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개성강한 둘째 아이 어떻게 키울지- 개인문제글 죄송요

상담 조회수 : 1,120
작성일 : 2014-05-14 10:38:33

중요한 시국에 개인적인 글 죄송합니다.

일단 언니들, 저 저번에 경신고 전화하고, 동대문경찰서도 전화하고, 새정치 사무실도 전화했어요

언니 동생들과 마음 같이 하고 있는데, 제 아이 잘 키워보겠다고 이렇게 글 올립니다.

둘째 아이때문에 고민이 계속되고 있어, 이 문제라도 마음이 정리되야 살 것 같아서요.

저는 아들만셋, 초1, 여섯살, 세살 아이들 엄마에요.

첫째, 셋째는 무난하고 밝고 조금씩의 갈등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엄마말을 잘 따라주는 성격이에요.

둘째는 태어나서 갓난아기부터 형, 동생과 달랐어요.

두 돌 가까이 까지는 울음은 길었지만 소심하고 순한 아이인줄 알았어요.

하지만 그 후 자아가 발달하면서 보여지는 성향은

자기 개성과 자기 생각이 강하고, 자기가 하고자 하는 것은 어떻게든 하려고 하는 고집

예를 들면 후드티를 거꾸로 입어서 모자를 앞으로 오게 하고 외출을 한다든지

노랑, 파랑, 빨강 양말들을 한짝씩 짝지어 신고 다닌다든지요

친구와 같이 있으면 잘 놀면서도, 친구든 누구든 사람에 대해 크게 간절함이 없어요.

혼자 하루종일 집에 있으면서도 하나도 심심해 하지 않아요.

책읽는 것 좋아하고

(한글은 자기 이름 세글자 밖에 몰라요 그림을 보면서 내용을 유추해서 읽는 거죠

저희가 산 전집은 몇 질 없는데 지인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책을 주셨네요)

놀이터가면 몇시간이고 이것저것 하면서 놀고,

어떤 생각이 나면 이런 저런 실험을 하느라 어떤 날은 온 몸이 물에 젖어있고

어떤 날은 집안이 난장판납니다.

제가 보기에 어떨 땐 감수성도 있고 그런 것 같은데

어떨 땐 사람에 대한 배려심이 부족하고, 공격성이 있어요.

아이의 기질을 존중해서 키워야지 하면서도

남편 직장때문에 타지에 사느라 저 혼자 아들 셋 온전히 키우면서 지치기도 하고

때로 마음의 여유가 없기도 하네요.

작년에는 형 따라 유치원에 어느 정도 다녔는데(평균 일주일에 네번 정도)

올해는 3월부터 자주 안간다고 하더니

얼마전부터는 유치원을 너무 가기 싫어하고 침대에 숨고 옷을 일부러 늦게 입어

최대한 안가려고 해요.

남편과 상의하다 일단은 조금 쉬어보자 하고 유치원에도 2주정도 쉬면서 생각을 정하겠다 했어요.

우리 둘째... 이렇게 유치원 안간다고 하는데 6세때 집에 있으면서 쉬어볼까요?

남편은 그렇게 가기 싫어하는데 집에 데리고 있자고 하고

저는 그럴까 하면서도 아이의 사회성등이 걱정되어서 망설여집니다.

사실 저는 심리학을 전공한 임상심리사에요.

육아때문에 일을 잠시 쉬고있지만 아이들 심리검사도 많이 하고 놀이치료도 했었죠.

그런데 제 아이를 키우면서는 그동안의 경험과 지식은 다 어디로 가버리고

이렇게 중심을 못잡고 매일 고민이네요.

유치원을 6세 때 쉬어도 될까요?

둘째 아이같은 기질, 좋은 성품이 되도록 잡아주면서도 호기심이 많은 면도 잘 살려줘야 할텐데

어떻게 대하고 어떻게 키우면 좋을지요

너무 두리뭉실하고 뻔한 질문일까요

그런데 저는 지금 머리속이 하얗게 되었네요.

