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세월호 사고 당일 출동한 공군 특수부대, 지휘 마비로 손 한 번 못 썼다

마니또 조회수 : 2,239
작성일 : 2014-06-10 13:49:26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6100600035&code=...

최고의 수중 탐색·구조 능력을 갖춘 공군 특수부대 요원들이 세월호 침몰사고 당일 현장에 출동했지만 현장 지휘통제 기능 마비로 인명구조 작업에 단 1명도 투입되지 못한 것으로 9일 확인됐다. 요원들은 승객들의 생존 가능성이 높은 골든타임 내내 헬기 안에서 실종자들에 대한 육안수색만 벌였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이 국방부에서 받은 ‘공군항공구조대(SART) 세월호 지원현황’을 보면 사고 당일인 4월16일 오전 9시38분 구조사 2명을 태운 HH-60 헬기가 사고현장에 출동했다.

이날부터 매일 요원들이 탑승한 헬기가 현장에 투입됐지만 이들에겐 사고해역에서 유실된 시신을 찾는 소극적 업무만 부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군항공구조대는 평시 항공기 사고구조, 응급처치, 환자 이송 등의 임무를 맡는다. 전시에는 적진에 투입돼 강이나 바다에 떨어진 조종사를 구출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요원들은 공중침투뿐 아니라 해상구조와 응급의료 등 특수작전에 필요한 모든 능력을 갖추고 있다.

구조대는 수중 탐색·구조훈련을 받은 54명의 최정예 구조사들로 구성돼 있다. 그런데 인명구조 골든타임으로 불리는 4월16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단 1명의 요원도 해상구조에 투입되지 못했다. 해군 특수전전단(UDT/SEAL)과 해난구조대(SSU)에 이어 공군 구조 요원까지 육·해·공군 최고 잠수사들이 손 한번 못써볼 정도로 현장 통제가 엉망이었다는 뜻이다.

공군구조대는 구조헬기 23대와 잠수복·공기통 등 최신식 잠수장비 30세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구조활동에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김 의원은 “세월호 침몰 당일 대한민국 국군 특수부대 요원들은 눈뜨고 참사를 지켜보면서 황망한 기분을 느꼈을 것”이라며 “당시 현장을 통제했던 지휘관은 반드시 문책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IP : 122.37.xxx.5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마니또
    '14.6.10 1:54 PM (122.37.xxx.5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6100600035&code=...

  • 2. 마리
    '14.6.10 2:04 PM (122.36.xxx.111)

    반드시 문책되기를 바랍니다.

  • 3. 나무
    '14.6.10 2:13 PM (147.6.xxx.21)

    이래놓고도 정부 최고 책임자 자리에 앉아 있는 사람들은 뭔지 진짜...
    이게 나라냐.....ㅠㅠ

  • 4. 노란삔
    '14.6.10 5:16 PM (175.195.xxx.199)

    "공군 관계자는 “하루 평균 2대의 헬기가 목포비행장과 진도 사고해역을 오갔다. 해군 작전사령부에서 스케줄을 짜준 대로 움직였다”고 말했다."

    물론 해경이 해군 작전사령부의 명령을 듣지 않았겠죠.
    유사시 해군은 해경의 지휘통제 하에 있으니까.
    해경의 총책임자 김석균 해경청장은 처벌 될까요?
    4월25일 유가족과의 미팅에서 돌아가는 상황을 모른다던 김석균 해경청장.
    어떻게 되나 끝까지 지켜보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8322 핸드폰 조건 좀 봐주세요 4 핸폰 2014/06/11 1,518
388321 애물단지 변액 유니버셜 어떻게 할까요? 4 소미 2014/06/11 2,864
388320 박근혜 정부 ‘짐’이 된 김기춘 실장 5 세우실 2014/06/11 3,204
388319 머릿니가 몸도 무나요? 18 .... 2014/06/11 7,804
388318 43살 고소영은 왜 아가씨같을까요? 56 사랑스러움 2014/06/11 20,216
388317 의료민영화때문에 전화까지 했어요. 1 나도도해 2014/06/11 1,574
388316 35년전 바나나 한다발은 지금돈으로 얼마정도였을까요? 67 바나나 2014/06/11 14,687
388315 등기 이전은 하고 집은 나중에 비워도 되나요? 2 잘 말하자 2014/06/11 1,389
388314 소송 관련해서 아시는 분 계시면.. 어이없는 소송이 들어왔어요... 6 소송 2014/06/11 2,676
388313 강남쪽 중식당 추천해주세요. 7 나는나 2014/06/11 2,474
388312 요즘 많이 나오는 양파, 마늘요 5 사면요 2014/06/11 2,482
388311 아이 눈깜빡임 때문에 너무 고민입니다... 13 아로미 2014/06/11 8,840
388310 유선 연습장 싸게 파는 곳 노트 2014/06/11 1,347
388309 소세지가 먹고 싶은데요~ 몸에 안좋은 것 많이 안들은 소세지 없.. 4 00 2014/06/11 2,566
388308 장학금 받았을 시 아이의 특별 용돈은 어느 정도하면 좋을지요? 14 아이용돈 2014/06/11 2,974
388307 펌프닥터아파트용 정말 소음 없을까요? 앨리스 2014/06/11 1,991
388306 [세월호 진상규명]경찰의 집회금지 적법한가? 3 청명하늘 2014/06/11 1,214
388305 정철승 변호사가 도움을 청하네요. 본때를 보여줍시다. 1 우리는 2014/06/11 2,370
388304 엘지폰 노래들으며 82하고싶은데 1 북마크이동도.. 2014/06/11 1,175
388303 "약"자를 영어로 표기한다면요 10 ?? 2014/06/11 2,261
388302 공부잘한 엄마도 아이를 쥐잡듯 잡을까요 17 ㅇㅇ 2014/06/11 4,671
388301 집 담보 대출 추가로 받으신 분 계세요? 2금융 권요ㅠ 4 울고싶다.... 2014/06/11 2,256
388300 문창극 ”책임총리 그런 것은 처음 들어보는 얘기” 3 세우실 2014/06/11 1,802
388299 천둥 번개 마른 하늘에 날벼락 8 진홍주 2014/06/11 2,530
388298 강추 - 밀양에 관해 글 써 봐요. 비루하나마 오유분들이 아셨으.. 2 참맛 2014/06/11 1,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