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혹시 주변인이나 자녀 중 이공계 대학원으로 자녀를 보낼 생각이 있으신 분이 있다면

omh 조회수 : 1,401
작성일 : 2014-05-28 22:16:56
혹시 주변인이나 자녀 중 이공계 대학원으로 자녀를 보낼 생각이 있으신 분이 있다면 제 글이 조그만 보탬이라도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이공계 대학원생입니다.
이공계 교수들은 주로 프로젝트란 걸 수행하고 거기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이 어떻게 흘러갈지는 전적으로 교수 재량입니다. 한국사회에서 교수란 직업에 대한 신뢰도는 굉장히 높고 따라서 많은 일의 의뢰가 따라옵니다. 그 일을 교수가 해결하는 사례를 지금까지 보지는 못했습니다. 거의 그 밑의 대학원생 혹은 학부생들이 소화하죠.
아이들이 자신의 진로 때문에 고민하며 대학원에 진학하려 한다면, 고려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인생은 자기 자신의 선택이지만, 아직 사회에 대해 잘 모르는 20대 초반의 아이들을 현혹하기가 참 쉽다는 것,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취직이 정말 잘 된건지, 교수가 한명의 사례를 확대하고 일반화 시키지 않는 건지 역시 면밀히 봐야합니다. 취직 잘 한 제자들은 어떤 경우, 발버둥쳐서 겨우 취직한 후 지도교수와는 연락조차 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아이들을 책임지고자 하는 사람 역시 많이 없습니다. 세월호를 보며 눈물이 난 건, 그게 정말 우리의 모습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득 볼 땐 달려들지만, 책임은 지려하지 않는 그 모습들이요.

인생의 멘토와 같은 분, 물론 만날 수 있지요. 하지만 그런 일 잘 없습니다. 정말 잘 없습니다.
갈 곳을 몰라 헤매는 청춘은 넘쳐나고, 그런 청춘을 현혹하기는 너무나 쉽습니다.
대학원 학위를 요구하는 곳들, 물론있지요.
하지만 주변의 누군가 이공계 대학원을 가고자 한다면, 그 교수의 성향이 어떤지를 정말 잘 파악해야 합니다.

늦은 밤, 두서 없이 쓴 글입니다. 주변에 대학원을 고민하는 사람이 있다면 넌지시 전해주셔도 좋을 내용입니다. 들어가기 전이라면 몰라도 들어가고 난 다음에는 와닿을 수 밖에 없는 내용이라서요..
바닥난 자존감을 어떻게 회복시켜나가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지금은..
IP : 58.140.xxx.13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감사합니다
    '14.5.28 10:20 PM (122.34.xxx.140)

    정말 딱 맞는말씀
    꼭 필요한 말씀이네요...

  • 2.
    '14.5.28 10:36 PM (223.62.xxx.15)

    대학원 프로젝트비를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곳 있을지 모르겠으나 아예 학교가 관리하고 특정 범위내에서만 쓸 수 있는 곳도 있습니다.

    이공계 대학원도 여러 부류일테고 취업 고민은 아예 하지도 않는 곳도 있고 그렇지요.

    대학원 진학의 고민은 공부를 더 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문제 이겠지요

  • 3. 이공계대학원생은 노예라는 농담은
    '14.5.28 11:09 PM (210.223.xxx.26)

    이 농담은 미국에도 있더군요. 체제가 그럴수밖에 없게 되어 있기 때문이겠지요.

  • 4. ...
    '14.5.28 11:17 PM (98.169.xxx.158)

    원글에 공감해요.
    그렇지만 학위가 필요하다면 선택의 여지가 없는게 문제죠.
    그나마 취직이라도 된다면 혹사도 감당하겠는데....

  • 5. ....
    '14.5.29 11:08 AM (110.46.xxx.91)

    아들 이공계대학원진학상담시 참고해야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6726 윤일병 과대보도 재보선 패배세력 탓 6 진홍주 2014/08/11 1,133
406725 어제 치킨시켜먹었는데 신세계네요 6 타카토라 2014/08/11 5,003
406724 2006년에 지어진 아파트1층(마당?조금있음) 어떨까요? 10 조언 2014/08/11 1,668
406723 '헌데'나 '해서'라는 단어? 10 표준어 2014/08/11 1,293
406722 온라인으로 사업하다가 망한아이템 하나씩만 얘기해주세요^^; 2 ㅠ.ㅠ 2014/08/11 2,037
406721 아이, 할머니..하루 여행지 추천해주세요~ 2 여행고고 2014/08/11 1,125
406720 한국에서는 사람밀고 치고 다니고 문 안잡아주더라도 외국에서는 9 ........ 2014/08/11 1,733
406719 아빠와의 단절된 관계.. 회복할수있을까요 3 2014/08/11 2,030
406718 교정장치 계약한거 말고 바꿔도 될까요 1 2014/08/11 834
406717 이번 여름엔 계속 배고파요 3 배고파 2014/08/11 1,033
406716 도서관에서 영화보는거요 2 더미굽 2014/08/11 1,114
406715 그것이 알고 싶다 - 방송판, 악마를 보았다. 1 00 2014/08/11 2,224
406714 자식에게 무언가를 해주거나 주는 것은 정말 하나도 안 힘든가요?.. 14 .... 2014/08/11 3,886
406713 [여야협상 무효!] 국회 잘 다녀왔습니다. 16 청명하늘 2014/08/11 2,096
406712 무궁화 때비누 사용하시는분? 이거 너무 건조하지 않나요? 2 soss 2014/08/11 3,090
406711 시어머니때문에 남편과 냉전중..어찌할까요.. 16 냉전중 2014/08/11 4,642
406710 개인의 불행을 투표랑 연결하는거 보면 어이가 없지 않나요? 2 ........ 2014/08/11 852
406709 왜 우리나라는 예절교육을 안시키죠? 문잡아주는거나, 서로 안부딪.. 30 왜 우리나라.. 2014/08/11 3,412
406708 택배포함 4700원짜리 참외 한 박스는 어떻게 나오는 걸까요 ?.. 6 ..... 2014/08/11 2,226
406707 금방 큰사고 날뻔했어요 5 또조심 2014/08/11 2,812
406706 특별법 국민투표 하면 좋겠어요. 세월호 2014/08/11 860
406705 문 잡고 있어주는 거 3 ..... 2014/08/11 1,497
406704 잠실싱크홀이요? 정말 무섭고 겁이나서? 23 벌컨 2014/08/11 5,946
406703 기업체 신입사원 나이상한이 몇살인가요? 3 ... 2014/08/11 1,757
406702 국회 소식 좀 올려주세요 현재 2014/08/11 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