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오바마가 ‘최저임금’을 대폭 인상한 까닭

참맛 조회수 : 1,042
작성일 : 2014-04-10 17:11:12
오바마가 ‘최저임금’을 대폭 인상한 까닭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20

지난 2월12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최저임금을 시간당 7.25달러(약 7800원)에서 10.10달러(약 1만800원)로 올리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묶여 있던 최저임금을 한꺼번에 큰 폭으로 인상한 것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3월12일, 연장 근로수당을 받는 노동자의 수를 크게 늘리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최근 한국의 한 경제지는 이 같은 오바마의 ‘친노동’ 행보에 대해 “대통령이 아니라 노조위원장 같다”라며 야유를 퍼부었다. 
그러나 미국 행정부의 임금 인상 정책은 나름 탄탄한 경제 이론에 근거한 것이다. 
‘소득주도 성장(Income-led Growth)’ 이론이라 부를 수 있는 흐름이다.

이 논리에 따르면, 미국 경제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것은 노동자들의 소득이 지나치게 낮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30년간 미국 노동자 중 60%의 실질임금은 전혀 상승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1973년 이후 미국의 노동소득 분배율(국민소득 중 노동자들이 임금으로 받는 몫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이런 장기간의 임금 정체는 노동자들의 소비 능력을 잠식하면서 경제 불황을 심화시켰다.
더욱이 정부가 아무리 통화·재정 팽창으로 경기를 자극해도 노동자들의 소비 능력이 지나치게 낮은 탓에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다.
이렇게 노동자들의 삶이 열악해지면 사회불안이 심화되고 이는 다시 투자의 발목을 잡아 경기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소득주도 성장론’은, 경제위기의 반복을 중단시킬 수 있는 대안은 서민과 노동자들의 소득(임금)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왜 하필 서민·노동자들의 소득을 늘려야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일까? 
각종 규제 완화로 부자들에게 더욱 부유해질 수 있는 기회를 주면 그 부(富)가 사회 전체로 흘러넘칠 수도 있지 않겠는가. 
이에 대한 ‘소득주도 성장론’ 측의 주장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자들이 더 많은 돈을 버는 경우, 
이렇게 추가된 소득은 소비보다 자산 투자(주식·부동산 등)로 흘러가는 비율이 높다. 
부자들은 이미 충분히 소비하고 있기 때문에 돈을 추가로 더 번다고 해서 소비를 크게 늘리지는 않는다. 
반면 서민층이나 노동자들은 소득이 확대되면 곧바로 지출을 늘린다. 돈 쓸 데가 많기 때문이다. 
이렇게 소비 수요가 증가하면 기업들은 보유한 설비를 더욱 많이 가동해서 상품 공급을 늘린다. 
또한 설비가동률이 높아지면 기업들은 이후 경기가 호전될 것을 기대하면서 신규 투자에 나서게 된다. 
투자가 늘어나면서 고용 및 총생산량의 증가, 즉 경제성장이라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것이 ‘소득주도 성장론’의 핵심 논지다.

‘소득주도 성장론’은 최근 미국 정부뿐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국제기구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IMF는 지난 수십 년간 경제위기를 겪은 많은 국가들에 신자유주의 정책을 강요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킨 주범이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런 IMF마저 불평등이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서를 연속 발간하고 있다.

2011년 IMF가 낸 <불평등과 지속 불가능한 성장:동전의 양면?>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성장 지속 기간’과 ‘소득 불평등 개선’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즉, 소득 불평등을 개선하는 국가일수록 경제성장을 더 오랫동안 지속시키는 경향이 나타나더라는 이야기다.

IMF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는 지난 2월 한 국제회의에서 “소득 격차가 사회를 황무지로 만든다”라고 경고했다. 
그녀는 IMF가 맞서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로 ‘불평등’을 꼽았다. 
사회적 불평등은 사회불안을 야기하고, 잠재력 있는 아이들의 가능성을 잠식하며, 이는 다시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는다는 것이다.
라가르드 총재에 따르면 ‘불평등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야말로 경제성장을 위한 우선 과제다.

