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살때 대출금 8천정도면 심한건가요?

닭아웃) 조회수 : 4,471
작성일 : 2014-05-24 21:09:45
가진돈이 없어8천정도 대출받으려구요..중도금 무이자라 집판돈 입주시 내고 나머지는 담보대출로 돌려야 되는데 맞벌이 400이고 아이가 넷인데 포기하는게 나을까요?고민되네요
IP : 112.149.xxx.74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플럼스카페
    '14.5.24 9:13 PM (122.32.xxx.46)

    맞벌이 400에 애가 4이면 8천은 좀 큰 거 같아요.

  • 2. 애가 넷
    '14.5.24 9:17 PM (112.173.xxx.214)

    아이들이 어느정도 컸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고딩 초딩 고학년 아들만 둘인데
    아이들이 크니 식비가 사교육비 다음으로 많이 드네요.
    5년 이내로 갚으실 수 있음 부담이 적을 것 같고 10년이 걸릴 것 같음 생각 다시 해 보세요.

  • 3. 집값이 전부
    '14.5.24 9:18 PM (125.143.xxx.206)

    얼만데요?결혼 몇년차신데요?

  • 4.
    '14.5.24 9:28 PM (112.149.xxx.74)

    총액29500정도 아이는 고3.2중2유치원7살이고 그달벌어쓰는 서민 극빈층이죠..제가 열심히하면 500만원까지 수입이 되요.한달에요

  • 5. 플럼스카페
    '14.5.24 9:31 PM (122.32.xxx.46)

    대출상환 유예기간 같은건 없고 바로 원리금 납입인가요?
    자녀들.대학도 보내셔야 하는데...

  • 6. ..
    '14.5.24 9:34 PM (175.116.xxx.66)

    집값대비 8천대출은 괜챦은것같은데.. 월소득대비 8천대출은.. 힘드실거같아요.. 아이들도크고.. 근데 집은있긴있어야할것같은데.. 고민되시겠네요ㅜㅡ

  • 7. ....
    '14.5.24 9:43 PM (125.143.xxx.206)

    집을사면 등록세 취득세 이사비 재산세등둥 지출이 많아지는거도 고려하시고 계시지요?아이가 대학가면 돈들일이 더 많아지고..금리는 내년쯤이면 오를거 같기도 하고.500수입은 서민 극빈층은 절대 아니지요.그런데 아이가 넷이면 들어가는 돈이 무시 못할거같고.예상치 못한 지출도생기기도하
    고 ..원금까지 같이 갚아야될 시기가 되면 팍팍할거 같아요.수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집이 주는 편안함은 돈으로 계산하기어려울거같고..미분양된거 시간이 지나면 혹시 땡처리 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 8. 아이가 넷이라는게
    '14.5.24 9:45 PM (59.6.xxx.116)

    제일 큰 변수네요...

  • 9. 지금
    '14.5.24 9:55 PM (112.149.xxx.74)

    3천만원만 내면 3년되에 잔금내고 그때 대략 8천만원이 모자르는데 윗님말씀처럼 아이들때문에 어려워 대출금 상환이 안될듯 싶은데 그걸 생각해서 대출금은 전세를 줘서 우선 갚고 저는 다른곳에 무상으로 거주할곳이 있거든요..아님 월세를 놓아서 대출금 상환을 조금씩 할까도 생각중이지요..아무튼4명의 아이가 발목을 잡는건 사실이예요.식비만해도 어마어마하고 교육비가 제일 문제인데..저도 집을 갖고 싶은데 참 걱저이 많네요

  • 10. 요건또
    '14.5.24 10:03 PM (182.211.xxx.176)

    아이들이 넷이라 생활비와 교육비가 많이 든다지만 세 살면 이사 다니면서 드는 돈도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이들 전학까지 가야하니 안정감이 없죠. 집값이 2억 9천 5백이면 재산세가 그리 많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원리금 균등 상환하면 (가치 기간 없이) 20년 상환에 월 60만원 선 아닌가요? ?