가끔 둘째 아이를 보고 있으면 제 자신이 무력감에 빠집니다.

저와 성향이 많이 달라서 많이 부딪히거든요.

조언 부탁드려요. 도움 간절해요~~sos!!

 

IP : 125.183.xxx.18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5.14 10:49 AM (122.32.xxx.12)

    다른 전문가의 의견도 한번 들어 보시는건..어떠세요..
    저는 원글님하고 같은 전공은 아닌데..
    그냥 좀 관련된 다른 전공이였는데..(저도 치료도 하고 진단도..하고 그랬던...)
    음.. 정말 저는 어디가서 예전에 무슨 무슨 일 했다..이런말.. 정말 못하겠더라구요..
    정말 내 자식일은... 정말 안되더라구요..
    그냥 백지 같은 느낌...
    그 느낌이 딱인것 같았어요..

    그렇게 내 아이 키우면서 백지 같다가..
    아이가 좀 크면서 이런 저런 일 때문에 아이 상담도 좀 받고...
    미술 치료도 좀 했었어요..
    그리고 저는 개인 상담 진행 중이구요..(솔직히 그 상담 센터 갔을때 제 동기가 거기서 다른분야로 일하고 있어서 그냥 나오고 싶은 마음 굴뚝 같았는데 그래도 뭐..지금 당장 내가 너무 힘들어 죽겠는데 이게 뭐라고 싶어서 그냥 다녔어요..)

    그리고 솔직히 아이 치료 하는 내내 좀 마음의 부담감은 있긴 했는데..
    그래도 지금 생각해 봄 잘했다 싶어요..
    다른 사람 눈으로 내 아이에 대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 들어 보고 했던것이 많은 도움 되었거든요..

  • 2. ..
    '14.5.14 11:32 AM (72.213.xxx.130)

    음, 제가 둘째라서 그런가 아이가 어떤지 조금 이해가 되네요.
    우선 아이를 첫째와 막내와 비교하지 마세요.
    다 아시겠지만 쟤만 비슷해지면 되는데 이런 마음을 버리셨으면 해요.
    그리고 첫째와 둘째 겨우 2살 또는 3살 차이잖아요.
    님은 어쩌면 둘째에게 쏟은 시간이 많지 않았을지 모르겠어요.
    울 엄마가 제 어릴때 얘길하면서 그러더라구요.
    시골에서 6살때까지 자랐는데, 동생을 업고 밭일 나가면서
    절 집에 두고 혼자 잘 논다고 그러면서 두고 가셨대요. 밭에데려가면
    나무 그늘에 절 매어두고 김을 매셨다고. 혼자서 잘 놀더래요.
    그런데, 제가 커서 보니까 혼자 잘 논다고 애를 어릴때 혼자 두는 건 별로 좋을 게 못된다 싶어요.
    네 저 혼자서두 심심해하지 않고 잘 지내는데요, 그건 여럿이서 어울리는 재미를 못 배운 이유도 있다 싶거든요.
    그리고 아이가 개성이 강해서 옷을 거꾸로 입는 거 사실 크게 문제가 되는 건 아니잖아요?
    왜 남들과 다른가에만 신경을 쓰지 그게 뭐라고 언짢은 얼굴로 애를 대할필요가 있을까 싶어요. ㅠ
    아이와 보내는 시간을 좀 더 늘려보셨으면 좋겠어요.
    6살이면 내년에 7살 유치원에서 또 사회성 배워도 될 나이니까 조급해하실 필요가 크게 없거든요.
    글을 읽고서 느낀 마음대로 써 봤어요. 보통 둘째는 첫째와 달리 자유와 독립성이 더 커요.

