맞는
    '14.6.16 7:37 PM (137.147.xxx.23)

    맞는 말씀이예요.

    공감합니다.

  • 9. 맞는 말씀인데
    '14.6.16 9:07 PM (59.5.xxx.218)

    사회 환경이 급박하게 변해버리니
    사고가 단단하지 않아서 인지 중심을 잃는 듯 합니다.
    오십이 되고 보니 수명이 길어져 노후 걱정에
    마음이 더 가난해지는 것 같아요.

  • 10. 날개
    '14.6.16 11:34 PM (180.71.xxx.247)

    맞아요.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많지요.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8112 일부 고급 공무원들 왜 이러죠? 1 엠방송 2014/10/19 1,357
428111 학교엄마들이 야자 트는거 흔한일인가요? 17 .. 2014/10/19 3,293
428110 “7시간 사생활 침해라더니 카톡은 왜 뒤져” 2 샬랄라 2014/10/19 818
428109 “세월호 진실 밝혀지면 보수정권 향후 50년 집권 못할 것” 3 닥시러 2014/10/19 1,587
428108 나이는 먹을만큼 먹었는데 왜이리 되는 일이 한개도 없는지 이젠 .. 3 ,,, 2014/10/19 1,462
428107 외국 갈 경우, 짐 보관하는 방법에 대해 여쭤봅니다. 4 .... 2014/10/19 835
428106 떡 도구+재료 쇼핑몰 좋은곳없나요? 1 ... 2014/10/19 1,102
428105 현금영수증 이런 경우 어떻게 하시나요? 2 이상해요 2014/10/19 1,187
428104 결혼식장에서 너무 속상했어요. 33 lorinn.. 2014/10/19 18,840
428103 고등학교 보내려니 막막해요. 6 현 중3엄마.. 2014/10/19 2,707
428102 쌀쌀해지는 가을 왜이리 우울할까요? 5 kan 2014/10/19 1,586
428101 묵은 고추가루~ 13 ~~ 2014/10/19 3,615
428100 상주 재래시장가면 감 살수 있나요? 2014/10/19 627
428099 제가 딸인 줄 알았으면 유산시켰을 거라는 걸 알고나서... 33 나는왜 2014/10/19 5,305
428098 헉! 우순실이 왤케 예쁜 거예요? 6 ㅇㅇ 2014/10/19 4,409
428097 6살 남자아이가 엄마 외모 지적질을 하네요 12 섭섭해요 2014/10/19 2,810
428096 베트남 다낭 인터콘티넨탈 가는데요 5 여행팁 2014/10/19 3,084
428095 2인실병실 몇시까지 티비 보시나요? 8 정말.. 2014/10/19 2,059
428094 중국어 배우고 싶은데 독학으로 가능한 방법 없을까요. 5 언어 2014/10/19 2,222
428093 중학생 엄마가 알아야할 입시 1 띠아모 2014/10/19 1,624
428092 음악 들으며 82 6 Muse 8.. 2014/10/19 584
428091 예은이 아버지 이야기 ... 11 함석집꼬맹이.. 2014/10/19 2,100
428090 이 코트 어떨까요? 5 satire.. 2014/10/19 1,979
428089 세월호187일)고통의 6개월 ..,얼른 가족품으로 돌아와주세요... 15 bluebe.. 2014/10/19 555
428088 생선구이기 추천요.. 4 요리초보 2014/10/19 2,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