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우리는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인가, 이 나라에 희망은 있는가

ㅇㅇ 조회수 : 704
작성일 : 2014-04-30 20:52:53
원글주소 : http://pgr21.com/pb/pb.php?id=freedom&no=51443

0

jtbc 이야기로 시작해볼까 합니다. 
jtbc 개국 이후 뉴스 채널은 그야말로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스튜디오에 새끼곰을 데려오고, 어설픈 CG질을 하다가, 레몬을 직접 먹고, 토끼한테 마이크를 들이대는 우스운 짓거리들을 하고 있었죠. 조중동의 종편 셋 모두 제정신이 아닌 방송들을 하고 있었고, 
jtbc는 상황타개를 위해 손석희를 영입했습니다. jtbc 보도부문 총괄사장 자리를 내줬을 뿐만 아니라 
메인 뉴스를 완전히 손석희 손에 맡겨놓은 모습입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뭐.... 보시는 바와 같습니다. 한코너당 일정시간을 배분해 짧게 끊어가던 기존 뉴스의 틀을 깨고, 중요한 내용일 경우엔 한 인터뷰이를 잡고 10분이라도 그 대담을 이어가는 방식의 '뉴스룸'을 만들어 놨죠. 
쓸데없는 단풍 영상, 김정은 눈썹 현황 소개 같은 것 대신, 그 시점에서 정말 사회가 알아야 할 것들을 심층적으로 보도하는 뉴스란 새로운 것이었습니다. 
전파는 그런 식으로도 활용가능한 매체였습니다.

이 결과는 올바른 리더가 자리를 차지했을 때 조직이 어떤 식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를 드러내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세월호 보도 관련해서는 SBS나 MBC 같은 지상파보다도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고, 
인터넷으로 뉴스를 챙겨보는 사람들의 수까지 감안한다면 그 차이는 더 커지겠죠.

그러나 이 모델을 우리가 다른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 라는 관점으로 보면 그다지 훌륭한 케이스는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기업과 사회가 가지는 아주 근본적인 구조의 차이가 있는 탓입니다. 
기업은 흔히 말하는 '낙하산' 방식의 인사가 가능하고, 효율성과 기타 유사 가치들을 최고의 가치로 한 리더 선정이 가능합니다. 
손석희 사장의 취임은 jtbc 경영진의 결정에 의한 것이었지, jtbc 구성원들의 투표에 의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는 사회의 정치는 그런 식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1

사실 문제는 여기저기 어디에나 산적해 있습니다. 
지난번 대선 토론 주제들을 가지고 한번 생각해 볼까요. 
1차 토론에서는 정치, 외교, 안보, 통일에 대해 논했고, 
2차 토론에서는 경제, 복지, 노동, 환경이 언급되었으며, 
3차에서는 사회안전, 과학기술, 교육제도가 그 내용이었습니다.

하나하나 곰씹어보면 비정규직 문제를 필두로 한 양극화와 서민 경제 문제, 줄어들지 않는 사교육과 갈수록 심화되는 경쟁, 
기본적인 '괜찮은 일자리 부족', 이번 세월호 사건 등에서 보이는 안전망 문제, 
이공계 연구 인력에 대한 푸대접과 그로인한 인재 유출 같은 것들이 끝도 없이 나올 겁니다. 
그리고 가장 심각한 문제는 사실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고리가 되어 빙빙 돌고 있다는 거죠. 
예컨대 사교육이 맹위를 떨치는 것은 사교육의 영향 없이 학생들을 제대로 평가할 방법의 부재, 취업난 속에서 학교빨이 가장 기본적으로 선점되어야 하는 스펙이라는 점, 
대학을 나오지 않았을 때 어느 정도 이상의 생활을 영위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탓일 겁니다. 
이건 다시 고차원적인 평가 시스템을 유지할 사회적 신뢰(예를 들면 입학사정관제)나 인력이 갖춰져 있지 않다는 점, 
기본적으로 사회가 제공 가능한 '괜찮은 일자리'가 보충되는 인력의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 블루 칼라로 살아가는 것이 다양한 측면에서 쉽지 않다는 점 등이 줄줄히 딸려올 겁니다. 
이런 식으로 가지를 치다보면 정말 끝이 없고, 교육 문제는 일자리 문제로 연결되며 일자리 문제는 다시 경제과 복지 문제를 빙빙 돌아 교육 문제로 돌아오는 고리를 이루는 걸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몇년 동안 다양한 건덕지들로 키배질을 해오면서 느낀 건 많지 않습니다. 
이 매듭을 어디서부터 풀어야 할지 도저히 알 수 없다는 것. 그리고 그 길이 엄청나게 요원하다는 것 정도겠지요.

