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1 국어 절실, 관련 전문가나 선생님 계시면 도움 부탁드려요...

에너자이져 조회수 : 2,107
작성일 : 2014-04-11 13:52:28

어제 고1인 딸 아이가  학교에서 비상 모의고사를 봤는데요,

70점대가 나와서 걱정이 한가득이에요.

영어 수학에 비해 점수가 낮기도 하고, 시험이 전반적으로 쉬웠다는데  정말 어떻게 공부해야

좋을지 모르겠다고 해서요.

 

형편이 많이 어려워 사교육이 힘들어서요.

내신대비도 학교에서 국어 수업 나가면 바로 복습은 하는데 자습서도 문제집도 없이 오로지 학교 복습만

하고 있는 상태인데요...

 

내신대비 필요한 문제집이나 자습서 있음 말해라, 책 살 돈 걱정말고...이래도 아이가  아무 반응도 없고.

 

다른 과목은 어찌어찌 해봐라 하고 조언하겠는데, 국어는 정말 정말 모르겠어요.

내신대비며, 모의고사 준비등...

다니는 학교가 분당 여고이고 내신이 많이 치열하고 국어문제가 많이 어렵다고 해서 더더욱 걱정입니다.

 

아이는 성실하지만 크게 공부머리는 없는 듯 합니다. 오로지 성실하고 착하고...

 국어관련 어떤 팁이라도 좋으니 좀 알려 주세요.

아이에게 밤에 보여줄 생각입니다...

 

 

IP : 125.252.xxx.11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답기다려요
    '14.4.11 2:01 PM (211.234.xxx.131)

    저희아이도 고1어제 영어수학은 괜찮았는데 국어는 점수가 낮아요
    현재 이비에스 국어관련 올림포스책보면서 무료강의듣고있는데 아직은갈길이 멀어보이네요
    문법과 시부분에서 아직 감을 못잡고ㅠ
    학원에서 몇달이라도 배우는게 좋다고들 하는데
    어찌해야할지

  • 2. ...
    '14.4.11 2:03 PM (61.98.xxx.46)

    성실한 학생이고, 스스로 의욕이 있는 학생이라면 두루뭉술한 조언보다는 좀더 구체적인 조언이 필요할 거같아요. 더구나 고1이라니...
    이따 아이 오면, 국어 중에 뭐가 힘든지 구체적으로 물어보고, 포인트 잡아서 다시 글올리시면 좋은 길 찾으시지 않을까 해요.

    1. 분야 중에서 - 문학(고전 / 현대), 비문학, 문법 에서 뭐가 어려운지

    2. 왜 어려운 지에 대해 구체적인 질문이 많을 수록 도움찾기가 쉬울거 같아요.

    예) 문학작품이 무슨 말하는지 잘 모르겠다. / 문제가 뭘 묻는지 모르겠다. / 문법 용어가 어렵다.
    비문학의 어떤 분야(과학, 경제 등등) 글이 나오면 내용이 너무 어렵다
    문제에서 답이 늘 헷갈린다(둘 중 하나 고민하다가 늘 틀림)
    문제푸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시험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 등등

    으흑...울 아들도 재수생인데...스님이 자기머리는 못깎는다고 그러지요 ^^;;

  • 3.
    '14.4.11 2:04 PM (39.7.xxx.46)

    문법 고전 문학은 올릴수있어요
    그 이상은 불가..
    기출문제 많이 푸세요
    학원 다녀봤자 시간 낭비예요 문법고전문학만 다니고 나머진 기출문제풀어도 안되면 다섯번 풀으세요
    그러고도 안되면 노답임
    손떼고 딴과목에 올인하세요

  • 4. ..
    '14.4.11 2:16 PM (220.76.xxx.244)

    ebs 윤혜정의 개념의 나비효과가 좋다고 들었어요
    아직 1학년이니 차분히 ebs인터넷 강의들으면 좋아질겁니다.

  • 5. 선택과집중
    '14.4.11 2:24 PM (218.237.xxx.120) - 삭제된댓글

    대학때 언어과외를 많이했는데요ㅡ 윗분말씀처럼 문법이나 고전문학은 강의듣고 올릴수있고요ㅡ 문학이나 비문학은 개인적으로 모의고사나 고1학평기출을 몇개 더 풀어보라하시고 어떤부분이 약한지 파악해야할듯해요~ 혹시 더 자세하게 파악하시면 nonedu@daum.net으로 문의주셔도 돼요~

  • 6. 솜이
    '14.4.11 2:34 PM (210.94.xxx.64)

    고등 국어 문학의 경우
    문학을 해석하는 여러가지 개념을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문학개념어 사전 같은 책의 내용을 요점 정리를 하던지 한 번 읽어 보던지 하여 개념을 머리에 담아 두고 문학 작품을 읽으면 이해가 좀 됩니다.
    그 후 각종 수능이나 모의고사에서 언급된 시나 소설을 읽으면 좋은데 다 못 읽을 것 같으면
    소설이나 희곡은 ebs교재 지문을 문학개념어 사전에서 익힌 내용 위주로 분석해보시면 좋겠고,
    시는 학생이 해석하면 엉뚱한 의도가 나오기 쉬우므로 시의 흐름과 짧은 평론이 들어간 시해설서를 가볍게 소설 읽듯이 읽어보면 좋을 듯합니다.
    물론 이러한 방법은 중3 겨울방학이나 고1무렵 약간의 시간여유가 있을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문학의 경우 내용이해가 관건인데 사실 그동안 쌓아온 단어나 배경 지식 없이 풀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다방면의 독서를 꾸준히 한 학생이 쉽게 느껴지기도 합니다만 앞으로라도 정확한 단어의 쓰임과 다방면의 배경지식을 갈수 있도록 노력하고
    더불어 ebs 교재의 지문을 중심으로 해서 내용의 구조를 익히는 연습을 해보면 효과가 있습니다.
    중심 단어를 찾아 놓고 그와 연관되는 마인드 맵을 이용하여 내용의 구조를 파악한다면 내용 이해가 쉽게 되더군요.

