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박노자씨 글이라네요

조회수 : 1,881
작성일 : 2014-04-27 12:27:36

이번 "세월"호 일로 느낀 것은, "말"의 어떤 본질적 한계입니다.

참사 소식을 접한 뒤에 한참 동안 아무 글도 쓸 수 없었습니다.

찬 물 속에서 마지막 순간들을 보내게 된 아이들의 고통을 생각하거나,

삶의 의미를 잃은 그 부모들의 심정을 생각하면...

그저 아무말도 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이런 순간에 "말"은 과연 의미가 있을까요?

 유족 분들을 부둥켜안고 같이 울고 싶은 심정입니다.

물론 전국이 다같이 그들과 함께 울어도 그들이 느낄 평생의 슬픔을

 전혀 덜어드릴 수 없겠지만 말입니다...

정말 이럴 때야말로 "말"로 먹고 사는 저 자신의 한계부터 자각하게 됩니다.
 
그래도, 그래도, 이와 같은 상상을 초월하는 일이 더 번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말", 즉 논리적 사고로 돌아가야 하겠습니다.

사실 이번 일은 거의 "전형"에 가깝습니다.

한국형 자본주의 토양에서 부득이하게 일어나게 돼 있는 "사회적 대량 타살"의 전형이란 말입니다.

한국형 자본주의는 여태까지도 계속해서 사람들을 죽여왔습니다.

주로 가난한 사람들 말입니다.

우리와 많은 면에서 쌍둥이라고 할 일본을 제외한 다른 산업화된 국가에서 듣지도 보지도 못한

"고독사" (주로 가난한 노인 분들의 아사)도 그렇고

세계 최고 (?)에 가까운 자살율도 그렇고 OECD국가 중 최악의 산재사 통계도 그렇습니다.

이 나라에서는 일년에 약 2천 명의 노동자들은 목숨을 잃습니다.

 안전장비 등에다가 약간이라도 투자했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사고사들은 대부분인데

 이들의 죽음에 대해서는 "주류사회"는 무관심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참사나, 여태까지의 직장에서의 죽음의 행렬이나, 그 구조적 원인은 똑같습니다.

인명이고 뭐고 하등의 관심을 보여주지 않고 사람을 죽이면서까지

무한대로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이 나라의 실질적인 주인이라는 건 주된 이유입니다.

그들을 견제할, 즉 기업에 중립적이라도 할 수 있는 "공공성이 있는 국가"는 대한민국에 없습니다.

대한민국은, 정확히 이야기하면 청해진 해운과 같은 살인기업의 "해결사" 격이 됩니다.

 

그 불법에 눈감아주고 그 "번영"을 보장해주는 "해결사" 말입니다.

기업의 행동대는 언제 그 기업의 희생자들에 대한 관심이라도 있었습니까?

그런 의미에서 늑장대응과 부실하기 짝이없는 구조노력은 아주 "논리적"이기만 합니다.

 "국가"를 사칭하는 악덕기업의 구사대가 그 기업의 피해자들까지 왜 도와야 하는가요? 
 
기업하기 좋은 나라 대한민국은, 가난뱅이에게는 독일사회학자 울리히 배크가 이야기하는 "위험사회" (Risikogesellschaft) 그 자체입니다.

돈이 없을수록, "위치"가 낮을 수록 당신 생명의 가치는 제로에 가까워집니다.

안산 노동자, 서민 자녀들은 언제 사고가 날지 모를 고물배를 타고

학교여행을 다녀야 하지만, 강남에 위치한 학교라면? 제주도에 가도 비행기를 타겠죠?

 

 상당부분은 아예 제주도가 아닌 괌이나 하와이로 기겠지만 말입니다.

사고뭉치인 국적기를 타지 않고 조금 더 편안하고 안전한 해외항공을 타고서 말입니다.

"세월"호로부터 탈출한 선원들을 보면 거의 선장을 위시한 간부들인데

하급선원들은 대개 승객들과 함께 그 운명을 같이 했습니다.

