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세월호 사건과 스토리텔링-미투라고라(펌)

탱자 조회수 : 1,367
작성일 : 2014-05-09 20:51:37

에리히 프롬은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에서 '사랑이란 것이 인간 본연의 성품에 기인하는 것은 맞지만, 그러한 능력도 끊임없이 훈련되고 개발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20대 초반에 읽은 책이라 기억이 정확한지 자신할 수 없지만 아무튼 내가 그 책에서 받아들인 메시지는 그런 것이었다.

 

나이를 먹으면서 저 사랑이란 것이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의 상황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그 사람의 심정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키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역지사지, 네가 받기 싫어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베풀지 마라는 황금률 등이 모두 이러한 원칙에서 나오는 교훈이라는 생각도 하게 됐다.

 

인문학의 존재 이유라는 것도 바로 다른 사람의 상황과 심정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시키는 것이라는 생각도 하게 됐다. 교회학교 중고등부 교사로 일하면서 10대 청소년들에게 국내외의 짧은 단편들을 읽는 연습을 시켰던 것도 이런 생각의 연...장선이었다.

 

모파상의 <목걸이>, 루이제 린저의 <빨간 고양이>,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영화)> 등을 읽고 감상하면서 독자가 등장인물들과 그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을까를 토론해봤다. 요즘 청소년들이 공감하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갈수록 심각한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는 판단을 한 것도 그런 경험을 통해서였다.

 

자연과학의 지식은 유효기간이 뚜렷하게 존재하지만 인문학의 지적 소산들은 본질적으로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 오직 시간의 경과 속에서 계속 우리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작품인지 아닌지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그 유효기간이 밝혀질 뿐이다.

 

우리나라의 문학 작품들을 보면서 가장 안타까운 것은 두고두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서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스토리가 드물다는 점이다. 그냥 시험 공부를 위해서 강제로 읽고 배우는 작품들은 많지만, 말 그대로 우리의 생활과 경험 속에서 끊임없이 재연되고 감상되고 다양한 부가 컨텐츠가 더해지는, 말 그대로 자신만의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그런 작품은 정말 드문 것 같다.

 

우리나라처럼 세계사적인 경험 자산이 많은 나라도 드물다는 점에서 이것은 정말 비극적인 얘기가 아닐 수 없다. 근대화와 식민지배, 해방과 분단, 전쟁과 독재, 개발과 민주화 등 다른 나라들이라면 몇 세기에 걸쳐서 경험했을 스토리들이 이렇게 짧은 시기에 어마어마한 경험으로 축적돼있는데, 왜 우리나라에는 이렇게 풍부한 스토리 자산을 마음껏 활용하는 위대한 작가 정신이 많이 보이지 않을까? 내가 과문한 탓에 있는 분들을 몰라보는 것인가?

 

세월호 사건의 비통함이 도무지 가시지 않는다. 지금도 페이스북과 각종 언론에 올라오는 얘기들을 보고 있노라면 미칠 것 같은 심정이 된다. 이런 경험은 처음이다. 내 마음을 어떻게 해야 할지 나도 막막하다. 문득 나도 이러다가 광란의 상태가 되는 것 아닐까 하는 두려움마저 느낀다.

 

후배와 이런 얘기를 하다가 '다른 사건과 달리 이번 사건은 그 아이들이 겪었을 그 상황이 너무 분명하게 상상이 되기 때문'이라는 진단을 들었다. 공감한다. 아마 이 사건으로 심리적인 고통을 겪는 모든 분들이 비슷한 상태이지 않을까 싶다.

 

그러면서 문득 다시 위대한 작가를 기다리는 심정이 된다. 모르기는 해도 아마 세월호 사건이 우리에게 주었던 정신적 충격과 고통도 점점 희미해질 것이다. 그럼, 우리의 정신은 다 치료되고 아무 일도 없어지는 것일까? 그게 아니라고 본다.

 

우리의 아픔이 진정으로 치료되는 것은 그것이 올바로 서술되고 표현되었을 때이다. 이것이 스토리텔링의 힘이고 본질이고 존재 이유이다. 사람들이 그냥 자기의 고통을 누군가 들어주기만 해도 힐링의 효과가 생기는 것도 이런 원리이다. 세월호 사건도 위대한 정신이 서술해야 한다. 이 사건의 본질과 콘텍스트를 담아내고 우리 모두의 상처를 치유해주는 스토리텔링이 나와야 한다.

 

그래야 치유가 가능하다. 그래야 살아남은 우리들은 말할 것도 없고, 세월호에서 돌아오지 못한 저 아이들을 정말 안식으로 보내줄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http://theacro.com/zbxe/special1/5040877
IP : 61.81.xxx.22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7083 비폭력대화 기린, 자칼 인형 어디서 구입할 수있나요? 2 도움 2014/09/13 1,939
    417082 세상에... 내 눈을 의심했네요. 7 궁민이바본줄.. 2014/09/13 4,759
    417081 망고 인조가죽 가방들 질은 어떤가요? 2 .. 2014/09/13 1,441
    417080 우리나라 가정 기반이 남성 중심이라고 해서.. 14 가정 2014/09/13 2,042
    417079 흰 싱크대 한번씩 닦아야 하나요?? 6 .. 2014/09/13 2,251
    417078 여자가 12살 연상인거랑 남자가 20살 연상인거랑 8 2014/09/13 3,597
    417077 레고는 어떻게 세척 하시나요? 3 레고 세척 2014/09/13 1,978
    417076 청소년기(?)에 놀아보신 분들 2 날라리 2014/09/13 1,106
    417075 김치볶음을 설탕 안넣고도 맛있게 만드는 법이 있을까요? 35 질문드립니다.. 2014/09/13 8,560
    417074 싱크대 기름때 닦는 가장 좋은 방법이 뭘까요? 13 청소 2014/09/13 9,019
    417073 남자나 여자나 다 힘든 거 같아요 5 ㅅㅅㅅ 2014/09/13 1,734
    417072 생머리이신분들께 10 궁금해 2014/09/13 4,082
    417071 혹시 코스트코에 삭힌 홍어 파나요? 2 홍어 2014/09/13 2,597
    417070 구더기 가득한 물고기들이...금강에 무슨일이? 4 샬랄라 2014/09/13 1,665
    417069 농어촌 특례입학 12 입시관련 2014/09/13 4,243
    417068 세월호 뉴욕 타임즈 광고 모금 2 브낰 2014/09/13 831
    417067 집을 팔려고 하는데요, 세입자 전세대출 있는 상태면 어떻게 되나.. 1 전세 2014/09/13 1,381
    417066 주차하다 차긁었는데요 주인이 8 2014/09/13 4,320
    417065 상대방이 나를 좋아해준단 이유만으로 만난적 있으세요? 15 오잉오잉 2014/09/13 2,926
    417064 여의도에 점심코스 요리 잘나오는 중식당 있나요? 1 중식 2014/09/13 1,418
    417063 경주 맛집 중에 일식집은 혹시 없을까요? 3 세째딸 2014/09/13 2,525
    417062 드럼세탁기 건조가 전기많이 먹나요? 4 날개 2014/09/13 1,854
    417061 꿀선물을 받았는데 하얀 게 생겼어요 2 꿀이 이상해.. 2014/09/13 1,778
    417060 안성주물?무쇠나라?운틴..어디것이 좋은가요?? 5 무쇠솥 2014/09/13 4,298
    417059 아이폰 멧세지 복구 1 도와주세요 2014/09/13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