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세월호 사건과 스토리텔링-미투라고라(펌)

탱자 조회수 : 1,367
작성일 : 2014-05-09 20:51:37

에리히 프롬은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에서 '사랑이란 것이 인간 본연의 성품에 기인하는 것은 맞지만, 그러한 능력도 끊임없이 훈련되고 개발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20대 초반에 읽은 책이라 기억이 정확한지 자신할 수 없지만 아무튼 내가 그 책에서 받아들인 메시지는 그런 것이었다.

 

나이를 먹으면서 저 사랑이란 것이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의 상황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그 사람의 심정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키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역지사지, 네가 받기 싫어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베풀지 마라는 황금률 등이 모두 이러한 원칙에서 나오는 교훈이라는 생각도 하게 됐다.

 

인문학의 존재 이유라는 것도 바로 다른 사람의 상황과 심정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시키는 것이라는 생각도 하게 됐다. 교회학교 중고등부 교사로 일하면서 10대 청소년들에게 국내외의 짧은 단편들을 읽는 연습을 시켰던 것도 이런 생각의 연...장선이었다.

 

모파상의 <목걸이>, 루이제 린저의 <빨간 고양이>,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영화)> 등을 읽고 감상하면서 독자가 등장인물들과 그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을까를 토론해봤다. 요즘 청소년들이 공감하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갈수록 심각한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는 판단을 한 것도 그런 경험을 통해서였다.

 

자연과학의 지식은 유효기간이 뚜렷하게 존재하지만 인문학의 지적 소산들은 본질적으로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 오직 시간의 경과 속에서 계속 우리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작품인지 아닌지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그 유효기간이 밝혀질 뿐이다.

 

우리나라의 문학 작품들을 보면서 가장 안타까운 것은 두고두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서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스토리가 드물다는 점이다. 그냥 시험 공부를 위해서 강제로 읽고 배우는 작품들은 많지만, 말 그대로 우리의 생활과 경험 속에서 끊임없이 재연되고 감상되고 다양한 부가 컨텐츠가 더해지는, 말 그대로 자신만의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그런 작품은 정말 드문 것 같다.

 

우리나라처럼 세계사적인 경험 자산이 많은 나라도 드물다는 점에서 이것은 정말 비극적인 얘기가 아닐 수 없다. 근대화와 식민지배, 해방과 분단, 전쟁과 독재, 개발과 민주화 등 다른 나라들이라면 몇 세기에 걸쳐서 경험했을 스토리들이 이렇게 짧은 시기에 어마어마한 경험으로 축적돼있는데, 왜 우리나라에는 이렇게 풍부한 스토리 자산을 마음껏 활용하는 위대한 작가 정신이 많이 보이지 않을까? 내가 과문한 탓에 있는 분들을 몰라보는 것인가?

 

세월호 사건의 비통함이 도무지 가시지 않는다. 지금도 페이스북과 각종 언론에 올라오는 얘기들을 보고 있노라면 미칠 것 같은 심정이 된다. 이런 경험은 처음이다. 내 마음을 어떻게 해야 할지 나도 막막하다. 문득 나도 이러다가 광란의 상태가 되는 것 아닐까 하는 두려움마저 느낀다.

 

후배와 이런 얘기를 하다가 '다른 사건과 달리 이번 사건은 그 아이들이 겪었을 그 상황이 너무 분명하게 상상이 되기 때문'이라는 진단을 들었다. 공감한다. 아마 이 사건으로 심리적인 고통을 겪는 모든 분들이 비슷한 상태이지 않을까 싶다.

 

그러면서 문득 다시 위대한 작가를 기다리는 심정이 된다. 모르기는 해도 아마 세월호 사건이 우리에게 주었던 정신적 충격과 고통도 점점 희미해질 것이다. 그럼, 우리의 정신은 다 치료되고 아무 일도 없어지는 것일까? 그게 아니라고 본다.

 

우리의 아픔이 진정으로 치료되는 것은 그것이 올바로 서술되고 표현되었을 때이다. 이것이 스토리텔링의 힘이고 본질이고 존재 이유이다. 사람들이 그냥 자기의 고통을 누군가 들어주기만 해도 힐링의 효과가 생기는 것도 이런 원리이다. 세월호 사건도 위대한 정신이 서술해야 한다. 이 사건의 본질과 콘텍스트를 담아내고 우리 모두의 상처를 치유해주는 스토리텔링이 나와야 한다.

 

그래야 치유가 가능하다. 그래야 살아남은 우리들은 말할 것도 없고, 세월호에서 돌아오지 못한 저 아이들을 정말 안식으로 보내줄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http://theacro.com/zbxe/special1/5040877
IP : 61.81.xxx.22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5248 타파웨어 "조이튜브"요... 1 관악파크 2014/09/05 1,901
    415247 왜 이러는 걸까요... 1 저는 2014/09/05 1,091
    415246 (14)세월호 특별법 지지합니다. 늘 잊지않을게요. 유가족들 부.. 1 힘내세요! 2014/09/05 524
    415245 보일러 목욕으로 틀어만 놔도 돈 나가나요? 6 궁금 2014/09/05 4,769
    415244 당신이라면 어떤선택을? 5 중3 2014/09/05 1,047
    415243 박근혜, 갑작스런 방송접촉 “세월호 국면전환 TV출연쇼” 10 방송에바빠 2014/09/05 2,299
    415242 유리창 청소 깨끗히 손쉽게하는 비결있나요? 9 ㅇㅇㅇ 2014/09/05 3,315
    415241 처음본 사람인데, 성격이나 가치관이 마음에 들어서 사귈수 있나요.. 7 가을 2014/09/05 2,294
    415240 시어머니가 저한테 욕하고 때려서 안보고 지내고 있어요 41 황당 2014/09/05 14,185
    415239 착즙기 이용 초간단 갈비찜 6 갈비조아 2014/09/05 2,044
    415238 일산에 추석날 또는 전날 가족외식 가능한 곳 있을까요? 4 ... 2014/09/05 1,315
    415237 초등학교 수련회 갈때담임샘 도시락 어케 준비하나요 1 도시락 2014/09/05 1,027
    415236 내용 펑 4 어렵다 2014/09/05 839
    415235 다 큰 남자애들 밥그릇 추천해주세요 4 밥그릇 2014/09/05 964
    415234 처가에 받을 거 다 받아놓고..... 8 2탄 2014/09/05 2,917
    415233 배달가능한 축하선물 뭐가 있을까요? 5 꽃화분 제외.. 2014/09/05 984
    415232 카드 출금시간이 추가는 몇시까지인가요? 3 비나 2014/09/05 2,886
    415231 하루 1500 Kcal로 맞추기도 전 엄청 노력이 필요하네요 3 어휴 2014/09/05 2,123
    415230 홈쇼핑 용대리 황태 어떤가요?황태 요리법 좀 알려주세요 3 그네 하야!.. 2014/09/05 1,836
    415229 약쑥훈증으로 피부가 좋아지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2 쑥... 2014/09/05 2,102
    415228 (13)세월호법 널리 알리겠습니다. 1 ... 2014/09/05 707
    415227 냉동실에 둔 피자 맛있게 데우는거요? 8 .. 2014/09/05 6,491
    415226 (12) 도움이 못되어 죄송합니다. 2 힘내세요 2014/09/05 829
    415225 남편 자랑하고 갈께요 4 울랄라 2014/09/05 1,869
    415224 깻잎전에는 뭘 넣나요? 1 ^^ 2014/09/05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