<천안함> 침몰 때도 장교들은 구출되고 거의 병사들만이 죽지 않았습니까?

이건 대한민국에서는 우연이 아닌 필연입니다.

 

지구상의 그 어느 산업화된 사회보다도 자본주의의 야만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한국에서는 돈이 없고 위치가 낮은 사람은 돈벌이의 "수단"에 불과합니다.

계속해서 과적 운항하고, "비용절감"하기 위해

화물 결박도 제대로 안하는 고물배를 타야 하는 서민들도

기업으로서는 돈벌이의 "재료"에 불과하고, 계약직인 선장이나 선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선장이 보인 행동을 합리화하려는 건 아닙니다.

한데 그가 아무리 살신성인했다 하더라도

과연 살인자본과 살인 정권이 합작해서 만들어낸 "대세"를 어디까지 바꿀 수 있었을까요?

 

가장 치명적인 것은 그나마 생명을 구할 확률이 있었던 첫날에

수중구조작업을 3번밖에, 16명만이 했던 것인데,

과연 강남에 있는 학교의 아이들을 태운 배이었다면 이 정도 직무태만했을까 싶습니다.

선장은 아무리 영웅적으로 행동해도, 구조하기 위해 필수적인 자원들을 독점하는 정부가

 가난한 사람을 인간취급하지 않는 곳에서는 그 한계가 뻔하기만 합니다.
 
아이들을 죽인 건 한국형 자본주의의 시스템입니다.

 안전운항에 대한 감독권을 바로 이해당사자인

해운기업들의 이익조합인 해운조합/한국선급이 가지고 있고,

퇴직 이후에 바로 그런 이익단체로 아마쿠다리 (天下り)식으로 내려앉을

해양수산부 직원들이 관리대상인 기업에게 "봉사"해주고 있고,

 

해양경찰청이 안전검사하는 척만하고, 기업의 가장 큰 해결사인 정부는

수입 선박의 수명 제한을 20년에서 30년으로 풀어주고,

아무리 적정량 이상 2-3배의 화물을 계속 실어 과적운항해도

그 누구도 막을 기관도 없고...

행성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돌듯이,

한국적 시스템에서는 정부의 모든 기관들은 오로지 기업의 사적 이윤추구를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서민들의 목숨을 대가로 하는 그 이윤에 그들도 한 몫을 할 수 있으니까요.

이런 시스템은 그 자체로서는 살인적입니다.

 구조적으로 살인적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어느 자본주의 시스템이나 다 그렇지만,

한국만큼 그 살인성을 노골적으로 보여주는 자본의 시스템은...정말 찾기가 힘듭니다.
 
이 시스템의 관리자들은 저들의 돈벌이 수단인 대한민국 인구의 대부분에 대한

저들의 소감을 아예 감추려 하지도 않습니다.

"국민 정서 미개" 따위의 망언들은 우연이라기보다는 저들의 착취 대상자들에 대한

저들의 기본관념이라고 보시면 정확합니다.

황제라면, 기념촬영, "불행한 일만이 아니었다"는 따위의 망언...

결국 저는 한 가지 질문만 하고 싶습니다.

 

저들이 이 시스템을 어떤 목적으로 운영하고 어떻게 운영하는지,

그리고 저들이 우리에 대해서 가지는 생각이 어떤 건지 뻔히 다 알면서도

왜 계속 참고 있나요? 왜 한 번 크게 들고 일어날 수라도 없을까요?

왜 1987년 여름과 가을 같은 파업대투쟁과 백만 명 단위의 도심집회를 통해서

저들에게 타격을 가하고, 저 시스템의 부분적 수정이라도 쟁취해볼 수 없을까요?

 우리가 가만히 있으면 있을 수록  죽어가는 사람의 수만 커져갈 것입니다.

 결국 우리 무기력도 사회적 타살의 하나의 원인이 됩니다. 