2

기본적으로 흔히 말하는 '진보 성향'을 가진 분들이 최소한 비민주 반새누리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이유는 
저와 크게 다르지 않을 거라 봅니다. 민정-민자-한나라-새누리로 이어지는 스탠스의 인물들이 위에 언급된 방식의 고리를 끊을 생각이 없다고 보는 탓이죠. 
오히려 저러한 순환 구조를 강화하는 것이 그네들의 집권을 위해서는 더 유리한 풍토일 거라는 생각도 자주 듭니다. 
당장의 삶이 고달플수록 멀리 보지 않게 되고, 사회 참여나 투표 따위는 다른 동네 이야기가 되는 법이죠. 
애초에 사회가 배출한 고학력 고위집단들이 정계에 입문한다고 했을 때 새누리당은 다른 정당들보다 
압도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가지게 해주는 정당이고, 흔히 말하는 '엘리트주의'를 숨기려 들지 않는 것도 그네들입니다. 
위에서 아래로 의사전달이 이루어지는 하향식 사회 구조를 추구하는 것이 당연할 수준이죠.

야권은 그 반대 위치를 점하려고 하지만 늘 쉽지 않았습니다. 
상향식 민주주의는 가장 이상적일지 모르지만, 현실적으로 구현하기란 정말 쉽지 않다는 걸 우리 모두 압니다. 
국민 대다수가 국정 현안에 대해 어느 정도 주관을 가지고 있고, 스스로 정보를 찾고 가공하여 자신의 가치관에 맞춰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건 어느 사회에서나 요원한 일일 겁니다. 
선거는 심지어 4~5년 정도에 이르는 이전 임기 기간의 행적도 제대로 반영해 주지 못 합니다. 
선거일 한 두 달 전의 작은 이슈가 3년 전의 거대한 이슈보다도 훨씬 강력한 힘을 가지죠. 
이명박의 지지율이 한창 바닥을 칠 때 대선을 치렀다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을까요. 
아니면 질문을 바꾸어서 소고기 수입 때의 정부가 보여준 행동들이 대선 때 제대로 반영이 되었을까요.

어쩌면 야권 성향의 국민들은 룰라 같은 대통령을 바래야 하는지도 모릅니다. 
대대적인 혁신안을 밀어부치고 빈곤층의 처우를 개선하면서, 
동시에 그들을 새로운 미래의 지지층으로 일궈내고 상대당 후보까지도 그와의 연관성을 들먹이며 캠페인을 진행해야 하는 
수준의 대통령요. 우리는 그런 기적을 노무현에게서 바랬는지도 모릅니다. 
더불어 지난 대선의 문재인에게도 같은 기대를 했을지도 모르죠.

문재인은 제대로 까보지도 못한 손패가 되어버렸습니다만, 노무현은 룰라에 비한다면 처절하게 실패했다고 평하는 게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름으로 분전했다고 하나 제대로 부숴낸 고리는 사실 상 없다고 보는 게 맞지 않나 합니다. 
정태인을 필두로 해서 초기에 들이밀었던 개혁안들은, FTA 관련 현안에서 재경부 관료들과 충돌하고 정태인이 밀려나는 것을 기점으로 해서 급격히 선회됩니다. 
노무현 정부 후기의 경제 정책들의 상당 부분은 삼성경제연구소가 만들어냈다고 진단하는 전문가들도 꽤 있더군요. 
이후 이명박이나 박근혜가 밀어부치고 있는 방식의 순환고리를 약간 감속시켰을 지언정 
한국 사회 전반의 체질을 개선하는 건 이상에 그쳤습니다.

사실 가장 큰 문제는 이러한 '대통령 한 사람에게 기대해야 하는' 정치 환경이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에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한 사람의 리더가 앞장서서 조직 문화를 바꿔나가는 식으로 운영되는 건 바티칸과 교황의 관계에서 흔히 볼 수 있을 것인데, 바티칸의 극도로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조직 운영 방식은 종교 집단이라는 특수성 하에 유지될 수 있는 특이한 형태일 겁니다. 철저한 상명하복 조직 내에서 대의원 투표를 통해 선출된 우두머리가 공의회 등을 통해 그 방침을 새로이 할 수 있는 건 일반 국가에서 선택하기는 어려운 시스템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 밖에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 와있습니다. 그리고 사실은 그러한 리더를 앞에 내세우는 것조차 쉽지 않습니다. 
기울어진 운동장.