  • 3. 상담
    '14.5.14 12:50 PM (125.183.xxx.181)

    동기등에게 물어보고 그랬는데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더군요
    그래서 저보다 언니들, 아이들 많이 키우신분에게 경험을 물어보려구요

    혼자서 아이가 심심해하지 않는다는건 집에 혼자둔다는게 아니구요^^
    당연히 저와 동생과 함께 있죠
    아이 혼자두고 어디간적 한번도 없어요
    유치원에 안가고 집에서 놀아도 심심해 하지 않는다는 의미였어요
    그리고 친구들 형들과 잘 논답니다

  • 4. 콜비츠
    '14.5.14 2:29 PM (222.101.xxx.65)

    옷을 거꾸로 입고, 양말을 짝짝이로 신고 하는 건... 저희집에 있는 아기도 하고 있는 행동이예요.
    심지어 신발도 한쪽은 구두에 한쪽은 운동화를 신고싶어해요.

    전 그 행동들이 정상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행동이 아니라면 그냥 받아주시면 어떨까요? 남에게 해를 입히는 행동이 아니라면 괜찮을 것 같은데...
    어머님이 마음의 여유가 생기시면 훨씬 더 너그럽게 넘어갈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를 돌아보면 , 아이의 같은 행동이라도 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대한다는 것을 느끼고 있어요.

    어머님이 올바른 생각과 행동(존경합니다!!)을 하시는 분이니 아이도 곧... 부모처럼 서서히 자라나지 않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3824 세 주기 힘드네요.. 4 dd 2014/09/01 1,924
413823 KBS 이사장 내정 이인호 교수 조부 '일왕 위해 싸우다 죽으라.. 5 꽃레몬 2014/09/01 1,536
413822 아기 하나 보는 일은 7 dkrl 2014/09/01 1,654
413821 갑자기 비가 오네요 1 헉! 2014/09/01 1,144
413820 통화하는거 좋아하는 사람들은 본인이 밖에서 민폐인지 잘 모르죠?.. 2 시끄러! 2014/09/01 1,653
413819 이혼하고싶다고 맨날 말하는 친구.. 5 행복 2014/09/01 2,504
413818 강남역 양재역 부근...저렴하고 괜찮은 휘트니스센터 좀 알려주세요... 2014/09/01 947
413817 욕실청소 어떻게 하시나요 ?? 16 좌절 2014/09/01 10,078
413816 남 욕하는 사람들 불쏘시개 2014/09/01 1,903
413815 뼈속까지 시린 외로움을 극복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8 외로움 2014/09/01 3,940
413814 운동하면서 직업으로 삼을만한건 뭐가 있을까요 ? 8 미래 2014/09/01 2,166
413813 17개월아기 눈치보면서 엄마 때리면서 어떻게 교육시키나요 4 모모 2014/09/01 2,093
413812 소셜커머스 (위매프, 티몬, 쿠팡 등) 어떤거를 주로 이용하세요.. 4 신사동 2014/09/01 2,142
413811 인바디 결과 8 ㅁㅁ 2014/09/01 1,867
413810 추석고속버스에서 두끼 도시락이나 요기꺼리 뭘 준비하면 좋을까요?.. 5 점심 저녁 .. 2014/09/01 1,870
413809 청담동 Y1975나..이태원 글램 가보신 분 계세요? 3 ,, 2014/09/01 7,532
413808 도우미 아주머니께서, 강남 사람들은 기본이 되어 있다시네요.. 29 에혀.. 2014/09/01 20,635
413807 닭가슴살로 어떤요리를 하면 맛있을까요? 8 질문 2014/09/01 2,231
413806 입술반영구 예쁜가요? 4 ㄱㄱ 2014/09/01 2,349
413805 원세훈,"보수대학생 모임 만들고 지원하라" 7 뻔하지뭐 2014/09/01 1,701
413804 남동생이 먼저 결혼할때 누나로서 얼마나 해줘야 하나요? 10 미혼누나 2014/09/01 4,456
413803 CT촬영하고 실비보험금 청구해보신 분... 청구서류 좀 알려주세.. 8 ... 2014/09/01 4,947
413802 상암동으로 이사갈려는데 고등학원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완자 2014/09/01 1,618
413801 제가 왜 제사를 지내야 하죠? 59 2014/09/01 20,235
413800 콩쿨 입상했는데.. 1 피아노 2014/09/01 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