    제가 아이 넷이라면 집 삽니다. 전세값이 몇 천씩 오를 경우도 생각해야 하고 전세값 제 때 못맞추면 어차피 그 빚도 져야 하지요. 전세 살아도 운 나쁘면 2년마다 이사비에 복비 드는거니 그건 지금 고려 사항 아닌거 같구요.
    원글님이 좀 더 힘을 쓰셔서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내 집 장만하시고 수입을 더 늘리는 방안을 생각해 보세요. 자녀들은 첫 대학 등록금만 마련하면 나머지 학비는 국가 장학금이나 융자 생각하셔야 할테고, 남학생의 경우는 동생들 학령기 계산해서 군대 가기도 합니다.
    계속 전세 산다고 해서 아이들 학비 모으는게 안 힘든건 아니잖아요.
    여기서 집 산다고 하면 반대하는 기류가 높은데 문제는 갈수록 전세가 없어지고 월세만 넘친다는거죠. 향후 5년에도 전세가 남아 있을까 하는 생각도 종종 합니다. 지금 집값으로 인해 대출이 힘들다는건 전세가 늘 있고 그 전세가 많이 오르지 않는다는 전제죠.
    거치기간 있으면 원리금 균등 상환시 갑자기 돈이 너무 부담스럽습니다. 처음부터 원리금 균등 상환하시고, 형편 풀리는대로 더 많이 상환하시면 되지요. 고정 금리 요즘 4%라고 하니 고정금리로 하시면 금리 올라도 상관 없습니다. 은행이 문제가 되는거겠죠.
    그리고 집 사기로 하시면 가족 회의해서 자녀들에게 우리가 돈을 왜 아껴야 하는지 말씀 해 주세요. 다른 일도 아니고 집 사느라 아끼자고 하면 아이들도 협조합니다.

    여기서 집 사라고 한다한들 집값 떨어졌을 때 누구도 책임질 수 없고, 전세 살라고 한들, 몇 년후에 다 월세밖에 없어도 누구 하나 책임져주지 않지요. 대차대조표 만들어서 가족 회의 잘 해 보세요.


    건투를 빕니다.

  • 11. 월세를 놓으신다기에
    '14.5.24 10:07 PM (125.143.xxx.206)

    월세가 꼬박꼬박 제 날짜에 들어오는게 어려울 수도있고요.월새는 바로 안구해져서 공백기가 생기면 관리비도 부담하셔야되고..무상거주가 가능하다면 전세 돌려서 구입하시면 되겠네요.그런데 그집을 아까워서 어찌 세를 준대요..

  • 12. 존심
    '14.5.24 10:10 PM (175.210.xxx.133)

    다자녀라면 집을 갖지 않는 것이 좋을 듯...

  • 13. ...
    '14.5.24 10:23 PM (203.229.xxx.62)

    무상으로 거주할곳이 있으시면 그곳에 사시면서 저축해서 열심히 돈 모으세요.
    .
    어차피 집을 사서 입주하지 못하고 세를 준다면 나중에 사세요.
    예전처럼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있으면 대출이자 내면서 집장만 하지만 지금 상태론
    그렇게 많이 오르지 않아요.
    거주할곳이 없고 이사를 이년에 한번씩 다녀야 하거나 전세금 인상할때마다 올려 줘야 한다면
    집 사시라고 하지만 사실곳이 있으면 사지 마세요.

  • 14. 라라
    '14.5.24 10:47 PM (223.62.xxx.43)

    저라면 살 거 같아요. 이래저래 힘들겠지만 역으로 아이가 넷이기 때문에라도 구입 할거예요. 자녀분들이 한창 돈이 들어 가지만, 이사 안다니며 정서적인 안정감도 줄 수 있겠고 8천 정도면 영 무리한 대출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가족 회의 열어서 함 고민 더 해보세요.

