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그늘막이랑 타프 정도만 사서 간단히 나들이에서 활용할 수 있을까요?

.... 조회수 : 2,035
작성일 : 2014-06-10 17:04:59

 

 캠핑은 가끔 가고 싶지만...

 사실 제가 원하는 건 잘은 모르겠지만 캠핑장이라고 명명된 곳에 캠핑하기로 작정하고 모여서

 갖은 요리해먹고, 프로젝터로 영화보고 그런건 아닌거같아요.

 

 그냥 간단하게 분위기 낼라면 그늘막이랑 타프 정도만으로 분위기 낼 수는 없을까요?

 핫도그나 만들어먹는 정도로요.

 고가의 장비를 사기도 그렇고, 장비를 둘만한 집에 공간도 별로 없어요^^;

 

 최대한 간단하게, 사둬도 일반적으로도 이용할만한 장비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렇게 간단하게 분위기 낼만한 사람 적고 한적한 곳은 없을까요?

 

IP : 203.244.xxx.2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희는
    '14.6.10 5:13 PM (223.62.xxx.61)

    1~2인용 원터치텐트 가지고 다니는데 편리하고 간단해서 좋아요
    주말에 가까운곳에 잠깐씩 다녀올때 간편해서 좋더라구요

  • 2. 원글
    '14.6.10 5:17 PM (203.244.xxx.28)

    그런 것 무겁다거나 짐되진 않나요? 주로 어떤 곳에서 쓰세요? 조금 큰 공원 같은 곳인가요?
    사실 자칫 잘못하면 자기집 안방마냥 쳐놓은 그늘막이 지나가는 사람 입장에서 외관상 좋아보이진 않아서.... 어떤 기준으로 쳐야할지 잘 모르겠더라구요.ㅠㅠ

  • 3. 초보
    '14.6.10 5:24 PM (182.212.xxx.51)

    전 텐트에서 자는거 정말 못할거 같아서 그냥 바람막이,의자,테이블정도만 구입했어요. 텐트치고, 고가장비 설치해놓은 캠핑장 한번 가봤는데 너무너무 시끄럽더라구요. 밤새도록 너무 시끄럽고, 타프크게 쳐놓고, 여러집 모여 고기구워먹고, 노는게 재미라지만, 조용히 지내고픈 마음에 간사람에게는 적응하기 쉽지 않았어요.

    그래서 저희는 아주 가끔 취사되는 서울 근교가서 바람막이,의자,테이블만 놓고, 고기구워먹고 놀고만 오거나 취사 불가능인곳(이런곳이 좀 나은것 같아요)도시락 싸가서 놀고오는데 만족해요.

    바람막이안에서 좀 쉬거나 의자에 앉아서 쉬는거 참 좋아요.
    계곡에 의자만 놓고 앉아있어도 좋구요. 장비가 크지 않아서 좋아요

  • 4. 결정적
    '14.6.10 5:32 PM (61.102.xxx.34)

    결정적으로
    아무데서나 취사가 안된다는거죠.
    그래서 다들 어쩔수 없이 캠핑장에 가는 거에요.
    하긴 요즘처럼 캠핑붐이라 캠핑인구가 많은데 어디서나 취사가능 하다면 난리 나겠죠.
    전 국토가 아작 날겁니다.

    가끔 오지에 화장실이고 물이고 다 없어도 텐트치고 오지캠핑 하시는 분들 계세요.
    그런데 그 오지가 소문 나기 시작하면 망가지는게 시간 문제더라구요.
    다들 와서 화장실 없으니 주변에 아무데나 배변 하고 쓰레기 버리고 나무 꺽어 장작 하고
    난리도 아니에요.
    그래서 동네에서 철망 치고 사람 못들어 가게 막는 경우도 있어요.

    그리고 또 백패킹이라고 아주 가벼운 초간단 장비 메고 산으로 가서 1-2인용 아주 가볍고 작은(그러나 비싼) 장비 설치 하고 자고 오기도 하는데요. 이 경우에도 사실은 불법 이라고 해서
    백패킹유저들과 아닌 사람들이 가끔 설전을 벌리기도 해요.
    산에서 취사 안되는데 거기서 밥을 해먹기도 하거든요. 진짜 양식 있는 사람들은 불을 사용하지 않는 음식을 준비해서 먹고 오기도 하는데 역시나 화장실 문제라던가 걸리는게 좀 있긴 하죠.
    요즘은 어디나 사람이 많아서 좀 그렇긴 해요.

  • 5. 원글
    '14.6.10 5:40 PM (203.244.xxx.28)

    초보// 저도 글램핑이란걸로 맛을 봤는데... 모닥불 피워놓으니 분위기 좋고, 공기좋고 그렇긴 했지만... 사람 좀 없었으면 싶더라구요. 모르는 사람들이랑 공동생활 하는 느낌이 썩... 게다가 실제로 그런 장비를 갖추려면 돈도 많이 드는데 그거 뽑을 만큼 자주 갈 자신은 없더라구요.