3

이러한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건 결국 사회 구성원 일반의 의식 재고 밖에 없을 거라 봅니다. 그리고 그 의식의 재고는 교육과 언론, 이 양대 축이 제대로 작동할 때 가능합니다. 
제가 최근 계속 이야기 하는 것 중 하나가 '학교에서 영어 교육보다 차라리 민법이나 노동법을 가르치는 게 현실적인 도움이 된다' 
라는 겁니다. 여기에 하나 더한다면 헌법이 포함될 수 있겠죠. 
어제 질게에 올라왔던 게시물 중에 http://pgr21.com/pb/pb.php?id=qna&no=31896&page=4 이런.. 식이 있었는데, 
돌이켜 보면 우리는 지금 있는 근로노동법에 명시된 자신들의 몫조차 제대로 챙겨먹기 힘듭니다. 
주휴수당 같은 건 물론이고, '연가' '야근수당' '잔업수당' '휴일수당' 같은 아주 기본적인 것조차 현실에서는 너무나 쉽게 무시됩니다. 전태일이 노동법을 안고 분신했을 때와 비교해서 우리는 과연 얼마나 더 나아갔을까요. 
알바몬을 잠시만 뒤져봐도 최저시급을 완전히 무시하는 구인광고는 수도 없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게 과연 정상적인 사회일까요.

이명박 시절부터 교육은 정권이 가장 손대고 싶어하는 영역 중 하나였고, 
박근혜 정부 하에서 그러한 기조는 더 강해지면 강해졌지 약해지진 않을 겁니다. 
박근혜 정부의 지지자들이 가진 성향으로볼 때 지금의 교과서는 좌익사상에 물들어 있는 불순한 것일 가능성이 높지요. 
그리하여 교육이 커버해주지 못한다면 그 빈공간은 언론이 대신 채워줘야 합니다. 그렇게 이야기는 다시 jtbc로 돌아오게 되지요.

jtbc에서 하는 보도들은 정말 상식선의 것들입니다. 
언론이라면 의당 해야 하는 것들이라고 보통 생각하는 것들을 손석희 사장은 구성원들에게 요구하고 있죠. 
아이템의 선정 과정에서 그 아이템이 정말 보도될 가치가 있는 것인가에 대한 고민, 취재한 내용이 사실인지에 대한 교차검증, 
전파낭비에 지나지 않는 것들에 대한 과감한 절단. 이런 것들이 희소해진 사회에 우린 살고 있습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28432.html 이.. 서평에 언급된 몇줄의 문장은 실상 거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미국인이 가장 밝은 분야는 연예인, 사람 얘기, 스포츠 등을 다루는 ‘연성’ 국내 뉴스였다. 종합하면 “핀란드와 덴마크인은 경성뉴스, 연성뉴스 양쪽에서 풍부한 상식이 있었고, 
미국인은 유럽인들보다 주변의 세상사에 대해 전반적으로 적게 알고 있었다.” 또한 미국은 소득·학력을 기준으로 한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지식 격차가 가장 큰 나라였다. 커런 교수는 [“핀란드, 덴마크 두 나라의 주요 방송은 저녁 황금시간대에 공적 지식을 링거주사 놓듯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반면 시장주도적인 미국 텔레비전은 오락을 압도적으로 편성했다”]며 
“미국의 시스템은 진지한 저널리즘에 갈수록 덜 노출되고 공적 지식의 수준도 낮아지는 
허약한 공적 생활을 조장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jtbc의 시청율이 mbc와 sbs를 뛰어넘었다고 하나 kbs와는 여전히 4배가 차이납니다. 
인터넷 언론과 SNS가 맹위를 떨치고 있다고 말해봐야, 
어젠다 세팅 능력에 있어서 거대 신문사들과는 당연히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우리 내부의 루머들을 스스로 검증하면서 다시 재생산해내고 그걸 퍼뜨리는 고단하고 품이 많이 드는 작업들을 해내야 하지만, 
같은 시간 동안 반대편에서는 몇 안되는 결제 과정을 통해 일사불란한 움직임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강점은 사실 별로 없을지도 모르죠. 언론 지형 역시 개미들이 흔히 엿 먹는 주식 시장과 다르지 않을지 모릅니다.


4

며칠 전 자게에 그런 글이 올라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발전해왔고 이건 대단한 거다. 나는 이러한 한국에 자부심을 가진다. 나는 나의 재능을 이 나라와 공동체를 위해 쓰겠다.'

