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현재 특목고제도는 머리가 빨리 번아웃

조회수 : 3,487
작성일 : 2014-05-25 12:33:50

되는 제도라고 하네요

요즘 새로나온 공부 논쟁이라는 책을 읽는데

거기 물리학 교수와 법학 교수인 두 형제가

대담형식으로 대화한걸 엮어놓은 책인데

 

어린나이에 선행학습으로 머리가 딱딱해 져서

대학에 오면 새로운 창의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뭐

그런얘기..

 

목적지가 산에 올라가는거라 급히 목표만 채우는게 아니라

천천히 배워나가는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

꽃도 보고 물도 보고 새도 보고

천천히 다양한 경험과 결합되어 문제해결능력을 장착해 나가면서

배우는것도 괜찮다는 논지...

 

과학의 새로운 발견의 80프로가

세렌디피티 즉 우연을 통해 발견된다고

그 우연이란건 사실 수많은 뻘짓과

시도,실패가운데 얻는거라서

 

단지 목표에 빨리 도달하는것에만

목적을 둔다면 저런 우연과 창조란건

발견하기가 쉽지 않고

 

바로 호기심이라는 공부의 큰 원동력이

일찍 목표에 도달해 버려서

어린나이에 빨리 사그러든다는게

핵심이었는데

 

읽으면서 끄덕끄덕하더군요..

IP : 211.212.xxx.110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동감
    '14.5.25 12:40 PM (182.215.xxx.151)

    입니다. 사교육 종사 24년차인데요, 초등부터 과열된 경의 시작이 특목고에 있다고 보거든요. 초등 아이들부터 호기심이라는건 찾아볼수가 없어요

  • 2.
    '14.5.25 12:48 PM (211.207.xxx.203)

    과학의 새로운 발견의 80프로가
    세렌디피티 즉 우연을 통해 발견된다--> 이 말 참 좋네요.

  • 3. 교육
    '14.5.25 12:56 PM (74.101.xxx.98)

    많은 물량의 지식이니 정보만 암기하는 한국식 교육이 인터내셔날 레코드에
    좋은 기록을 남길지는 몰라도 로직이나 창의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넓고 길게 볼 때, 저는 바람직하진 않다고 봅니다.

  • 4. 고정점넷
    '14.5.25 1:18 PM (116.32.xxx.137)

    제가 무척 좋아하는 책을 몇권 쓰시고, 인터뷰도 하시고 라디오책다방이라는 팟캐스트 하는 김두식 선생님의 책이지요

  • 5. ...
    '14.5.25 2:15 PM (119.148.xxx.181)

    꽃도 보고 물도 보고 새도 보고....좋은데요...
    실제로 아이들이 공부를 안 하는 순간에는 오로지 스마트폰만 보고 있어요.

  • 6. 사이드런지
    '14.5.25 3:34 PM (110.15.xxx.79)

    네.전 우리애 어릴때부터 이런 인식을 하면서 키웠죠.
    사람들이 생각보다이걸 모른다는게함정.
    예전에 여기서도 댓글에적었지만 아이때는 꽃도보고물도보고새도보고 돌도보고 다 봐야한다고 적었거든요.
    이걸 무시하면안되죠.
    근데 이의미가 뭔지를 또 모른다면...흠냐리..

  • 7. adhd
    '14.5.25 8:24 PM (49.50.xxx.230)

    맞는 말씀 이네요... 밧데리로 생각 하면 될것 같아요.
    동영상 플레이와 sns용량 차이정도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0939 세월호-100일 ..아버지의 눈물.. 2 산우 2014/07/24 1,185
400938 박유하 정말 너무하네요. 8 참맛 2014/07/24 2,695
400937 밖에서 쓸 개집 추천 부탁드려요ㅠ 5 잊지않겠습니.. 2014/07/24 2,009
400936 [그여 100일이] 오늘만큼은 게시판 벌레들이 잠들게 하소서.... 8 청명하늘 2014/07/24 1,170
400935 초5 방학중 에세이 특강 5 정 인 2014/07/24 1,391
400934 (세월호 100일 90) 오늘 저녁 시청에도 가고 6 잊지않을께 2014/07/24 838
400933 (세월호 100일 - 89) 그날 이후, 생각이 변했습니다. 4 그루터기 2014/07/24 817
400932 선물 1 작은 2014/07/24 697
400931 (세월호 100일-87) 세월호재판 증인으로 나온 김동수씨 3 책임지는 사.. 2014/07/24 1,008
400930 세월호100일-86) 좋은 기억만.. 3 라벤더산들향.. 2014/07/24 773
400929 2014년 7월 24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4/07/24 1,375
400928 유병언 사체 맞나 아니면 ‘바보 퍼포먼스’? 1 무지 허술해.. 2014/07/24 1,278
400927 (세월호 100일 - 84) 비가 오시네요 7 죽순이 2014/07/24 792
400926 (세월호100일-84) 함께 하겠습니다 4 진실을 알자.. 2014/07/24 576
400925 세월호 도보행진 응원하고 싶은데요 6 ... 2014/07/24 1,126
400924 (세월호 100일 - 83) 돌아와 주십시오. 4 기억하겠습니.. 2014/07/24 596
400923 (세월호 100일 - 82) 잊지 않겠습니다. 3 조작국구 2014/07/24 718
400922 (세월호 100일 - 81) 절대 못잊습니다! 3 요레 2014/07/24 834
400921 세월호 서명 언제까지인가요? 희망 2014/07/24 765
400920 (세월호 100일 - 80) 잊지 않을께요. 3 오래된미래 2014/07/24 723
400919 100일에... 지수 2014/07/24 925
400918 (세월호 100일 ㅡ79 ) 3 미안해 2014/07/24 827
400917 (세월호 100일-78) 아름다운 이들에게 3 시내 2014/07/24 1,018
400916 [세월호100-77]유가족여러분 힘내세요 3 외계에서 오.. 2014/07/24 578
400915 풍기인견패드나 마패드 신청할곳 아심 알려 주세요 4 어디;; 2014/07/24 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