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유족 ”자식 죽었는데..” 3명 중 1명 상담 거부

세우실 조회수 : 3,371
작성일 : 2014-05-13 16:50:08

 

 

 

[세월호 참사] ”내 자식 죽어나갔는데 상담이 무슨 소용”
http://www.nocutnews.co.kr/news/4021766

[세월호 침몰] 유족 ”자식 죽었는데..” 3명 중 1명 상담 거부
http://media.daum.net/issue/627/newsview?issueId=627&newsid=20140513023254678

죽음보다 아픈 '세월호 트라우마'
http://media.daum.net/issue/627/newsview?issueId=627&newsid=20140513023303710

”이쁜 내 새끼 없는 집에 어떻게 들어가요”
http://media.daum.net/issue/627/newsview?issueId=627&newsid=20140513060312877

 

 

상담은 꼭 필요합니다. 하지만 유가족 당사자들의 심정도 뭔지 이해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더 마음이 찢어지는 기사인 거죠.

마땅히 책임을 가진 사람들이 그만큼의 책임을 다 했어야 ”그래도 받으셔야지” 소리가 나오는 거지...

우선 순위가 따로 있는 거죠. 유가족들 입장에서는...

어쨌거나 이미 극단적인 선택을 하신 분들도 여럿 나오셔서... 조심스러운 소리지만 그래도 개입을 해서

조금이라도 마음이 움직이는 분들과는 심리적인 연대를 맺는 수준으로라도 계속 할 일은 해야 할 것 같아요.

댓글을 보니 진도로 파견나가 4일 간 일하고 오셨던 정신과 의사의 말에 따르면 4일 동안 유가족분들은

단 한 분도 상담을 받지 않았지만, 거기 있는 자원봉사자들 중에서는 상담 받는 분들 많았다고...

애초부터 잠수사나 자원봉사자분들에 대한 심리 치료도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왔었던 만큼,

그래도 그 인력이 거기 가서 있는게 아주 소모적이고 필요없는 일은 아닌 것 같거든요.

 

 

 

―――――――――――――――――――――――――――――――――――――――――――――――――――――――――――――――――――――――――――――――――――――

”정치 참여를 거부하는데 대한 벌 중의 하나는 당신보다 저급한 자들에 의해 지배당하게 되어 버리는 것이다.”

              - 플라톤 (조국 교수 트위터 재인용) -

―――――――――――――――――――――――――――――――――――――――――――――――――――――――――――――――――――――――――――――――――――――

IP : 202.76.xxx.5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ㅠ ㅠ
    '14.5.13 4:52 PM (58.226.xxx.92)

    우선 순위는 진실이 먼저 밝혀지고
    후순위가 상담

  • 2. ㅠㅠ
    '14.5.13 5:03 PM (110.11.xxx.32)

    저희 엄마 투병후 돌아가신 직후에 병원측에서도 남은 가족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권유 그리고 소책자등 한동안 보내줬는데 뜯어보지도 않고 다 버렸어요
    못 보겠더라구요 무슨 소용일까?란 생각과 무기력했던 자신을 더 상기시키는것 같아서요
    많은사람이 기억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알려드렸으면 좋겠네요

  • 3. 후~~~
    '14.5.13 5:07 PM (121.130.xxx.145)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고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내야한다지만...
    자식의 억울한 죽음 앞에 두고 부모의 심정이
    어떨지 너무나 공감이 되어서...
    솔직히 저라도 그럴 거 같아요.
    상담이 무슨 소용이고,
    뭘 어찌해도 그 상처는 낫지 않을 텐데
    이 분하고 원통한 마음을 상담으로 치유 받을 수 있겠어요?
    그런다고 자식이 살아돌아오는 것도 아닌데
    좀 더 편한 마음으로 살고 싶지도 않을 거 같아요.
    과연 시간이 약일까요?

    하지만
    하지만 어머님들 아버님들
    제발 기운 내시고
    상담도 받고 하소연도 하시고
    울분을 뿜어내세요.
    속에 담아두면 병 됩니다. ㅜ ㅜ

  • 4.
    '14.5.13 5:08 PM (175.201.xxx.248)

    지금 상담하고 싶을까요
    상담하는사람들은 자식을 잃어본사람이라 그마음을 알까요
    니들 그러고 있음 안돼 그러니 상담해라하면 하게될까요

    상담이든 병치료이든 본인의지가 있어야 되는거잖아요
    그런상담자말고
    가까이에서 밥도챙겨주고 울면 물이라도 주고 넋놓고있을때 같이 넋놓고있고
    이야기하고플때 그저 들어줄사람이 필요한거죠

    왜요
    그들의 마음이
    상담한다고 될까요
    아직 현실인정도 안되는데

  • 5. ,,
    '14.5.13 5:08 PM (58.148.xxx.16)

    먼저 진실이 밝혀진 후
    책임자 가려지고 후속대책이 뒤따라야
    유족들의 진정한 심리적 치료가 시작될 것 같아요.
    저기 정혜신박사께서도 그런 얘기 하셨죠..