    국어는 문제집을 그냥 풀면 성적이 어느 정도 나오기는 하나 최상위의 점수를 노린다면 문제 풀이 후, 주어진 지문을 잘 활용하고 분석하며 글 읽는 연습을 하셔야 최고 득점이 가능합니다.
    인강도 요즘 잘 나오는 것 많더라고요...활용해보세요

    이상은 국어를 업으로 삼는 사람의 한마디였습니다

  • 7. 아들은,,
    '14.4.11 3:37 PM (175.115.xxx.252)

    고1인데,,,국어기술0 를 겨울방학동안 보더니 참 좋은 책이라고 합니다.
    방과후수업을 들었는데 오히려 그 책이 낫다면서,,,

  • 8. 국어
    '14.4.11 8:13 PM (121.190.xxx.243)

    국어공부법 감사합니다~~

  • 9. 국어 공부
    '14.4.11 8:35 PM (222.239.xxx.19)

    고등 국어 공부 방법 참고 하겠습니다.

  • 10. yellow
    '14.4.12 10:12 AM (1.219.xxx.85)

    감사합니다

  • 11. 고1맘
    '14.4.12 6:02 PM (218.38.xxx.245)

    저장합니다^^

  • 12. 저두
    '14.7.23 6:29 AM (14.50.xxx.73)

    ㅠㅠ저ㅏㅈㅇ해요

  • 13. VERO
    '15.8.1 6:01 PM (218.147.xxx.125)

    국어공부 조언 감사합니다

  • 14. 내일은태양054
    '16.7.15 3:52 PM (221.157.xxx.218)

    고등국어 공부법 저장학요.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9790 아마츄어 작가의 여행책인데.. 오글오글... 14 ... 2014/06/17 3,589
389789 레페토 비비 플랫 신어보신분? 1 비비 2014/06/17 2,404
389788 [미스터리] "CCTV에 안 찍힌 이유 있었다".. 3 서프라이즈 2014/06/17 2,401
389787 20개월 애가 있는 동생한테 15개월 아이 돌봐달라해도 될까요?.. 50 ㅐㅐ 2014/06/17 3,892
389786 인강, 학원 과외 복사만 모두 할려고 하는 욕심만 많은 아이 어.. 4 중2 2014/06/17 1,988
389785 학원 처음인데 수학전문? 종합학원? 2 초등고학년 .. 2014/06/17 1,183
389784 민방위의 날 지하철도 20분간 정지하나요? @_@ 2014/06/17 889
389783 잔반 줄이기 표어 기발한 아이디어 16 숙제 2014/06/17 3,822
389782 보수도 "혁신학교" 공교육 대안 인정.. 보수.. 3 샬랄라 2014/06/17 1,260
389781 정말 전세가 너무 없네요 9 2014/06/17 3,441
389780 뽐뿌 뷰2 공짜폰 조건 좀 봐주세요 8 ... 2014/06/17 1,550
389779 시판 배추김치 중 맛있게 드신 브랜드 좀 알려주세요 1 . 2014/06/17 1,143
389778 문창극 ”청문회서 제 심정 솔직하게 알려드릴것” 7 세우실 2014/06/17 1,004
389777 공동명의로 집샀어요 9 반은내꺼? 2014/06/17 2,628
389776 용모를 가꾸다: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요? 4 초여름 2014/06/17 5,640
389775 정부, 교육감 직선제 폐지 확정... 국회 상정 8 냐옹냐옹 2014/06/17 2,311
389774 노인이 쓰기 좋은 스마트폰 추천해주세요 5 옷닭 하야 2014/06/17 1,999
389773 문창극을 통해 본 한국 성골과 재상의 조건들-박노자 4 Sati 2014/06/17 1,027
389772 쓰레기 문앞에 내놓는 옆집...ㅠㅠ 13 하람하린 2014/06/17 4,071
389771 라디오비평(6.17) -쓰레기 감별안 탁월한 박근혜...부총리나.. 2 lowsim.. 2014/06/17 1,264
389770 [세월호 이야기] 정봉주의 전국구 들어보셨나요? 희망고문... 4 ... 2014/06/17 1,463
389769 구월동에 괜찮은 치과 있을까요? 5 .. 2014/06/17 3,517
389768 쓴맛나는 무우 어찌할까요 3 무조림 2014/06/17 5,422
389767 재산 손실? 얼마정도 손실보셨나요? 5 .. 2014/06/17 2,186
389766 우리 아이 사회성 높이는 5가지 방법 3 샬랄라 2014/06/17 3,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