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능에 비해 학력고사 난이도는 어땠나요?

엘살라도 조회수 : 10,701
작성일 : 2014-04-09 21:33:03
요즘 수능 보니까 뭐 사교육 줄인다고 문제도 좀 쉽게 내는 경향도 있고 게다가 난이도도 뒤죽박죽 내서 욕 먹은 경향도 있지만, 근데 수능은 평균적으로 사고력을 좀 측정을 하는거 같고, 학력고사는 대체로 암기식이라는데, 물론 난이도로 비교하기좀 그렇지만, 그래도 수능하고 학력고사 비교할때 평균적으로 어느게 어려웠나요? 
IP : 112.155.xxx.101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4.4.9 9:38 PM (59.12.xxx.250)

    국어는 확실히 수능이 어려워요. 완전히 처음보는 지문에 길이도 엄청길고..학력고사 국어는 전부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이라 내신공부 착실히 하면 쉽게 풀렸지요.

  • 2. ㅇㅇ
    '14.4.9 9:41 PM (59.12.xxx.250)

    영어 수준도 예전 학력고사보다 현재 수능이 난이도가 훨씬 높아진것 같아요. 학생들 영어수준이 높아졌기에 변별력을 두려면 ...

  • 3. 저도
    '14.4.9 9:53 PM (218.55.xxx.127)

    저도 수능이 난이도가 훨씬 높다고 생각해요. 그걸 푸는 아이들이 대단한거 같아요. 그리고 학력고사는 쉬운과목이나 어려운 과목이나 모두 합한 총점으로 따졌는데 수능은 표준점수가 좋아야하고 어려운 과목에서 점수를 잘 따야해서 단기간에 점수를 올리기도 어려운거 같아요.

  • 4. ...
    '14.4.9 10:05 PM (39.7.xxx.238)

    20년전 시험이랑 난이도를 비교한다는게...

  • 5. 학력고사
    '14.4.9 10:11 PM (1.236.xxx.172) - 삭제된댓글

    학력고사는 과목이 엄청 많았잖아요

    국영수 과학두개 (이과였음) 사회 역사 윤리 한문 가정또는 외국어 등등등.

  • 6. 84학번
    '14.4.9 10:16 PM (211.178.xxx.40)

    고3때 반짝 공부하고 좋은 대학 갈 수 있었어요
    암기식이니 문제만 많이 풀어보면 점수 따기 좋았어요

  • 7. ..
    '14.4.9 10:33 PM (203.249.xxx.21)

    간단히 이야기하면 옛날에 320점 만점(체력장 빼면요..)에 300점이면 전국 백만명의 수험생 중에서 수석 레벨이었죠.

    이번 수능에서는 전국 60만명 수험생 중에서 만점자가 33명이었습니다.

    그러면 어느 시험이 더 쉬운지는 간단히 판단되지 않으실까요?

  • 8. 존심
    '14.4.9 11:10 PM (175.210.xxx.133)

    학력고사냐 수능이냐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1등부터 꼴지까지 줄을 세우는 겁니다.
    다를게 없습니다.
    시험이 어려웠느냐 쉬었느냐는...
    어렵던 쉽던간에
    1등부터 꼴지까지 줄을 세우는 것은...

  • 9. 제가 두 개 다 쳐봤어요.
    '14.4.9 11:37 PM (58.231.xxx.159)

    물론 해마다 난이도가 다르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학력고사와 수능을 비교해보자면,
    학력고사는 공부할 양이 많습니다. 과목도 많고 암기해야할 것도 많았지요.
    공부를 많이 해놓을수록 유리합니다. 많이 외워 놓으면 많이 맞힐 수 있습니다.
    자기가 암기해 놓지 않으면 풀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요.

    반면 수능은 공부해야할 양은 상대적으로 그리 많진 않습니다.
    암기보다는 원리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원리를 이해하고 시험에선 응용문제를 푸는 식입니다.
    미리 공부해놓은 원리와 공식이라도 시험 당일 적용해서 풀어내지 못하면 점수를 못 땁니다.

    학력고사 시절 국어와 영어를 비교하면, 첫댓글님 말씀처럼
    국어는 교과서 지문 내에서 나와서 평소 교과서를 많이 공부해 놓으면 시험 문제를 쉽게 빨리 풀어낼 수 있었지만, 영어는 교과서로 실컷 공부해 놓아도 근본적인 문법이나 구문을 모르면 정작 시험에서 처음보는 지문을 독해해서 풀어내기가 쉽지가 않았지요.

