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캐나다 집 좀 골라주세요..

캐나다 조회수 : 1,854
작성일 : 2014-04-13 16:47:52

캐나다 몬트리올에 일년간 가족이 살게 되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집을 구해야 하고 첫째 학교도 알아봐야 하는데요..

 

지금 두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가격은 주택이 조금 더 들거나 비슷합니다.

(1) NDG 지역 지하1층+지상2층 주택

- 제가 가는 시기에 일년간 집을 비우실 분이 생겼는데요.. 저희처럼 애들이 어리고..

그래서 반지하에 애들 놀이시설을 다 해놓았고, 정원도 있구요.. 완전 furnished이고.. 가구랑 다 써도 된다고 하네요.. 차도 몇백만원에 저렴하게 해주겠다고 하구요. 그래서 셋업하느라 고생할 필요도, 나중에 다시 되파느라 고생할 필요도 없구요.. 애들 장난감도 다 있고 카시트까지 있어서 거의 아무것도 살 필요가 없어요..

- 문제는 여기가 웨스트마운트라는 시내에서 좀 떨어져 있고 그래서 영어 학교와 거리가 되구요.. 개인집이라 정원 관리, 그리고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데 눈치우는 것도 신경쓰이고.. 저희가 지금 아파트에 살다보니.. 개인집 관리가 가능할지 .. 청소는 어찌해야할지도 걱정되네요.. 무엇보다.. 남편이 다녀야 하는 직장에 버스로 50분 거리인지라(차는 주차가 안되어서 못가져 간다네요).. 그것도 걱정이고.. 전기로 집을 데워서 겨울에 영하 40도까지 내려가는 몬트리올 개인집을 따뜻하게 데우려면 도대체 난방비가 얼마나 들지도 걱정됩니다. 여기처럼 살려면 60만원은 들거라고 하는데.. 에효..

 

(2) 웨스트마운트 지역 아파트

- 여기 아파트들은 100년된 아파트들부터 한 10년된 아파트들까지 있는데 가격은 주택과 비슷합니다. 단 침대부터 TV, 그릇 등등 모든 걸 처음부터 다 사야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셋업하려면 너무 고생할 것 같습니다.

- 그래도 바로 옆에 모든 편의시설 학교가 걸어갈 수 있는 거리이고 남편 직장까지 버스로 15분정도 걸어서 한 40분 정도 걸리는 것 같습니다.

 

어디가 나을지요..

 

IP : 61.98.xxx.8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4.13 4:51 PM (118.208.xxx.247)

    저라면 주택,,
    캐나다에서 10년도 아니고 1년사는데 그정도 고생은 감수할수있지않을까요? 캐나다까지 가서 시티아파트보다는 하우스에서 전원생활을 해보는게 아이들에게도 더 좋을듯하구요,

  • 2. 조은살암
    '14.4.13 4:53 PM (175.223.xxx.27)

    2번요~~1번은 적응할만하면 돌아오실것같아요. 1년살다 올껀데 저라면 편하게 누리고 즐기고 오겠어요. 세간살이는 최소한으로 구비하시고 밖에서 많이 즐기는걸로~

  • 3. qs
    '14.4.13 5:13 PM (49.50.xxx.179)

    1번이요 물건사고 다시 팔고 ,보통일 아니네요

  • 4.
    '14.4.13 6:13 PM (222.236.xxx.211)

    둘다 장단점이 있네요.
    버스로 50분이야..서울시내에서도 출근할때 그정도 걸리는건 뭐..
    제생각엔 이때 아님 캐나다 전원생활을 언제 해보겠어요~~~
    아이들도 좋은경험이 될듯하고요
    1년 금방가요.
    눈치우는것도 추억이 될꺼예요

  • 5. 몽레알
    '14.4.14 5:14 AM (65.93.xxx.39)

    저 같으면 아파트에 살 것 같아요. 가구 최소한만 아이키아에서 사서 조립하고, 살림도 최소한으로 구비해놓고 사는 게 나을 것 같아요. 겨울이 6개월쯤 되는데 기온 -20도 넘어가고, 눈이 산처럼 쌓여요. 눈 안 치워서 집 앞에서 사람 넘어지면 물어줘야 해요. 하지만 가구 되파시는 거 귀찮으실테니.. NDG 같은 경우는 집 앞 바로 정류장이 있으면 괜찮을 거 같기도 해요. www.hanca.com 여기가 몬트리올 한인 커뮤니티인데.. 여기 가서 물어보세요 ㅠ 한국 사는 82님들이 아실리가 없어요. 참고로 서울 시내에서 50분 출근하는 거랑 -30도 아래인 여기서 눈 헤치며 버스 출근하는 거랑 많이 달라요.. 정말 최소한으로 1년 사실거면 매트리스 놓고, 그릇 몇 개 사고, 아이들 용품 몇 개 사서 지내면 처분하기도 간단하실 것 같은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1075 (세월호 참사100일 - 93) 한방울의 눈물이 모이고 모여 강.. 2 무무 2014/07/24 760
401074 (세월호 100일-92) 명복을 빕니다. 1 82쿡인 2014/07/24 724
401073 유채영씨 결국 사망했네요 8 Drim 2014/07/24 4,139
401072 '위암 투병' 유채영, 24일 끝내 사망 "유언 없었다.. 22 세우실 2014/07/24 12,309
401071 (세월호 100일-91) 닥치고 닥잡고 특별법부터 제정하라 3 이제 우리는.. 2014/07/24 810
401070 (급질) 아침에 일어나려는데 사방이 빙빙 돌아 쓰러졌어요. 4 저혈압? 2014/07/24 2,043
401069 세월호-100일 ..아버지의 눈물.. 2 산우 2014/07/24 1,188
401068 박유하 정말 너무하네요. 8 참맛 2014/07/24 2,710
401067 밖에서 쓸 개집 추천 부탁드려요ㅠ 5 잊지않겠습니.. 2014/07/24 2,025
401066 [그여 100일이] 오늘만큼은 게시판 벌레들이 잠들게 하소서.... 8 청명하늘 2014/07/24 1,188
401065 초5 방학중 에세이 특강 5 정 인 2014/07/24 1,403
401064 (세월호 100일 90) 오늘 저녁 시청에도 가고 6 잊지않을께 2014/07/24 855
401063 (세월호 100일 - 89) 그날 이후, 생각이 변했습니다. 4 그루터기 2014/07/24 836
401062 선물 1 작은 2014/07/24 711
401061 (세월호 100일-87) 세월호재판 증인으로 나온 김동수씨 3 책임지는 사.. 2014/07/24 1,027
401060 세월호100일-86) 좋은 기억만.. 3 라벤더산들향.. 2014/07/24 850
401059 2014년 7월 24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4/07/24 1,398
401058 유병언 사체 맞나 아니면 ‘바보 퍼포먼스’? 1 무지 허술해.. 2014/07/24 1,298
401057 (세월호 100일 - 84) 비가 오시네요 7 죽순이 2014/07/24 803
401056 (세월호100일-84) 함께 하겠습니다 4 진실을 알자.. 2014/07/24 590
401055 세월호 도보행진 응원하고 싶은데요 6 ... 2014/07/24 1,145
401054 (세월호 100일 - 83) 돌아와 주십시오. 4 기억하겠습니.. 2014/07/24 615
401053 (세월호 100일 - 82) 잊지 않겠습니다. 3 조작국구 2014/07/24 734
401052 (세월호 100일 - 81) 절대 못잊습니다! 3 요레 2014/07/24 867
401051 세월호 서명 언제까지인가요? 희망 2014/07/24 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