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능에 비해 학력고사 난이도는 어땠나요?

엘살라도 조회수 : 11,474
작성일 : 2014-04-09 21:33:03
요즘 수능 보니까 뭐 사교육 줄인다고 문제도 좀 쉽게 내는 경향도 있고 게다가 난이도도 뒤죽박죽 내서 욕 먹은 경향도 있지만, 근데 수능은 평균적으로 사고력을 좀 측정을 하는거 같고, 학력고사는 대체로 암기식이라는데, 물론 난이도로 비교하기좀 그렇지만, 그래도 수능하고 학력고사 비교할때 평균적으로 어느게 어려웠나요? 
IP : 112.155.xxx.101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4.4.9 9:38 PM (59.12.xxx.250)

    국어는 확실히 수능이 어려워요. 완전히 처음보는 지문에 길이도 엄청길고..학력고사 국어는 전부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이라 내신공부 착실히 하면 쉽게 풀렸지요.

  • 2. ㅇㅇ
    '14.4.9 9:41 PM (59.12.xxx.250)

    영어 수준도 예전 학력고사보다 현재 수능이 난이도가 훨씬 높아진것 같아요. 학생들 영어수준이 높아졌기에 변별력을 두려면 ...

  • 3. 저도
    '14.4.9 9:53 PM (218.55.xxx.127)

    저도 수능이 난이도가 훨씬 높다고 생각해요. 그걸 푸는 아이들이 대단한거 같아요. 그리고 학력고사는 쉬운과목이나 어려운 과목이나 모두 합한 총점으로 따졌는데 수능은 표준점수가 좋아야하고 어려운 과목에서 점수를 잘 따야해서 단기간에 점수를 올리기도 어려운거 같아요.

  • 4. ...
    '14.4.9 10:05 PM (39.7.xxx.238)

    20년전 시험이랑 난이도를 비교한다는게...

  • 5. 학력고사
    '14.4.9 10:11 PM (1.236.xxx.172) - 삭제된댓글

    학력고사는 과목이 엄청 많았잖아요

    국영수 과학두개 (이과였음) 사회 역사 윤리 한문 가정또는 외국어 등등등.

  • 6. 84학번
    '14.4.9 10:16 PM (211.178.xxx.40)

    고3때 반짝 공부하고 좋은 대학 갈 수 있었어요
    암기식이니 문제만 많이 풀어보면 점수 따기 좋았어요

  • 7. ..
    '14.4.9 10:33 PM (203.249.xxx.21)

    간단히 이야기하면 옛날에 320점 만점(체력장 빼면요..)에 300점이면 전국 백만명의 수험생 중에서 수석 레벨이었죠.

    이번 수능에서는 전국 60만명 수험생 중에서 만점자가 33명이었습니다.

    그러면 어느 시험이 더 쉬운지는 간단히 판단되지 않으실까요?

  • 8. 존심
    '14.4.9 11:10 PM (175.210.xxx.133)

    학력고사냐 수능이냐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1등부터 꼴지까지 줄을 세우는 겁니다.
    다를게 없습니다.
    시험이 어려웠느냐 쉬었느냐는...
    어렵던 쉽던간에
    1등부터 꼴지까지 줄을 세우는 것은...

  • 9. 제가 두 개 다 쳐봤어요.
    '14.4.9 11:37 PM (58.231.xxx.159)

    물론 해마다 난이도가 다르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학력고사와 수능을 비교해보자면,
    학력고사는 공부할 양이 많습니다. 과목도 많고 암기해야할 것도 많았지요.
    공부를 많이 해놓을수록 유리합니다. 많이 외워 놓으면 많이 맞힐 수 있습니다.
    자기가 암기해 놓지 않으면 풀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요.

    반면 수능은 공부해야할 양은 상대적으로 그리 많진 않습니다.
    암기보다는 원리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원리를 이해하고 시험에선 응용문제를 푸는 식입니다.
    미리 공부해놓은 원리와 공식이라도 시험 당일 적용해서 풀어내지 못하면 점수를 못 땁니다.

