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골집 하나 사 놓는거 어떨까요?

아줌마 조회수 : 8,761
작성일 : 2014-06-08 10:09:24

부자들처럼 삐까번쩍 전원주택 별장은 안되고

그냥 사오천짜리 촌집 하나는 겨우 어찌..

그리고 이상하게 오래된 촌집이 그립기도 하구요.

그런데 어디서 듣길 애인과 전원주택은 사놓으면 그때부터

관리로 골치라는 말도 있어서 망설여지네요.

지금 생각은 제가 자연을 좋아해서 주말마다 가고 싶은데 연고가 없음 그것도 잘 안가질 것 같고

괜히 사놓고 지인들 펜션으로 이용되서 남 좋은 일만 다 시킬 것 같기도 하구요.

그런데 현대식 주택도 아니고 오래된 촌집을 사람이 살지도 않고

어쩌다 가게되면 집도 상할것 같아 걱정도 되고 그래요.

그리고 촌집은 다 방들이 작아 살림살이 놓기도 어려워

나중에 완전 귀촌을 해서 살기도 힘들것 같고

결국 주말주택밖에는 안될것 같아 이왕 살려면 현대식 주택을

사는게 맞을 것 같기도 하구요.

가서 살지 않을거면 그냥 한번씩 돈주고 펜션에 가서 놀다 오는게 더 현명하겠죠?

IP : 112.173.xxx.214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6.8 10:17 AM (180.228.xxx.9)

    저도 하나 사 놓고 싶은 맘은 굴뚝인데 돈이 없어서...
    저같으면 맘에 들고 값이 적당한 시골집이 잇으면 돈만 된다면 무조껀 사고 보겠어요.
    사 놓고 수시로 여기 저기 조금씩 손대고 그래서 방에 누눌 정도가 되면 주말에 가서
    하룻밤 자고 오기도 하고 딸린 텃밭에 이것 저것 심기도 하고..
    러시아 사람들은 가난하게 살아도 어느 집이나 작은 별장이 있다던데요. 다차라고..
    주말에는 거의 반드시 가서 농사 짓고 자고 온대요, 그래서 러시아는 주말이면 다짜로 향하는
    차량이 줄을 잇는대요. 우리나라도 점점 그런 방향으로 갈 것 같아요.
    그리고 시골로 이사가면 그 동네 사람들의 갈굼때문에 큰 문제라는데 아주 가서 사는 것 아니고 주말에만
    가면 그런 문제가 생길 수도 없을 것 같아요.

  • 2. 러시아식 다차
    '14.6.8 10:18 AM (112.148.xxx.27)

    땅 사서 조그만한 이동식 주택 놓으면 좋을 것 같네요.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916308300&frm3=V2

  • 3. 환상
    '14.6.8 10:26 AM (112.153.xxx.16)

    답을 알고있으면서도 자꾸 눈길이 가시나본데요.
    주말주택을 가져봤던 입장에서(과거형) 반대표 던집니다.
    매주 가리라 벼르지만 실제로 한달에 한번가게 됩니다.
    걱정돼서 매주 갈 때는 무슨 빚진것같이 부담스럽고요
    한 두주만에 가면 우선 청소 열나게 해야 되고요,
    곧 장마철인데 사람이 안살면서 문 꼭꼭 닫혀있는 집...
    곰팡내 훅~~납니다. 이불 다 널어 말려야하구요.
    갈 때마다요.
    텃밭농사요? 농작물이 한 두주만에 한번씩 들여다봐서
    되는게 아닙니다.
    그래도 꼭 한번 해보고싶다면 세를 얻어서 가져보세요.
    일년짜리로요.

  • 4. ...
    '14.6.8 10:36 AM (218.234.xxx.109)

    집도 일종의 생명체 같아요. 사람이 기거하지 않으면 온기가 없는...
    지금 자주 드나들 수 있는 형편 아니시면 그냥 땅만 사두세요.

    그리고 예전에 시골에 빈 집 버리고 그냥 이사가는 집이 많아서
    행정기관에서 하는 빈집 이어주기 사이트가 있었어요.
    (경기도처럼 서울 가까운 곳 아니고, 진짜 충남, 경북 이런 시골..)

    빈집 그냥 두면 위생상 문제도 있고, 범죄소굴(가출청소년 및 기타 은닉처)이 될 가능성이 많아서 그랬나봐요.

  • 5. 환상
    '14.6.8 10:38 AM (112.153.xxx.16)

    집이 서울이라고 할 때,
    인근 여주, 이천, 남양주 그런 쪽 시골 깊숙이 들어가 보세요. 별장 멋지게 지어놓고 안 살고 세 내놓는집 많아요.