  • 6. 심리치료보다 더 좋은 방법
    '14.5.13 5:16 PM (110.14.xxx.144)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 7. 저도
    '14.5.13 5:17 PM (125.129.xxx.29)

    저도 저정도 심각한 일은 아니지만, 우울증이 심하게 와서 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는데,
    상담을 받겠다고 생각하는 단계는, 한참 무기력한 시기가 지나고 "내가 좀 벗어나야겠다"는 상황이더라구요.

    그래도 결국 상담이라는게..뭐를 고치겠다는거보다 그 가슴속에 박힌 넋두리와 하소연을 들어주려하는거니까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꺼라고 생각됩니다.

  • 8. 우선
    '14.5.13 5:37 PM (221.151.xxx.107)

    진실을 밝히는 게 상담의 시작이라고 봐요.
    자식이 죽었는데 왜 죽었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어떻게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싶어요.

  • 9. 저라도
    '14.5.13 5:44 PM (39.7.xxx.31)

    상담받기 싫을 거 같아요. 자식이 죽었는데 마음의 평안이라든지 숙소 불편함 같은거 하나도 안중에 없을 듯. 상담보다는 밀착 서비스라고 유가족 옆에 붙어서 궁금해 하는 거 무슨무슨 절차 같은거 대신 알아봐 줄 사람은 있으면 좋을 거 같아요.

  • 10. 진상규명과 처벌이 이루어져야
    '14.5.13 5:52 PM (121.145.xxx.180)

    상담설득이라도 해 보죠.
    그게 아닌 이상 저라도 상담은 쳐다도 안봐질 거 같네요.

    지금은 윗님 말씀처럼 밀착 서비스가 그나마 최선으로 보입니다.
    가사일 돌봐드리고 각종 사무적인일 처리해 드리고
    아무말 않고 옆에 있어라도 드리는 거요.

  • 11. ...
    '14.5.13 5:53 PM (61.254.xxx.53)

    제가 생각하기에도
    세월호 사고의 진실이 밝혀지고 관련자들 처벌받는 게
    가장 좋은 심리치료일 것 같습니다.
    지금은 일단 너무 억울하고 분하고...죄책감도 더해져서
    마음의 안정은 도저히 찾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닐 거에요.

  • 12. ㅠㅠ
    '14.5.13 5:56 PM (121.88.xxx.195)

    내 자식 차가운 물속에서 죽어갔는데 부모된자로서 살아보겠다고 상담? 아마 죄책감이 더해져 더 괴로워지실 거 같아요.
    스스로 상담받는 건 사실 불가능할거 같고 의무적으로 한분씩 파견나가 가족상담 하시는게 더 좋은 방법 어닐까 싶어요.
    어제도 뉴스에 보니 이스라엘에서 트라우마 전문가들 오셨는데 그분들 말씀이 상담사가 자주 바뀌는건 유족분들과 신뢰감 형성에도 문제가 생기니 가족당 한분씩의 상담의가 전담하시면서 오래도록 관계를 갖도록 하는것이 그분들 치유에 효과적이라 하더라구요.

  • 13. 죄책감이죠...
    '14.5.13 6:00 PM (218.234.xxx.109)

    상담이라는 것 자체가 살아보자고 하는 것이라...
    자식, 가족이 물 속에서 생으로 수장당했는데 앞으로의 삶을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허무하고 죄책감 느껴질 거에요..

    전 엄마가 병환으로 돌아가신 후에 밥 끼니 되어 밥먹는 것도 그렇게 죄스럽더라구요.. 돌아가신지 3주째였나 그랬을 때였는데.. 그때는 배가 고파진다는 사실 자체에 제 자신이 혐오스러웠어요.

  • 14. 후~~~
    '14.5.13 6:09 PM (121.130.xxx.145)

    학교 폭력 피해 학생의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선
    가해자 처벌을 확실히 해야한다고 그러잖아요.
    이건 폭력이 아니라 살인인데
    일단 내 자식 죽인놈들 다 응징해야
    조금이나마 자식 위해 할 도리 했다는 생각이 들테고
    차가운 바닷속에서 아직 시신도 못꺼낸 아이들부터
    얼른 부모 품에 돌려주고, 예를 다해 애도를 표하는 절차가 먼저겠죠.

    극단적인 생각하시는 부모님도 계시니
    물론 상담도 중요합니다.
    그런데 상담이 다 무슨 소용이냐는
    그 마음이 너무 절절하게 와닿기 때문에 슬픕니다.
    뭘 어떻게 해도 돌아오지 못할 자식인데 ㅜ ㅜ
    그렇게 만든 놈들 다 처벌해야죠.
    조금이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첫걸음이자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 15. ..
    '14.5.13 7:03 PM (223.33.xxx.33)

    정혜신 인터뷰 검색해보세요..
    여기게시판에 있어요..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우리가 어떻게 해야할지도 생각하게 하더군요..