    학력고사 시절 국어와 영어를 비교하면, 첫댓글님 말씀처럼
    국어는 교과서 지문 내에서 나와서 평소 교과서를 많이 공부해 놓으면 시험 문제를 쉽게 빨리 풀어낼 수 있었지만, 영어는 교과서로 실컷 공부해 놓아도 근본적인 문법이나 구문을 모르면 정작 시험에서 처음보는 지문을 독해해서 풀어내기가 쉽지가 않았지요.

    수능에선 국어나 영어나 마찬가지로 처음보는 지문으로 풀어내야 합니다.
    과학이나 사회 과목도 대체적으로 그런 식입니다.
    시험칠 때, 평소에 공부해 놓았던 것을 적용해서 계속 머리굴리고 생각해야 합니다.
    학력고사가 두 번 풀어보고도 시간이 남았다면 수능은 한 번 풀기도 빠듯합니다.
    모의고사라도 치고 나면 몸살이 나구요. 학력고사 모의고사 땐 시험치고 놀러 다녔지요.
    (제가 초기 수능을 쳐서 더 힘들었던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학력고사는 공부하기가 힘들고 시험치기는 쉬운 반면,
    수능은 공부하기는 덜 힘든데 시험치는 것이 훨씬 힘듭니다.
    학력고사가 지식을 알아보는 시험이라면 수능은 지력을 알아보는 시험이랄까요.
    전체적인 난이도는 잘 모르겠네요.

  • 10. ....
    '14.4.9 11:55 PM (211.232.xxx.213)

    수능이 훨씬 어렵습니다. 요즘 아이들처럼 공부시켜서 학력고사 보게하면 만점 수두룩 할꺼예요.

  • 11. 이해불가
    '14.4.10 12:18 AM (61.73.xxx.228)

    80년대 학력고사 340점 만점에 280이상이면 서울대 하위권 과나 연고대 상위권에 지원할 수 있었어요.
    몰론 그 해 시험 난이도에 따라 좀 달라지긴 했지만 삼백점 이상 받는 것은 정말 쉽지 않았어요.
    만점자도 거의 안나왔고요.
    알다시피 요즘 수능은 물수능이라고 만점도 수두룩 일이점 차이로 대학이 달라지죠.

    이 두개 시험이 어떻게 비교가 될 수 있나요.

    요즘 아이들이 영어는 잘하기는 하지만 나머지 과목도 잘한다는 것에는 동의할 수가 없네요.
    학력고사는 공부할 과목도 많았지만 최소 스카이를 바라보는 학생이라면 어려운 수준까지 깊이 공부해야 했어요.

    요즘 다들 수능 수준에 맞추어 공부를 할텐데 학력고사 세대보다 학력이 훨씬 높다고 할 수 있을까요.

  • 12. 이해불가
    '14.4.10 12:27 AM (61.73.xxx.228)

    제가 74년생으로 마지막 학력고사도 치뤄봤고 수능도 치뤄봤어요.

    처음 치룬 수능 쉽지 않았어요.
    200점 만점이었는데 180점 넘으면 서울대 중상위권, 170점 넘으면 서울대 하위권이나 연고대 바라볼 수 있었어요.
    당시 시험이 너무 쉽게 나와서 많은 아이들이 모의고사보다 점수가 수직상승했는데도 190점 이상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기억해요.
    요즘 아이들 실력이 일취월장해서 수능점수가 많이 올랐다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그러나 학력고사 잘 본 아이들이 수능점수도 잘 나왔어요.
    180, 190 이상 나온 친구들이 다 서울대 경영, 경제, 의대 썼다가 떨어진 녀석들이었어요.
    시험방식이 어떻든 잘하는 놈은 잘한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 13. ..
    '14.4.10 5:48 AM (58.120.xxx.26)

    사실 너무 간단한 사항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시는 것도 의아하지만, 수능이 더 어렵다는 답글까지 달리고 요즈음 같이 공부하면 학력고사도 만점들이 수두룩 할 것이라는 대답은정말 신기한 현상인 듯 합니다.

    요즈음 대학교수들의 공통된 고민은 대학 신입생들의 심각한 학력저하입니다. 영어실력만 늘었고 나머지 학력은 모두 심각히 저하된 상태입니다. 쉬운 수능과 과도한 사교육 의존이 큰 원인이겠죠.

    심리학자들이 연구해 볼만한 재미있는 학부모의 심리현상일 듯 합니다..