  • 6. ~~
    '14.6.8 11:04 AM (58.140.xxx.106)

    저희 삼촌이 예전에 강원도 산골에 흙집을 하나 사셨었는데요
    몇 년 있다가 그 자리에 새로 지으셨어요.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쉬는 직업이라 쉬실 때 거기 내려가 계시는데
    초대도 많이 하시고 집 빌 때는 친척들 누구든지 가서 놀다 오라고 하세요.
    그 산골짜기에 딱 두 집 있는데 이웃 분이 둘러봐 주시고 텃밭도 손봐주시고 하더군요.

  • 7. 집이
    '14.6.8 11:33 AM (117.111.xxx.135) - 삭제된댓글

    얼마나 손을.타는데요
    매주 가다시피해서 돌보고 가꿔야 사람사는집같아요.
    아는분은 매주가서 마당 풀뽑고 청소하고 그러더라구요.
    보통일이.아니에요.

  • 8. 강화쪽에..
    '14.6.8 11:43 AM (222.112.xxx.188)

    일년간 임대하는 시골집 있었어요.
    주말농장 + 이동식 주택도 일년계약하는 곳도 있었는데..
    한번 알아보고 미리 체험해보신후 결정하심이 어떨지..

  • 9. 비슷한상상
    '14.6.8 11:43 AM (219.250.xxx.189)

    제주도가 시댁인데 시댁서 자고 며칠씩있다오는게 부담스러워서
    그렇다고 자식이 고향와서 딴데서 자고가기도 그렇고해서
    시댁옆에 작은 집하나 사면어떨까하고있어요
    근데 사실돈이 없어서 상상만ㆍㆍㅋ

  • 10. 부동산 잘 아는 분이
    '14.6.8 11:45 AM (59.15.xxx.122)

    시골에 연고 없으면 시골에다가 절대 집사지 말라고 하데요.
    위에 답글 다신 분말처럼, 집이라는 것이 끊임없이 돌봐줘야 집꼴이 나는데
    단 며칠이라도 집 비워놓으면 금세 폐가처럼 되버리고
    집 건사하느라 매주 들러야 하는 것도 힘이들것 같고
    그분말이 마음에 드는 곳이 있으면 몇달이나 1년 정도 세로 살아보라고 하더라구요.
    나중에 더 나이들면 마음변할 지 몰라도 현재까지는 교통좋고 편의시설 잘 갖추어진
    아파트에 살면서 근처에 텃밭 한뙤기 분양받아 주말농사나 지을까 궁리중이네요

  • 11. 환상
    '14.6.8 12:01 PM (49.1.xxx.226)

    그냥 집도 아니고 흙집은 사람 안살면 무너져요
    보수하고 사는게 아니고 그냥 스르르 무너져요
    흙집은 사람과 같이 숨쉬고 사는 생명체예요

  • 12. 모든 게
    '14.6.8 12:02 PM (61.247.xxx.51)

    case by case 입니다.

    잘 구하면
    주변 사람들이 좋아 텃세 같은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별로 손 대지 (수리하지) 않아도 되는 집을 구할 수 있고.

    요령을 터득하면
    그리 넓지 않은 면적(대지와 텃밭) 제초하고 채소 가꿔 먹는데
    시간 많이 걸리지 않고, 손 많이 안 대도 됩니다.

    요새는 손으로 풀을 뽑지 않습니다. 그건 너무 힘들어요.
    예초기를 돌리거나, 제초제로 박멸해 버리지요.

    예초기와 제초제로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고,
    자주 손 안 대줘도 잘 자라는 채소(작물) 위주로 심으면 됩니다.

    채소(작물)를 아주 조금만 심고, 예쁜 꽃나무들 위주로 집 주변을 단장해 놓으면 손이 훨씬 더 적게 갑니다.
    나무의 경우엔 전지만 해주면 (거름도 줄 수 있으면 일년에 한두 번 조금 주면) 되니까요.

    집도
    도배하고, 잘 수리-정리 해 놓으면 한 달에 한 번 가도
    아무 이상 없는 경우 많습니다.
    제가 아는 분, 외국 여행으로 한 달씩 시골집 비워 놓아도 별 변화가 없더이다.
    집 주변에 주로 꽃 나무를 심어 놓고 아주 적게만 텃밭을 일궈놓은 경우지요.

    시골 집에 이불을 많이 가져다 놓을 이유 없고,
    집이 잘 수리되어 있으면 손 댈 것도 없습니다.
    지붕에 이상 없으니 비 세지 않을 것이고,
    요세는 전기 시설에 아무 이상 없고,
    수도와 난방(보일러) 시설 대부분 잘 갖춰져 있고,
    이따금 들어가서
    방이 축축하면 보일러 돌려 방안을 건조시켜 놓으면 됩니다.