  • 16. 파라
    '14.5.13 7:10 PM (78.87.xxx.141)

    상담이 무슨 소용이냐는 생각이 들수도 있을거에요. 내 자식 갔는데 상담 받고 잊고 행복하게 살라냐는 거냐 이런 생각도 드실테고요. 그렇지만 지금 상처를 계속 안고만 있으면 마음의 병이 됩니다. 부부는 서로를 원망할수도 있고, 다른 자식들도 극복 안되는 상처를 받을수 있고요.
    가장 중요한건 본인 감정 얼마나 아픈지 얼마나 힘든지 주변에 말할수 있고 공감 받을 수 있으면 서로 상처 보듬으며 조금씩 치유되어 나갈수 있는데, 주변 가족 친구 친척 서포트가 강하면 이게 내부적으로 해결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무엇보다 상처받은 사람끼리 서로 상처줄수 있는 가능성도 높고요.
    오히려 사고 초기에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몽롱한 상태다가 이제 현실이 받아들여질수록 더 힘들어질텐데, 지금부터가 더 중요한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강제할수는 없지만 조금이라도 잘 수 있게, 상담받고 약처방이라고 받으시라고 꼭 권해드리고 싶네요.
    그리고 여기 피해자 지인분 계신다면 가족분 가능하면 바쁘게 만들어 주시고, 말 많이 시켜주시고 많이 들어주세요. 얼마나 예쁘고 얼마나 착한 아이였는지, 모두 그리워하고 절대 잊지 않을거라고 많이 말씀해주시고요. 꼭 안아주시고 같이 울어주세요. 그게 상담 백번보다 더 효과있으니까요.

  • 17. ......
    '14.5.13 8:29 PM (175.113.xxx.7)

    위의 파라님 글에서...
    "얼마나 예쁘고 얼마나 착한 아이였는지, 모두 그리워하고 절대 잊지 않을거라고 많이 말씀해주시고요."
    .....라는 대목 보니까 제가 눈물이 왈칵 나네요.

    얼마나 예쁘고 얼마나 착한 아이였는지...정말 얼마나 되새기고 또 되새기고 계실까요?
    옆에 자식이 늘 같이 있어도 부모 맘은 맨날 잘 못해준 것만 생각나는데...
    그 부모님들은 얼마나 후회되고 또 후회 되실까요? ㅠㅠ

  • 18. ㅜㅜ
    '14.5.14 7:32 PM (85.69.xxx.241)

    얼마나 예쁘고 얼마나 착한 아이였는지, 모두 그리워하고 절대 잊지 않을거라고 많이 말씀해주시고요. 꼭 안아주시고 같이 울어주세요. 그게 상담 백번보다 더 효과있으니까요.22222222222222222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1291 제주도에서는 20대 , 30대 초반 핫플레이스는 어디인가요? 3 심심해 2014/09/25 3,056
421290 헬스장에서 personal training 받으면 살이 많이 빠.. 8 00 2014/09/25 2,630
421289 명품백 팔수있는 매장 알려주세요 1 태현사랑 2014/09/25 1,170
421288 운동효과~ 2014/09/25 1,509
421287 오늘은 참.. 2 .. 2014/09/25 833
421286 근력운동 잘못하는 체질도있나요? 4 ㅠㅠ 2014/09/25 2,025
421285 병원가야 할까요? 1 가슴 답답하.. 2014/09/25 936
421284 미씨usa 국정원이 관리하는가 보네요 7 미씨 2014/09/25 3,091
421283 70년대 영화 '소나기' 기억하시는 분.. 6 아련 2014/09/25 2,968
421282 시청에서 시민 대상 건축 강좌가 열려요 느티나무 2014/09/25 885
421281 아이가 다쳤다는데 친구 만나러 간다는 남편 21 ㅜㅜ 2014/09/25 3,310
421280 고등학교관련 82글중 댓글에서 봤는데 알려주세요 2014/09/25 1,016
421279 아들 키가 160대면 어떻게 25 아들 2014/09/25 7,618
421278 커트 잘하는 미용실 알려주세요~~~ 16 딸기줌마 2014/09/25 6,857
421277 이 행동이 예의없는 행동인가요? 32 미치겠네 2014/09/25 14,142
421276 한식대첩2 4 ㅇㅇ 2014/09/25 3,005
421275 엉치뼈부터 발끝까지 저릿하면서 잘 걷지 못할때.. 4 가을하늘 2014/09/25 1,729
421274 상하이 홍차오 공항 4 빵빵부 2014/09/25 1,678
421273 상부 칸막이 없는 냉장고 써보신분들 조언 좀... 7 대박나 2014/09/25 1,558
421272 뒤돌아 보니 금방이요. 앞은 멀고.... 2 ^ ^ 2014/09/25 1,480
421271 초3 여아 키 어찌되나요 5 .... 2014/09/25 2,191
421270 강사쌤 선택문제예요. 해외에서 대.. 2014/09/25 712
421269 강남 미용실 커트 잘하는분 어디에 많이들 계시나요? 11 시나몬 2014/09/25 3,818
421268 뒷북이지만 이재명 성남시장 호감가네요. 1 aa 2014/09/25 1,243
421267 초경후 평균 10cm정도 크는 건데 왜 훨씬 적게 큰다는 거죠?.. 10 ?? 2014/09/25 4,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