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개성강한 둘째 아이 어떻게 키울지- 개인문제글 죄송요

상담 조회수 : 978
작성일 : 2014-05-14 10:38:33

중요한 시국에 개인적인 글 죄송합니다.

일단 언니들, 저 저번에 경신고 전화하고, 동대문경찰서도 전화하고, 새정치 사무실도 전화했어요

언니 동생들과 마음 같이 하고 있는데, 제 아이 잘 키워보겠다고 이렇게 글 올립니다.

둘째 아이때문에 고민이 계속되고 있어, 이 문제라도 마음이 정리되야 살 것 같아서요.

저는 아들만셋, 초1, 여섯살, 세살 아이들 엄마에요.

첫째, 셋째는 무난하고 밝고 조금씩의 갈등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엄마말을 잘 따라주는 성격이에요.

둘째는 태어나서 갓난아기부터 형, 동생과 달랐어요.

두 돌 가까이 까지는 울음은 길었지만 소심하고 순한 아이인줄 알았어요.

하지만 그 후 자아가 발달하면서 보여지는 성향은

자기 개성과 자기 생각이 강하고, 자기가 하고자 하는 것은 어떻게든 하려고 하는 고집

예를 들면 후드티를 거꾸로 입어서 모자를 앞으로 오게 하고 외출을 한다든지

노랑, 파랑, 빨강 양말들을 한짝씩 짝지어 신고 다닌다든지요

친구와 같이 있으면 잘 놀면서도, 친구든 누구든 사람에 대해 크게 간절함이 없어요.

혼자 하루종일 집에 있으면서도 하나도 심심해 하지 않아요.

책읽는 것 좋아하고

(한글은 자기 이름 세글자 밖에 몰라요 그림을 보면서 내용을 유추해서 읽는 거죠

저희가 산 전집은 몇 질 없는데 지인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책을 주셨네요)

놀이터가면 몇시간이고 이것저것 하면서 놀고,

어떤 생각이 나면 이런 저런 실험을 하느라 어떤 날은 온 몸이 물에 젖어있고

어떤 날은 집안이 난장판납니다.

제가 보기에 어떨 땐 감수성도 있고 그런 것 같은데

어떨 땐 사람에 대한 배려심이 부족하고, 공격성이 있어요.

아이의 기질을 존중해서 키워야지 하면서도

남편 직장때문에 타지에 사느라 저 혼자 아들 셋 온전히 키우면서 지치기도 하고

때로 마음의 여유가 없기도 하네요.

작년에는 형 따라 유치원에 어느 정도 다녔는데(평균 일주일에 네번 정도)

올해는 3월부터 자주 안간다고 하더니

얼마전부터는 유치원을 너무 가기 싫어하고 침대에 숨고 옷을 일부러 늦게 입어

최대한 안가려고 해요.

남편과 상의하다 일단은 조금 쉬어보자 하고 유치원에도 2주정도 쉬면서 생각을 정하겠다 했어요.

우리 둘째... 이렇게 유치원 안간다고 하는데 6세때 집에 있으면서 쉬어볼까요?

남편은 그렇게 가기 싫어하는데 집에 데리고 있자고 하고

저는 그럴까 하면서도 아이의 사회성등이 걱정되어서 망설여집니다.

사실 저는 심리학을 전공한 임상심리사에요.

육아때문에 일을 잠시 쉬고있지만 아이들 심리검사도 많이 하고 놀이치료도 했었죠.

그런데 제 아이를 키우면서는 그동안의 경험과 지식은 다 어디로 가버리고

이렇게 중심을 못잡고 매일 고민이네요.

유치원을 6세 때 쉬어도 될까요?

둘째 아이같은 기질, 좋은 성품이 되도록 잡아주면서도 호기심이 많은 면도 잘 살려줘야 할텐데

어떻게 대하고 어떻게 키우면 좋을지요

너무 두리뭉실하고 뻔한 질문일까요

그런데 저는 지금 머리속이 하얗게 되었네요.