IP : 211.212.xxx.11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4.27 12:33 PM (59.15.xxx.61)

    며칠 전에 올라 온 글인데 저는 저장해 놓았어요.
    언제라도 다시 보게...
    정말 동감합니다.

  • 2. ㅇㅇ
    '14.4.27 12:34 PM (121.169.xxx.139)

    결국 우리 무기력도 사회적 타살의 하나의 원인이 됩니다.

    마지막 말씀에 너무도 부끄럽네요

  • 3. ㅇㅇ
    '14.4.27 1:16 PM (173.89.xxx.87)

    많은 어른들이 부끄럽고 미안한 것은 막연하게 나마 박노자씨가 말한 마지막 말씀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겠죠.

  • 4. 냉커피
    '14.4.27 1:26 PM (175.223.xxx.216)

    구구절절 옳은 말씀. 한국사람보다 더 한국사람인 받겨수님.

  • 5. $$
    '14.4.27 1:41 PM (98.217.xxx.116)

    "왜 1987년 여름과 가을 같은 파업대투쟁과 백만 명 단위의 도심집회를 통해서
    저들에게 타격을 가하고, 저 시스템의 부분적 수정이라도 쟁취해볼 수 없을까요?
    "

    그러고 싶은 마음이 있는 사람도, 그게 위험하다는 것을 여러 번 체험을 했기 때문에 그 방법을 안 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1503 노기태 부산 강서구청장의 ‘빗나간 당선 파티’ 4 기태추태 2014/06/24 1,738
391502 식신로드 책을 사려 그러는데요.. 3 ... 2014/06/24 1,467
391501 오늘 하루만 여기다 일기 쓸께요. 58 사방이 꽉꽉.. 2014/06/24 11,674
391500 msg 먹으면 졸린 경우도 있나요? 23 b 2014/06/24 5,884
391499 관심사병 의가사제대자 경험담 이기대 2014/06/24 2,125
391498 제주도여행 2박 3일 숙소를 어디다 정해야 할지 4 모르겠어요... 2014/06/24 2,973
391497 베이글 레시피 질문입니다~ 3 ... 2014/06/24 1,305
391496 번개 치고.. 티비 잘 나오세요..? -.- ... 2014/06/24 1,323
391495 50대 초중반 부부 17 그냥 2014/06/24 12,455
391494 뻥축구 보니 느닷없이 2002년의 노무현이 그리워지네요 6 화무십일홍 2014/06/24 2,433
391493 급질문공인인증서 타기관등록에관해 3 2014/06/24 1,593
391492 듀팡이라는 이름 4 듀팡 2014/06/24 1,570
391491 긴급호외발사2 - 선관위 답변 &amp; 제보자 부산 개.. 1 lowsim.. 2014/06/23 1,395
391490 나경원 이 여자가 서울대 교수로초빙됐대요! 9 국민ㅆㄴ 2014/06/23 4,331
391489 집 사고 싶은데..봐주세요..ㅜ.ㅜ 12 우리스타 2014/06/23 4,434
391488 ㅠㅠ 1 very_k.. 2014/06/23 985
391487 막국수 맛집 추천해주셔요. 17 .. 2014/06/23 3,709
391486 개봉이 지난 영화를 보고 싶을 때 3 영화처럼 2014/06/23 1,375
391485 문창극 쇼에 홀린사이 4 duddnj.. 2014/06/23 2,630
391484 월드컵 글 좀 아닌거 같아요 9 ㅠㅠ 2014/06/23 2,473
391483 가난에 대한 트라우마 5 봄입니다 2014/06/23 4,295
391482 인터넷으로 검색된곳 전화번호를 누르면? 아이답답 2014/06/23 1,134
391481 속옷 빨래 어떻게들 하세요? 8 ㅎㄱ 2014/06/23 5,544
391480 69일째.. 얼른 나오시라고 12분들외 이름을 불러주세요.. 9 bluebe.. 2014/06/23 1,146
391479 빅사이즈 50-60대 브랜드 추천부탁드립니다. 브랜드 2014/06/23 1,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