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설거지거리 줄이는 노하우 있으신가요..

설거지 조회수 : 4,625
작성일 : 2014-05-22 12:18:19

청소야 청소기 하루 안돌린다고

크게 티나지 않고..

빨래도 매일 세탁기 돌리지 않아도

별 상관없고..

근데 설거지는 다 아시죠....

하루종일 안하고 쌓아둔다면ㅠㅠ

그래서 설거지가 젤 싫으네요...

그렇다고 음식 안해먹을수도 없고...

음식은 해먹되

설거지거리 줄이는 법 뭐 없을까요.....

IP : 218.38.xxx.213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eunah
    '14.5.22 12:21 PM (58.29.xxx.132)

    여러 반찬 한 번에 담을 수 잇는 접시 그거 이용해 보세요. 설거지거리 좀 줄어요. 그리고 전 식기세척기도 사용해요.

  • 2. 반찬은
    '14.5.22 12:25 PM (1.238.xxx.210)

    몰아서 만들어 밀폐용기에 보관하고
    큰 접시에 각자 밥과 반찬을 담아 먹으면
    식후에 식구 수대로 대접시3,국그릇3,수저3 정도만 나와요.

  • 3. 강민주
    '14.5.22 12:28 PM (119.207.xxx.79)

    그러게요.. 저도 설거지 싫어하긴하는데
    요리할때 조금머리써서 그릇수 줄이는거외엔
    별 뽀족한수가 없죠
    그래서 전 아예 개수대를 늘 비워둔다는 원칙을 세웠어요
    쌓아두질 않는거죠 커피한잔마셔도 곧바로 씼어엎고..
    개수대가 늘 비어있으면 심적으로 편하더라구요
    하루치를 쌓아둔다면 보기만해도 힘들거같아요
    그때그때 해치우심이~~ ^^

  • 4. 식판 쓰세요.
    '14.5.22 12:34 PM (211.201.xxx.68)

    확 줄어요.

  • 5. ...
    '14.5.22 12:34 PM (39.112.xxx.65)

    나물을 무치려면 고춧가루 들어가지 않는 거 부터 무치고
    고춧가루 들어가는 순서대로 준비하고
    그 냄비에 찌개나 국을 끓이지요
    반찬은 되도록 큰 접시에 여러가지 놓고 먹어요

  • 6. ㅇㅇㅇ
    '14.5.22 12:40 PM (58.226.xxx.92)

    가족들 앞앞이 큰 양푼 한 개씩 주고 밥과 반찬을 먹을 만큼 담게 한다. 국은 안 준다. 숟가락 사용 금지 젓가락으로만 밥 먹는다. 밥 다 먹은 양푼에 물 부어 마신 후 깨긋해진 양푼에 커피 타 마신다. 각자 먹은 그릇 각자 씻는다.

  • 7. 오수정이다
    '14.5.22 12:43 PM (112.149.xxx.187)

    ㅇㅇㅇ님...ㅎ 스님들 공양법이네요.^^;

  • 8. 888
    '14.5.22 12:48 PM (180.70.xxx.234)

    ooo 님.. ㅎㅎ 음... 저렇게 하면 식구들의 반응 이 궁금해요 ....

  • 9. ㅋㅋㅋ
    '14.5.22 12:54 PM (223.62.xxx.19)

    좋긴한데 식구들 가출할듯.

  • 10. 오마이갓
    '14.5.22 12:56 PM (121.147.xxx.125)

    양푼에 커피는 ㅋㅋㅋㅋㅋㅋ

    그건 제가 용서 못하겠네요.

    아침 먹고 설겆이 끝낸 후 커피 한 잔 마시는 낙을


    그냥 설겆이는 남의 편이 해주는 걸로 해결 봤습니다.

  • 11. 베니
    '14.5.22 12:59 PM (116.127.xxx.69)

    기름끼있는 음식을 안만들고요.
    트리오만 안써도 일이 반으로 줄어요.

  • 12. 긴허리짧은치마
    '14.5.22 1:02 PM (211.195.xxx.34)

    기름끼랑 국 안먹고 컵은 각자 개인컵 사용.