최근에는 이념과 학파를 넘어 다수의 정책 당국이 ‘경기 회복에 노동자 집단의 소득 향상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상식처럼 수용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오바마 정권이나 IMF만 그런 것이 아니다. 
국제노동기구(IL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같은 국제기구들도 소득주도 성장론에 주목하고 있다. 
좌우파를 넘어 경제정책 입안자들 간의 지구적 합의가 형성되어가는 듯한 형국이다. 
심지어 일본의 우익 근본주의자인 아베 정부까지 기업들에게 ‘노동자 임금을 올려주라’고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IP : 121.182.xxx.19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4.4.10 5:20 PM (223.33.xxx.119)

    오바마의 8년은 진짜 신의한수인거같네요
    미국 최저임금은 너무 적어요 비록 이민자들 차지지만

  • 2. 공화당이
    '14.4.10 5:52 PM (211.52.xxx.242)

    오바마의 정책에 사사건건 발목을 잡았는데...
    미국은 행정명령으로도 시급을 올릴수 있군요. 부럽습니다.~~

  • 3. 숭미주의자인 수구들이
    '14.4.10 6:15 PM (211.194.xxx.54)

    저런 정책은 절대로 안 따라하죠. 정답만 피해다니는 꼴... 그 바람에 궁민이 되어가고...

  • 4. 수시로
    '14.4.10 9:44 PM (118.41.xxx.95)

    대규모 인원감축 해대는 우리나라에서 불평등 해소라니 ... 어색한 단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0938 때이른 녹조현상을 보이는 칠곡보 샬랄라 2014/04/15 1,042
370937 피로감 없는 여행! 즐거운 여행을 떠나고 싶은 당신! 평소 부신.. 스윗길 2014/04/15 1,163
370936 부엌이 좁은건 여자에게 불행인것같아요ᆢ 16 .. 2014/04/15 5,606
370935 어느날 당신의 아들이 여자가 되고 싶다고 한다면.... 8 난감할세 2014/04/15 3,312
370934 6살 전래동화 추천좀 해주세요~~ 3 rain 2014/04/15 1,164
370933 홀그레인머스타드.. 맛 없는것도 있지요?? 머스타드 2014/04/15 4,207
370932 샤워부스 청소 방법 알아냈어요.! 8 2014/04/15 10,512
370931 이것도 역류성식도염 증세인가요? 8 ..... 2014/04/15 3,711
370930 살림초보, 열무 물김치 절이는 방법이요...?? 16 열무 2014/04/15 2,522
370929 맞벌이 저희집좀 봐주세요.. 회사그만두고 쉬고 싶은데 후회할까요.. 27 봄소풍 2014/04/15 5,294
370928 애들 썬크림 잘씻기는거 추천해주세요 3 썬크림 2014/04/15 1,770
370927 맛집은 지방이 서울을 못따라가더군요 확실히 39 맛집 2014/04/15 5,400
370926 아동 인라인 스케이트 살때.. 좀 커야 할까요? 3 인라인 2014/04/15 1,917
370925 위메프서 테팔 후라이팬 결제직전입니다 5 그릇부자 2014/04/15 1,849
370924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방향 샬랄라 2014/04/15 865
370923 카톡 보고 짜증났어요..지금까지 그러려니 했는데.. 55 아들 가진 .. 2014/04/15 19,053
370922 노견들이 백내장 많이 걸리면...지나치지 마시고.. 7 강아지 키우.. 2014/04/15 14,543
370921 맛집이라고 소문나서 먹어보니 본인에겐 별로였던 경험 있나요? 37 어제 겪었어.. 2014/04/15 4,506
370920 1년 안된 아기 고양이도 자궁충농증이 올수 있나요? 5 ... 2014/04/15 1,413
370919 여유돈이 있다면 강남에 오피스텔 구입해서 월세. 9 생각중 2014/04/15 3,195
370918 3세 오르다 돈 ㅈㄹ 일가요? 7 돈쓸걱정 2014/04/15 2,184
370917 요즘 1박 2일 보시나요 김주혁이 좋아요 6 ... 2014/04/15 2,628
370916 개인이 구매한 물품 관세 신고요 2 개인 2014/04/15 770
370915 식당이 서비스마인드가 부족하면 클레임거시는분들 계시나요? 6 맛집 2014/04/15 1,192
370914 곰팡이 1 파란하늘 2014/04/15 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