가끔 둘째 아이를 보고 있으면 제 자신이 무력감에 빠집니다.

저와 성향이 많이 달라서 많이 부딪히거든요.

조언 부탁드려요. 도움 간절해요~~sos!!

 

IP : 125.183.xxx.18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5.14 10:49 AM (122.32.xxx.12)

    다른 전문가의 의견도 한번 들어 보시는건..어떠세요..
    저는 원글님하고 같은 전공은 아닌데..
    그냥 좀 관련된 다른 전공이였는데..(저도 치료도 하고 진단도..하고 그랬던...)
    음.. 정말 저는 어디가서 예전에 무슨 무슨 일 했다..이런말.. 정말 못하겠더라구요..
    정말 내 자식일은... 정말 안되더라구요..
    그냥 백지 같은 느낌...
    그 느낌이 딱인것 같았어요..

    그렇게 내 아이 키우면서 백지 같다가..
    아이가 좀 크면서 이런 저런 일 때문에 아이 상담도 좀 받고...
    미술 치료도 좀 했었어요..
    그리고 저는 개인 상담 진행 중이구요..(솔직히 그 상담 센터 갔을때 제 동기가 거기서 다른분야로 일하고 있어서 그냥 나오고 싶은 마음 굴뚝 같았는데 그래도 뭐..지금 당장 내가 너무 힘들어 죽겠는데 이게 뭐라고 싶어서 그냥 다녔어요..)

    그리고 솔직히 아이 치료 하는 내내 좀 마음의 부담감은 있긴 했는데..
    그래도 지금 생각해 봄 잘했다 싶어요..
    다른 사람 눈으로 내 아이에 대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 들어 보고 했던것이 많은 도움 되었거든요..

  • 2. ..
    '14.5.14 11:32 AM (72.213.xxx.130)

    음, 제가 둘째라서 그런가 아이가 어떤지 조금 이해가 되네요.
    우선 아이를 첫째와 막내와 비교하지 마세요.
    다 아시겠지만 쟤만 비슷해지면 되는데 이런 마음을 버리셨으면 해요.
    그리고 첫째와 둘째 겨우 2살 또는 3살 차이잖아요.
    님은 어쩌면 둘째에게 쏟은 시간이 많지 않았을지 모르겠어요.
    울 엄마가 제 어릴때 얘길하면서 그러더라구요.
    시골에서 6살때까지 자랐는데, 동생을 업고 밭일 나가면서
    절 집에 두고 혼자 잘 논다고 그러면서 두고 가셨대요. 밭에데려가면
    나무 그늘에 절 매어두고 김을 매셨다고. 혼자서 잘 놀더래요.
    그런데, 제가 커서 보니까 혼자 잘 논다고 애를 어릴때 혼자 두는 건 별로 좋을 게 못된다 싶어요.
    네 저 혼자서두 심심해하지 않고 잘 지내는데요, 그건 여럿이서 어울리는 재미를 못 배운 이유도 있다 싶거든요.
    그리고 아이가 개성이 강해서 옷을 거꾸로 입는 거 사실 크게 문제가 되는 건 아니잖아요?
    왜 남들과 다른가에만 신경을 쓰지 그게 뭐라고 언짢은 얼굴로 애를 대할필요가 있을까 싶어요. ㅠ
    아이와 보내는 시간을 좀 더 늘려보셨으면 좋겠어요.
    6살이면 내년에 7살 유치원에서 또 사회성 배워도 될 나이니까 조급해하실 필요가 크게 없거든요.
    글을 읽고서 느낀 마음대로 써 봤어요. 보통 둘째는 첫째와 달리 자유와 독립성이 더 커요.