    실제 시골 생활을 전혀 해보지 않았거나, 요령을 모르는 사람들이 반대를 하는 것 같은데..
    무엇이든 잘 하면, 시골집을 아주 유용하게 잘 활용할 수 있기도 하고, 전혀 할 줄 모르면 그리고 운이 없으면, 안 가진 것만 못한, 골칫덩이를 떠 앉는 경우가 될 수도 있습니다.

  • 13. 원원
    '14.6.8 1:08 PM (39.119.xxx.152)

    원글님이 원하시는 그런집 가지고 있어요~*^^*
    도시 아파트 집에서 딱 한시간 거리 시골에 시골집(구들 있는 흙집?)을 매입한지 2년차 들어갑니다.
    다 하기 나름이에요.
    주말에 한번 혹은 한달에 한두번 가지만 좋아요.
    궁금하신거 있음 메일주세요~kmrs0620@hanmail.net
    우리가족이 살고 있는 그리고 주택 매입해서 보수하고 지금 생활 하고 있는 거 알려드릴게요~

  • 14. 진홍주
    '14.6.8 1:29 PM (221.154.xxx.157)

    우리동네 아줌마가 그런 새컨하우스 가지고 계세요
    물 좋고 공기 맑은 곳에다 땅사서 정원 꾸미고
    요즘 조립식주택 이쁘게 잘 나오거든요

    조립식 3500만원 들였다는데 온가족이 다 이용한데요
    여름에는 거기서 휴가 보내고요

  • 15. ,,,
    '14.6.8 2:45 PM (203.229.xxx.62)

    저도 관심 있어서 여기 저기 알아 보다가

    도시 여자의 촌집 개조 프로젝트
    2천만원으로
    시골집 한 채 샀습니다 란 책을 구입해서 읽었어요.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될거예요.

    시골집에 대한 로망이 있다면
    시골엔 1년이나 2년 개념으로 깔세라는게 있어요.
    100만원 선불 주고 일년 살아 보세요.
    살면서 그 동네에 익숙 할 수도 있고
    왔다 갔다 지내다 보면 그 지역을 중심으로 원글님 마음에 드시는 곳에 집을
    장만 하실수 있어요.
    덜컥 구입했다 후회하고 팔려고 내 놓으려면 잘 안 팔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8032 수백향에서요 서우 아버지 죽은거 아니었나요? 5 ^^ 2014/06/10 1,356
388031 국회의원 66명 긴급성명 5 긴급성명 2014/06/10 3,292
388030 밑에글이올라와서인데...남자 휘어잡는 여자의 결과는요? 12 글쎄요 2014/06/10 6,176
388029 금수원에 집시법 적용은 안 되나요? 1 .... 2014/06/10 785
388028 중학생여자 아이 키 5 주근깨 2014/06/10 2,889
388027 혹시 독일 항공사 비행기 이용해 보신 분 계세요? 4 비행기 2014/06/10 1,803
388026 갓 70대 어머니 옷 구입하기 좋은 사이트 알려주세요! 2 투딸 2014/06/10 1,586
388025 일할 사람이 있을까요? 9 과연 2014/06/10 2,689
388024 친구일로 좀서운해서요 5 쿨하게 2014/06/10 2,265
388023 다 익었는데 싱거운 열무김치 구제방법 있을까요? 9 ... 2014/06/10 3,044
388022 교수는 어느 정도 지위와 권력이 있나요??? 19 rrr 2014/06/10 6,813
388021 문창극 어록 일부.. 1 어록 2014/06/10 1,541
388020 낮에 식당알바 글 쓴 사람인데요.. 52 바닷가 2014/06/10 11,595
388019 왕따를 당하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님들께 16 **** 2014/06/10 3,987
388018 초등학교때 교내상 휩쓸던아이가 전교55등 56 ... 2014/06/10 15,832
388017 이외수와 김정태가 구설에 올랐네요 2 오늘 2014/06/10 2,812
388016 어금니발치를 했는데.. 전 이게 왜이렇게 서운한거죠? ㅠㅠㅠ 8 .... 2014/06/10 1,888
388015 매매하려는 곳이 임대아파트 비율이 높으면 어떨까요? 3 ........ 2014/06/10 2,235
388014 배에 올려 놓고 찜질하는 돌 이름이 뭐였죠? 19 도움절실.... 2014/06/10 3,822
388013 파스타할건데 팁 좀 알려주세요 ^^ 6 .... 2014/06/10 1,943
388012 하프클럽에서 산 물건 반품했으면 꼭 환불이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 4 *** 2014/06/10 2,382
388011 엑셀고수님 메크로설정 2 도와주세요 2014/06/10 1,066
388010 아이가 아픈데 종합병원 어느 과를 가야 할까요? 3 .. 2014/06/10 960
388009 '관피아 근절' 정부법안에 '전관예우' 대책은 빠져 세우실 2014/06/10 737
388008 승기가 소품칼에 찔려서... ㅠㅠ 54 부상 2014/06/10 17,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