    결정적//저도 어릴 때 가족들이랑 계곡에서 밥도 해먹고 라면도 해먹었던 시절이 그립네요. 그런데 요즘 그랬다간 정말 난리 나겠지요. 밥이야 그렇다쳐도 화장실 문제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네요;;; 백패킹 들어봤는데 그게 비싼 장비인거군요.. 작아서 쌀줄 알았더니 역시.. 작고 싼것들은 무게가 있는 애들이겠네요? ㅠㅠ
    어딜가도 사람이 많은게 참 지겨워요. 애가 어려서 또 어쩔수없이 편의성을 따지다보니 어딜가도 사람에 치이게 되더라구요... 혼자 훌쩍 배낭매고 떠나 보고 싶네요.

  • 6. 결정적
    '14.6.10 6:23 PM (61.102.xxx.34)

    이런 제품들이요. 작고 가벼울수록 완전 비싸요.
    저도 깜짝 놀랐어요.
    저는 캠핑 하기는 하는데요. 사람 많은거 아주 질색이라 힘들어도 평일에 휴가 내고 가요.
    일요일에 도착하게 가면 다들 일요일엔 집에 돌아 가거든요. 많아야 한두팀 남아요.
    오히려 아주 무서울 정도에요. 딱 우리만 남을때도 있는데 오붓하게 지내고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집에 와요.
    그럼 사람도 없어 한적하고 차도 안막히고 아주 좋더라구요.

  • 7. 원글
    '14.6.11 12:12 PM (203.244.xxx.28)

    평일에가면 두명이 월차를 쓰고 가야하니... 기회비용이 만만치 않거든요.
    하지만 어차피 평일은 좀 저렴하니 한적하게 가고 싶을 때 좋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8027 전세에서 일부 월세로 돌려 계약할 경우 계약서는 어찌 작성하면 .. 4 궁금 2014/06/11 1,410
388026 친정 큰아버님 3 인디고 2014/06/11 1,934
388025 6월 항쟁 27주년, 사진으로 보는 1987년 6월의 한국 우리는 2014/06/11 1,146
388024 박원순 서울시장 “소방관 국가직 전환 맞다” … 소방청장 ‘시위.. 8 세우실 2014/06/11 3,623
388023 분당이나 판교에 커튼 만들어 주는 곳?? 4 커튼제작 2014/06/11 1,959
388022 밀양... 3 잊지마요 2014/06/11 1,411
388021 김장김치 양념으로 열무김치 담아도 될까요 4 그냥 2014/06/11 1,928
388020 외롭고 힘드네요.. 한때 좋아했던 업계 사정을 알고 있으니..... 1 ㅠㅠ 2014/06/11 1,731
388019 저는 밴드 모임 왜 하는지 모르겠어요. 5 흐이구 2014/06/11 3,659
388018 인동덩쿨꽃으로 차를 만들어 마실까 하는데요, ... 2014/06/11 1,191
388017 BBC, ‘박카스 할머니’ 21세기 한국 사회의 맨얼굴 1 light7.. 2014/06/11 2,171
388016 말빨 좋으신 분들...시누땜에 열받네요 42 짜증 2014/06/11 9,632
388015 친구가 수학만(아들이) 잘하면 소원이 없겠데요. 3 2014/06/11 2,543
388014 40대남성 기본티셔츠 3 추천바랍니다.. 2014/06/11 1,762
388013 자공고가 가기 어려운 학교인가요? 8 궁금 2014/06/11 4,560
388012 열무김치가 있는데 냉면해먹는법 좀 알려주세요~ 4 냉면냉면 2014/06/11 1,900
388011 간이 과세자 오피스텔 포괄양도 양수 5 오피스텔 2014/06/11 2,443
388010 참 답답한 사람~ 3 mind s.. 2014/06/11 1,462
388009 빌려준돈을 못받고 있는데 좀더 기다릴까요 아님소송 바로 들어갈까.. 16 전자소송 2014/06/11 3,351
388008 6/19 재개봉하는 '반딧불이의 묘', 아이들과 보지마세요! 11 생활의기술 2014/06/11 3,524
388007 관악구 분들, 마을리더 아카데미 신청하세요 구청주최 무.. 2014/06/11 1,620
388006 아이패드에어 사신분 만족하세요? 6 수지미 2014/06/11 1,969
388005 " 밀양 송전탑 없어도 송전에 지장 없다 ".. 5 미친세상 2014/06/11 1,605
388004 예전에 이대 수준 어느정도 였나요? 39 엘살라도 2014/06/11 10,788
388003 김용민의 조간브리핑[06.11] - '대통령에 직언할 사람, 문.. lowsim.. 2014/06/11 1,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