  • 3. 상담
    '14.5.14 12:50 PM (125.183.xxx.181)

    동기등에게 물어보고 그랬는데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더군요
    그래서 저보다 언니들, 아이들 많이 키우신분에게 경험을 물어보려구요

    혼자서 아이가 심심해하지 않는다는건 집에 혼자둔다는게 아니구요^^
    당연히 저와 동생과 함께 있죠
    아이 혼자두고 어디간적 한번도 없어요
    유치원에 안가고 집에서 놀아도 심심해 하지 않는다는 의미였어요
    그리고 친구들 형들과 잘 논답니다

  • 4. 콜비츠
    '14.5.14 2:29 PM (222.101.xxx.65)

    옷을 거꾸로 입고, 양말을 짝짝이로 신고 하는 건... 저희집에 있는 아기도 하고 있는 행동이예요.
    심지어 신발도 한쪽은 구두에 한쪽은 운동화를 신고싶어해요.

    전 그 행동들이 정상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행동이 아니라면 그냥 받아주시면 어떨까요? 남에게 해를 입히는 행동이 아니라면 괜찮을 것 같은데...
    어머님이 마음의 여유가 생기시면 훨씬 더 너그럽게 넘어갈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를 돌아보면 , 아이의 같은 행동이라도 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대한다는 것을 느끼고 있어요.

    어머님이 올바른 생각과 행동(존경합니다!!)을 하시는 분이니 아이도 곧... 부모처럼 서서히 자라나지 않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0110 그네축출) 선관위, 박원순을 병역 미필로 허위기재했네요. 7 그네하야 2014/05/17 1,525
380109 엄마들은 진짜 자식들을 위해 언제든 목숨도 기꺼이 양보할 준비가.. 7 엄마마음 2014/05/17 2,585
380108 눈물이나요 5 그냥 2014/05/17 1,106
380107 김어준kfc 8편 같이 얘기해요 6 ㅇㅇ 2014/05/17 2,573
380106 여의도 교직원 공제회에서 결혼식있는데, 밥이 부페인가요? 2 ... 2014/05/17 1,568
380105 즐겨라 대한민국.. 더 많이 보게 될겁니다.. 2 송이송이 2014/05/17 984
380104 주말 서울 도심 '세월호 추모' 대규모 집회·행진 5 ... 2014/05/17 1,877
380103 홈플 불매 운동 해야 겠네요. 10 --- 2014/05/17 4,098
380102 사과를..이렇게 진정성없이,,간봐가며 하는 대통령 9 ㄹㄹㄹ 2014/05/17 1,892
380101 삼성역에서 광화문까지 어떡해 가나요? 5 지방 사람 2014/05/17 1,238
380100 표창원님의 사과글 21 ... 2014/05/17 8,107
380099 세월호, 한번쯤 읽어보면 좋을글 7 아자아자 2014/05/17 1,346
380098 안산시장 단일화는? ........ 2014/05/17 502
380097 「맛의달인」原発問題、福島등抗議 波紋커지다 맛의달인 2014/05/17 780
380096 KBS 김시곤 전보도국장이 졸지에 혁명가가 됐군요. 14 어쩌나.. 2014/05/17 3,880
380095 댓글폭탄으로 사진 바꿨네요. 9 ;;; 2014/05/17 2,306
380094 jtbc뉴스 인터뷰 보니까 21 지수 2014/05/17 5,889
380093 퇴직 해경의 고백 "흥청망청 해경, 누가 감시할 수 있.. 3 .. 2014/05/17 2,428
380092 유족들 옷닭면담 결과 - 朴대통령, 추상적 답변만...유감 7 우리는 2014/05/17 1,818
380091 아이피가 수시로 바뀌는데 보통사람이냐고 묻는 알바들아 7 ㅎㅎ 2014/05/17 855
380090 저도 마트에서 '즐겨라 대한민국' 티셔츠 봤어요. 38 .. 2014/05/16 8,174
380089 의정부 306부대 근처 식당 11 허짱 2014/05/16 2,150
380088 비린내 없이 가자미 조림 하는 방법 어떻게 하나요? 3 또하나의별 2014/05/16 1,649
380087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에 관한 가족 대책위 성명 전문 9 유가족 2014/05/16 1,768
380086 몽물체 휘호 4 광팔아 2014/05/16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