  • 14. ...
    '14.4.10 6:04 AM (14.37.xxx.234)

    87학번 학력고사에 단 두번 있었던
    논술시험까지 본 세대입니다.
    대신 마지막 학력고사부터
    첫수능 세대 가르쳤구요.
    처음 나온 수능은 어려웠어요.
    기출이 없어서 가늠하기 힘들고
    난이도도 들쑥날쑥이었죠.
    안정된 후를 비교하자면 영어빼고
    학력고사가 더 어렵습니다.
    물론 단순암기라 쉽다 하시겠지만
    그건 공부가 좀 되는 사람들 이야기고
    평범한 아이들 기준으로 그나마
    과목이 현저하게 준 지금이 더 편하고 쉬워요.

  • 15. ...
    '14.4.10 9:17 AM (14.37.xxx.234)

    맞아요.
    첫수능 세대는 정말 어려웠어요.
    제가 가르치기 벅찰 정도로 어려웠고
    황당한 문제도 너무 많아서
    애들이 그야말로 멘붕이었어요.
    국어도, 수학도, 사회과목도 모두
    이런 미친... 이라는 욕이 절로 쏟아졌죠.
    지금 애들 그 수능은 진짜 넘사벽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1866 배끝부분이라도 살짝 올리는것도 도저히 불가능한가요? 4 궁금해서 2014/04/18 927
371865 홍가혜씨가 인터뷰한 내용 봤는데요 8 조작국가 2014/04/18 2,303
371864 안전사고 없었음... 오늘이 돌아오는 날이죠? 1 제발 2014/04/18 834
371863 현장학습 수학여행 교육청에서 의무적으로 지시하는 건가요? 8 기적 2014/04/18 1,161
371862 지금 계속 공중파 보고 계시는 분 계세요? 10 답답 2014/04/18 2,500
371861 안전 불감)지금 아파트 단지안에서 인테리어 하고 샤시 올리는데... 8 ㅜㅜ 2014/04/18 3,492
371860 김문수님 보세요. 21 아..놔 2014/04/18 2,981
371859 이 사건은 선장의 잘못 해경의 초기대응늑장이 다 살릴 목숨을 15 고양이2 2014/04/18 1,869
371858 사고후 낮 11시17분에도 단톡방에 안부글 올리던 담임샘 1 ㅇㅇ 2014/04/18 2,240
371857 배가 왜 갑자기 가라앉는거죠? 6 11 2014/04/18 1,697
371856 배 여행 해봤는데요...배에 이상이 있으면 무조건 갑판으로..... 8 크루즈 2014/04/18 3,145
371855 아이들아 미안해 케이트 2014/04/18 942
371854 지금 TV조선 좀웃끼지만 맞는말은하네요 20 지금 2014/04/18 4,581
371853 선장은 선원법위반으로 5년이하 처벌 받을수 있다는데.. 3 .. 2014/04/18 794
371852 유속이 세다면서 시신은 근처서 발견? 10 2014/04/18 2,618
371851 민생안정 외치던 정치인들! 다어디갔나요? 웃겨 2014/04/18 701
371850 이민호 박신혜가 행사 연기하자는데 강행하려는 롯데면세점... 19 sweet .. 2014/04/18 5,357
371849 홍가혜라는분 9 ㄱㄴ 2014/04/18 2,762
371848 “우리 아들 심폐소생술 제발 한 번만…” 죽어도 못 보내는 父情.. 14 가슴이 미어.. 2014/04/18 3,872
371847 이런 식으로 대처하면 항구 바로 앞에서 조난당해도 못구할거 같네.. 2 ㅇㅇㅇ 2014/04/18 983
371846 이와중에 선거운동하는 ㅆㄹㄱ들.. 4 말랑 2014/04/18 879
371845 홍가혜 글 올린 레테댓글에..관련글 링크 하라는 댓글도 많네요.. 2 33 2014/04/18 1,774
371844 화병으로 죽을거 같아요!! 4 홍시 2014/04/18 1,661
371843 김용민의조간브리핑(4.18)박근혜 남경필의 대굴욕"가만.. 1 lowsim.. 2014/04/18 1,361
371842 진도실내체육관 사고대책본부 생중계 참맛 2014/04/18 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