뭐 좋은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필립 짐바르도가 말해왔듯 시스템은 언제나 개인보다 셉니다. 
웹툰 송곳에서 말한 '서는 곳이 달라지면 보이는 것도 달라지는 거야' 라는 문장에 모두가 두려워하는 것은, 
그러한 것들이 실제로 일어나는 꼴을 너무나 많이 보아왔던 탓입니다. 
공감대가 만들어지는 건 우리에게 공통된 경험이 있기 때문이죠. 과연 이 사회는 그러한 부패를 끊어낼 힘을 가지고 있습니까.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제대로 받았던 김용철마저도 변호사로서 제대로 된 삶을 영위할 수 없는 나라에서 
그러한 자정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나요.

더 나아가서 [사회 각종 분야들이 서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이 악순환의 고리를 중간에서 절단할 힘이 우리에겐 있습니까.]

흔히들 우리가 일본의 10년 혹은 20년 정도 뒤를 따라간다고 말합니다. 
도쿄 전력의 원전 사고 대응과 청해진 해운의 세월호 사고 대응,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의 사고 대응 방식, 
그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을 얼마나 서로 다를까요. 앞으로의 정치지형은 얼마나 다를 수 있을까요. 
어찌보면 이 질문들이 제가 기자의 꿈을 접게 한 것들의 총집산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글줄의 값어치는 날이 갈수록 폭락하고, 어디서 무엇을 해야 바꿔나갈 수 있을지 감도 잡히지 않더군요.

짧은 글에 너무 많은 분야를 다루려고 하니, 어설픈 글솜씨가 어찌할 바를 모르는 것이 스스로도 느껴지네요. 힘들여 읽은 분들께 송구스러울 뿐입니다.

건승을 빕니다. 
이것이 제가 이 나라에 별로 희망을 가지지 못하는 이유들입니다.
IP : 87.167.xxx.1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6697 지금 이나라에는 이 사건의 심각성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 3 dd 2014/05/01 920
    376696 미디어 오늘 - 이종인님 반박 6 정론언론 2014/05/01 1,907
    376695 금일 새벽 다이빙벨 수색 방해 영상 13 꼭 보세요 2014/05/01 2,524
    376694 네이버탈퇴운동 4 합시다. 2014/05/01 1,142
    376693 밑에 팀킬 이라는 글 클릭하지 마세요. 3 에프킬라 2014/05/01 690
    376692 (알바글)아래 중앙일보 JTBC 글 패스 4 나무 2014/05/01 546
    376691 이종인님 수고하셨어요 18 ᆞᆞᆞ 2014/05/01 1,610
    376690 탑승자 명단 정말 중요한거 아닌가요. 6 .. 2014/05/01 1,147
    376689 맞섭시다. 6 네이버 탈퇴.. 2014/05/01 822
    376688 언제까지 방구석에 앉아서 자판 두들기고 정부 비판만 하고계실겁니.. 5 dd 2014/05/01 1,044
    376687 이종인씨 발언에 대한 분석 9 ... 2014/05/01 1,897
    376686 네이버가 쓰레기인 증거 2 눈물 2014/05/01 1,546
    376685 혹시 아이들 시신에 스마트폰발견되면 부모께 드리나요 2 ㅠ.ㅠ 2014/05/01 1,409
    376684 한넘만 잡죠....언딘 10 진홍주 2014/05/01 1,346
    376683 해경, 서울시 구조요원 진입도 막았다. 10 이기대 2014/05/01 1,483
    376682 오늘의 단어-꼬끼오패쓰 5 잠깐만 2014/05/01 736
    376681 천안함 희생자 부모들 자원봉사로 갔다는 거 25 ... 2014/05/01 4,578
    376680 바보들 20 2014/05/01 2,227
    376679 아래 손석희님 글 무시하세요. 베스트 가고싶나봐요. 1 .... 2014/05/01 604
    376678 다이빙벨은 성공했습니다!! 17 oops 2014/05/01 2,221
    376677 이종인씨 믿은건 지푸라기잡는심정 1 ㄴㄴ 2014/05/01 910
    376676 네이버 탈퇴했는데 시원하네요. 1 저도 2014/05/01 674
    376675 글 제목이나 글쓴이 옆에 아이피 나오면 알바박멸 2014/05/01 838
    376674 아래 손선희 대국민 사과글 패스하셔요(제대로 알바하네요) 3 미친,,, 2014/05/01 627
    376673 우리는 서로 등돌리지 말아야 합니다. 16 단결의힘 2014/05/01 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