  • 13. 아이구야
    '14.5.22 1:05 PM (117.111.xxx.128)

    82뿐이다. 진짜증말~우울했는데 ㅇㅇㅇ님 양푼공양덕에
    빵 터졌쎄요. ㅎㅎㅎㅎ 아 욱겨

  • 14. 이런 말할 처진 아니지만
    '14.5.22 1:06 PM (1.238.xxx.210)

    ㅇㅇㅇ님 너무해요...ㅎㅎ
    양념 묻은 그릇 헹군 물 마시는건 생각만해도 정말 못 참겠다는..

  • 15. 원글
    '14.5.22 1:08 PM (218.38.xxx.213)

    양푼님 아이디어 넘 재밌어요^^ 양푼에 커피 완전 히트ㅋ

  • 16. 양푼공양...
    '14.5.22 1:18 PM (1.228.xxx.15)

    추천 한방이요! ㅎㅎㅎㅎ

  • 17. ~~
    '14.5.22 1:27 PM (58.140.xxx.106)

    베니 님 방법이 제일 좋아요.
    사실 설거지 할 때 걸리는 시간으로 보면
    잔여세제를 흐르는 물로 헹궈내는 시간이 대부분인데
    기름기 없는 그릇 씻는 건 허전할 정도로 빨리 끝나요.
    어쩌다 기름기 있는 그릇 나오면 키친타올로 한 번 닦고
    물 담아서 1분 쯤 놔뒀다가 또 한 번 키친타올로 닦아내면
    뽀송뽀송 해요.
    그래도 찜찜해서 세제 아주 조금 수세미에 묻혀 닦긴 하지만 정말 병아리 눈물만큼만 묻히기 때문에 헹구는 것도 금방이에요.
    펌프식 세제용기 경우 펌프를 누르지 말고 톡 건드리기만 하면 아주 조금 쓸 수 있어요.

    설거지 전에 물에 불려야 하는 그릇은 겹치거나 큰 볼에 담을게 아니라 몇 분간 잠시 어수선하더라도 그냥 하나씩 따로따로 물을 담아놓으면
    그릇 겉면에 음식물이 묻어나지 않아서 결국 설거지가 빨라져요.

    식사준비 할 때 나오는 조리도구는 그 때 그 때 씻어놓고요. 그러면 다섯식구 저녁 먹은 설거지도 그리 많지 않거든요.

  • 18. 저도
    '14.5.22 2:13 PM (221.153.xxx.87)

    저도 윗님들과 같음.

    아크릴수세미를 사용후 많이 줄었어요.
    왜냐면 양념이나 기름기 없는 그릇은 그냥 세제 없이 씻으니까 금방이에요.
    컵같은 것도...

    모든 그릇을 세제묻혀서 하는 것과 엄청난 차이가 있어요...

    아마도 1/2 이나 1/3정도로 수고가 줄어듭다니다.^^

  • 19. 위생비닐과 대접시
    '14.5.22 3:01 PM (14.32.xxx.157)

    밥 먹을땐 대접시에 밥과 반찬 적당히 담아서 뷔페식으로 먹어요.
    그럼 4인가족 접시 네개와 숟가락 젓가락만 설거지하면 땡. 국이 있다면 그릇이 더 필요하고요.
    나물을 무치거나 할때, 설거지가 귀찮으면 바가지에 위생 비닐 씌워서 쓰고요.
    김치 썰거나 기름진 음식 썰어야할때 도마 그냥 사용하지 않고, 한지나 기름종이 깔고 써요.
    그래야 설거지도 수월해요. 도마에 김치국물도 덜 베어들고요.

  • 20. 겹치지 않게
    '14.5.22 3:45 PM (210.94.xxx.167)

    기름기 있는 그릇들은 식탁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 기름기 없는 그릇을 불려서 아크릴로 물로만 헹구고요.
    그럼 한 50% 한 셈이죠..

    나머지 기름기가 많은 것들만 그 다음에 합니다.