  • 15. 자갈치
    '14.5.24 10:54 PM (117.111.xxx.223)

    우와..자녀가 넷~
    존경합니다.. 전 지금 백일아기 하나 키우는데도 힘든티 팍팍
    내고 사는데ㅠ 거기다 맞벌이까지..

  • 16. 사막의문
    '14.5.25 12:12 AM (182.228.xxx.94)

    지역이 어디세요? 혹 서울이시면 아이가 넷이면 시프트는 싫으신가요?
    20년 장기 임대이니 안정적이고 집 주인이 나라이니 전세금 걱정도 없구요
    아이 넷이면 가능 하실꺼 같은데 아마 30 평대 새 아파트가 2억 미안일꺼예요

  • 17. 저는
    '14.5.25 2:54 AM (221.143.xxx.203) - 삭제된댓글

    사는거에 한표.
    앞으로 돈들어갈일.천지지만 이런거 저런거 다 따지면 못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2934 새 팟캐스트, 진중권 노회찬 유시민 정치다방 1회 1부~2부 6 lowsim.. 2014/05/27 1,312
382933 면목동 내과 2 보라돌이 2014/05/27 1,229
382932 헐,,,빨간펜브로마이드에 노무현대통령 없는이유?? 확 이것들을.. 4 비전맘 2014/05/27 1,321
382931 보급형 스마트폰 쓰시는 분 1 스마트폰 2014/05/27 682
382930 휴대폰 내일출시되는 g3 32만원 // g프로2 고민중이예.. 4 ... 2014/05/27 1,701
382929 혼자 듣기 너무너무 아까워서 추천합니다. 12 ㅇㅇ 2014/05/27 2,864
382928 저도 팩트티비 보고있는데요.. 4 2014/05/27 1,178
382927 팩트티비 완전 좋아요 1 홍이 2014/05/27 1,116
382926 고승덕에게 장정영 변호사의 9 /// 2014/05/27 1,570
382925 위메프박스(해외쇼핑배대지) 이용해보신 분 있으신가요? 코카콜라 2014/05/27 735
382924 대구시장- 권영진 44.5%, 김부겸 43.7% 9 바꿔바꿔 2014/05/27 2,399
382923 서영석 라디오비평(5.27) - 조선일보에게 마저 디스당한 안대.. 1 lowsim.. 2014/05/27 724
382922 선거벽보 훼손되어 있는거 어디다가 신고? 4 울동네 2014/05/27 721
382921 유모차촛불 나가셨던 분들 창피한줄아시길. 7 농약급식 2014/05/27 1,485
382920 6학년이고 1살.7살때 MMR접종,다음달 필리핀가는데 추가로 접.. 1 홍역예방접종.. 2014/05/27 734
382919 이젠 뭘 말해도 몽창진창 ㅋㅋㅋ 1 참맛 2014/05/27 1,120
382918 (세월호기억하라)아이스크림기계 꼭 필요하나요? 14 뜨건여름 2014/05/27 1,330
382917 이번엔 부동산때문에 미칠 것 같아요.. 7 ... 2014/05/27 3,177
382916 오늘 서울 미세먼지 장난아니네요 10 미세먼지 2014/05/27 2,432
382915 자식문제에 있어선 보수나 진보나 똑같음 .. 2014/05/27 591
382914 쥐잡듯해서 대학보낼수만 있다면 3 2014/05/27 1,291
382913 논평-1992년 대통령 선거 때 정몽준 후보의 어머니는 어디 계.. 3 웃음주는후보.. 2014/05/27 1,578
382912 김현미 의원 잘 하네요. 51 // 2014/05/27 4,050
382911 스마트폰 카드 체크기 사용하시는분 알려주세요. ** 2014/05/27 622
382910 [추천] 세월호 구조장면과 문제점을 정리한 최고의 글 8 비탄과 분노.. 2014/05/27 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