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식자재에 농약검출되면 안되나요?

ㅇㅇ 조회수 : 1,572
작성일 : 2014-05-29 14:22:25

집에서 채소 재배 해보면 알죠.

진드기 때문에 아무래도 농약의 힘을 빌릴 수 밖에 없어요. 

집에서 다들 친환경유기농만 사먹으세요?

전 일반채소, 과일 사먹거든요.

대신 집에서 흐르는 물에 여러번 닦죠.

그렇게 하면 된다고 하던데...

 

친환경유기농을 납품받았는데, 업자가 속이고 일반채소를 납품했으면 문제지만,

농약이 검출됐다고 해서 그거 농약범벅 덩어리는 아니잖아요.

도대체 이해가 안되네... 

살아있는 애들 수장시킨 게 더 큰 문제지, 채소에 농약이 뭔 큰 문제인지...

닦아서 먹어라. 닦지도 않고 쌩으로 먹냐??

 

 

IP : 61.254.xxx.20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5.29 2:32 PM (119.192.xxx.232)

    네 그렇죠....감사합니다.

  • 2. 알랴줌
    '14.5.29 2:43 PM (223.62.xxx.79)

    문제가 될 만큼 많은 양의 농약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나온걸 몰래 먹인것도 아닌데요
    문제를 위한 문제겠죠

  • 3. ㅇㅇ
    '14.5.29 2:50 PM (61.254.xxx.206)

    친환경식자재를 쓴다고 했는데 일반채소를 납품한게 문제지,
    건강에 염려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오히려 방사능 식자재가 건강에 더 염려되네요.
    검출된 정도의 잔류농약은 깨끗이 닦은 그릇에 남아있는 주방세제 정도도 안돼요.
    그마저도 학교 급식실 주방에서 물로 깨끗이 씻어서 조리하잖아요.

  • 4. dd
    '14.5.29 2:50 PM (65.25.xxx.11)

    친환경 = 무농약 혹은 무화학 비뇨는 절대로 아니죠. 유기농 마크가 확실히 박혀 있어야 무농약 혹은 무화학 비료라고 할 수 있죠. 미국에서 유기농 마크가 찍힌 유기농 작물들도 소위 허가된 유기농용 친환경 농약을 치는 경우가 많구요. (저도 집에서 기르는 채소 몇 포기에 토끼나 진딧물이 덤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후추나 희석한 식초 같은 친환경 농약(?)을 뿌리기도 합니다.)

    완전 무농약으로 가는 것은 현대 식품 문화에서 사실 불가능에 가깝다고 봅니다. 저희 어머니가 직접 텃밭에서 가족을 위해서 고추농사를 지으시는데 농약을 한번도 치지 않고 고추농사를 성공하기란 하늘의 별따기라고 하시더군요. 최대한 조심해서 한두번 뿌린다고 하십니다. 그래도 어머니가 기른 고추는 확실히 믿을 수 있는 친환경 농작물이죠.

    결국 친환경으로 길러진 식재료를 잘 씻고 잘 요리해서 최대한 건강하게 급식으로 제공하는게 중요하죠. 조금 검출된 농약을 물고 늘어지는 꼴은 사실 참으로 구차합니다.

  • 5. 그렇죠
    '14.5.29 4:37 PM (125.129.xxx.29)

    지금 서울시 학교급식 재료는 50%만 친환경이고 50%는 일반 농약친 농작물이죠.

    본문 말씀대로, "친환경"이라고 속이고 기준보다 더 검출된 농산물을 납품했다면, 해당 업체 비리인거지,
    "농약친 채소는 정말 큰일났네 우리애들 어떻게???"라는 생각이 든다면, 이미 그 "선동프레임"에 넘어간겁니다.

    생각해보세요. 집에서도 100% 친환경 무농약만 먹는거 아니잖아요.
    윗분 말씀대로, 검출되었다고 하는것도 일반 농산물보다 훨씬 적은양입니다.

    집에서도 친환경 농산물 먹고, 학교에서도 꼭 그래야만한다고 생각하시는 분이라면,
    더더욱 박원순-조희연을 찍어줘야합니다. 이 둘이 친환경 무상급식을 늘리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고,
    진짜 농약친 채소양을 늘리려는 사람들은 문용린-고승덕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8219 오로지 JTBC 뉴스서만 방송했다네요 2 눈꽃새 2014/09/17 2,937
418218 유방암수술앞둔 동생 오리고기 먹여도 될까요? 6 친구 2014/09/17 2,972
418217 조건만 맞으면 3년 정도 집을 맞바꿔 사는것도.... 3 시대 2014/09/17 1,142
418216 쿠퍼비전 프로클리어 중에서요 1 ,, 2014/09/17 1,181
418215 블로그 하시는 분들, 포스팅 안할 때 압박 어떻게 견디시나요? .. 3 블로거 2014/09/17 1,918
418214 난방 배관청소 7 2014/09/17 1,513
418213 야외에서 먹을 샐러드 좀 알려주세요 4 어떡하지? 2014/09/17 1,012
418212 70대에 30%, 80대에 50%가 온다는데.. 8 .... 2014/09/17 2,531
418211 은행에서 찾은 현금이 부족할 수도 있나요? 14 아~어찌하리.. 2014/09/17 2,836
418210 칼국수 맛집, 공유해요! 12 ..... 2014/09/17 3,616
418209 눈떨림이 심해요ㅠㅠ 5 ^^* 2014/09/17 2,326
418208 금리가 낮다는데... 12 ... 2014/09/17 3,219
418207 쿠쿠 고르느라 1달째 고민중 ㅋㅋ 3 발아현미 2014/09/17 1,631
418206 예전에 일본산 흡습제 쓴다던 생리대가 뭐였는지 기억나시는 분? 1 ... 2014/09/17 1,898
418205 부모님과 첫 해외여행 가려는데 어디가 좋을지 모르겠어요 ^^;;.. 7 야옹 2014/09/17 1,299
418204 원래 박원갑씨는 항상 집값오른다고 집사라 했던분인거 같은데..... 5 .... 2014/09/17 1,921
418203 김용민의 조간브리핑[09.17] 박영선 측근 "공부못한.. lowsim.. 2014/09/17 844
418202 번데기 통조림 어디께 젤 맛나나요?? 6 번데기 2014/09/17 1,493
418201 다섯살 친구 초대하기 3 오히히히 2014/09/17 896
418200 대통령 모독이 도를 넘은 국회의원이 있긴 있네요 5 휴우... 2014/09/17 1,228
418199 길거리 흡연...견딜만 하세요? 25 미친다 2014/09/17 1,610
418198 밤이 말라버렸는데 방법이 없나요? 2 마른밤 2014/09/17 809
418197 돈있으면서도 가난하게 사는 사람 19 거짐 2014/09/17 5,940
418196 부조금 얼마 할지 고민입니다. 3 10,20?.. 2014/09/17 1,171
418195 터키,스페인 중 어느 나라 여행할지 고민입니다. 10 중학생 2014/09/17 2,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