    국물 버릴때 조심하시고- 설겆이통 뒷면과 다른 그릇에 또 묻으면 두번 일이라..
    키친타월로 한번 닦아 내고 하면 엄청 빨라요..

    기름기 제거가 설겆이 포인트인듯..

    설겆이 통에 산더미 같은 그릇보면 더 하기 싫어지더라구요.

  • 21. 세척기요
    '14.5.22 4:48 PM (106.69.xxx.94)

    식기 세척기 - 보쉬거 젤 비싼 건데 판이 세개에요, 수저통 바구니 같은 거 없는 모델.
    첫판에 숟가락 등등 올라가구 둘째판에 컵이나 자잘한 반찬그릇 세째는 그냥 큰 접시들..

    세척기 이틀에 한번 돌리고 비우면 쓴 그릇 나오는 데로 착착 넣어서 돌리고 합니다.

  • 22. 저도
    '14.5.23 10:19 AM (211.177.xxx.213)

    기름기 없는 그릇은 물에불려 물로만 씻고
    기름기 있는그릇은 키친타올로 닦아내고 소다나 소량의 세제로 씻어요.
    그럼 좀 간단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3553 '김기춘 증인채택' 잠정합의했던 새누리 돌변 9 샬랄라 2014/05/29 1,630
383552 요 아래 알바글...이석기를 국회의원으로 만드는데 큰 도움주신 .. 2 기독교인 2014/05/29 449
383551 나만의 선거홍보 비법 풀어봐요 2 점둘 2014/05/29 538
383550 식자재에 농약검출되면 안되나요? 5 ㅇㅇ 2014/05/29 1,257
383549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님를 도울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합니다! 35 델리만쥬 2014/05/29 1,646
383548 이석기를 국회의원으로 만드는데 큰 도움주신 박원순 시장 5 ... 2014/05/29 839
383547 마지막 순간 학생증 목에 건 아들... 17 수인선 2014/05/29 4,674
383546 송파 조희연님 쳐져 계셔서 세워드렸습니다. 6 길가다 2014/05/29 1,518
383545 (투표해야!!) 강아지키우는분들 개껌믿을만하다고 보세요? 7 sffjdn.. 2014/05/29 1,554
383544 제가 꿈이 참 잘 맞는 편입니다. 23 이번에도 조.. 2014/05/29 9,642
383543 '고문피해' 故 김근태 전 의원, 28년 만에 무죄(종합) 4 세우실 2014/05/29 922
383542 새누리 간사 조원진 '진행상황을 브리핑해 협상 무효' 9 세월호국정조.. 2014/05/29 937
383541 원순씨와 낮 데이트 가신분들 사진 4 우리는 2014/05/29 1,906
383540 MS office 배우는것 2 워드 2014/05/29 567
383539 황우여 "야당에서 단체장 하는 곳에서만 사고 나&quo.. 17 샬랄라 2014/05/29 1,995
383538 개표 참관 해보신 분 있으신가요? 3 2014/05/29 850
383537 새누리는 국민 절대 무서워 안하네요 6 안하무인 2014/05/29 1,416
383536 장성효사랑병원 소방관 아들의 눈물 5 ㅁㅁ 2014/05/29 1,703
383535 공무원 연금 여론몰이 글 삭제되었네요. 1 이 무슨 일.. 2014/05/29 841
383534 [진실된 사회를 위해] 문용린에게 농약급식의 책임 있다던 사람들.. 12 이정희 2014/05/29 1,452
383533 동충하초에 대한 다큐를 보다가요 ,,,, 3 ,,,,,,.. 2014/05/29 1,076
383532 서영석의 라디오비평(5.29)-국가폭력을 막기 위해 촛불을 들자.. lowsim.. 2014/05/29 703
383531 이제 풀어도 될까요? 11 삼성 불매 2014/05/29 1,368
383530 오십견 아픈것처럼 어깨가 냉기로 내리누르듯 아파요. 딜레마네요.. 3 냉방병 일ㄲ.. 2014/05/29 1,083
383529 부잣집에서 태어나고싶다던 고 한세영양의 말이 자꾸 떠올라요 8 .... 2014/05/29 2,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