    수능에선 국어나 영어나 마찬가지로 처음보는 지문으로 풀어내야 합니다.
    과학이나 사회 과목도 대체적으로 그런 식입니다.
    시험칠 때, 평소에 공부해 놓았던 것을 적용해서 계속 머리굴리고 생각해야 합니다.
    학력고사가 두 번 풀어보고도 시간이 남았다면 수능은 한 번 풀기도 빠듯합니다.
    모의고사라도 치고 나면 몸살이 나구요. 학력고사 모의고사 땐 시험치고 놀러 다녔지요.
    (제가 초기 수능을 쳐서 더 힘들었던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학력고사는 공부하기가 힘들고 시험치기는 쉬운 반면,
    수능은 공부하기는 덜 힘든데 시험치는 것이 훨씬 힘듭니다.
    학력고사가 지식을 알아보는 시험이라면 수능은 지력을 알아보는 시험이랄까요.
    전체적인 난이도는 잘 모르겠네요.

  • 10. ....
    '14.4.9 11:55 PM (211.232.xxx.213)

    수능이 훨씬 어렵습니다. 요즘 아이들처럼 공부시켜서 학력고사 보게하면 만점 수두룩 할꺼예요.

  • 11. 이해불가
    '14.4.10 12:18 AM (61.73.xxx.228)

    80년대 학력고사 340점 만점에 280이상이면 서울대 하위권 과나 연고대 상위권에 지원할 수 있었어요.
    몰론 그 해 시험 난이도에 따라 좀 달라지긴 했지만 삼백점 이상 받는 것은 정말 쉽지 않았어요.
    만점자도 거의 안나왔고요.
    알다시피 요즘 수능은 물수능이라고 만점도 수두룩 일이점 차이로 대학이 달라지죠.

    이 두개 시험이 어떻게 비교가 될 수 있나요.

    요즘 아이들이 영어는 잘하기는 하지만 나머지 과목도 잘한다는 것에는 동의할 수가 없네요.
    학력고사는 공부할 과목도 많았지만 최소 스카이를 바라보는 학생이라면 어려운 수준까지 깊이 공부해야 했어요.

    요즘 다들 수능 수준에 맞추어 공부를 할텐데 학력고사 세대보다 학력이 훨씬 높다고 할 수 있을까요.

  • 12. 이해불가
    '14.4.10 12:27 AM (61.73.xxx.228)

    제가 74년생으로 마지막 학력고사도 치뤄봤고 수능도 치뤄봤어요.

    처음 치룬 수능 쉽지 않았어요.
    200점 만점이었는데 180점 넘으면 서울대 중상위권, 170점 넘으면 서울대 하위권이나 연고대 바라볼 수 있었어요.
    당시 시험이 너무 쉽게 나와서 많은 아이들이 모의고사보다 점수가 수직상승했는데도 190점 이상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기억해요.
    요즘 아이들 실력이 일취월장해서 수능점수가 많이 올랐다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그러나 학력고사 잘 본 아이들이 수능점수도 잘 나왔어요.
    180, 190 이상 나온 친구들이 다 서울대 경영, 경제, 의대 썼다가 떨어진 녀석들이었어요.
    시험방식이 어떻든 잘하는 놈은 잘한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 13. ..
    '14.4.10 5:48 AM (58.120.xxx.26)

    사실 너무 간단한 사항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시는 것도 의아하지만, 수능이 더 어렵다는 답글까지 달리고 요즈음 같이 공부하면 학력고사도 만점들이 수두룩 할 것이라는 대답은정말 신기한 현상인 듯 합니다.

    요즈음 대학교수들의 공통된 고민은 대학 신입생들의 심각한 학력저하입니다. 영어실력만 늘었고 나머지 학력은 모두 심각히 저하된 상태입니다. 쉬운 수능과 과도한 사교육 의존이 큰 원인이겠죠.

    심리학자들이 연구해 볼만한 재미있는 학부모의 심리현상일 듯 합니다..

  • 14. ...
    '14.4.10 6:04 AM (14.37.xxx.234)

    87학번 학력고사에 단 두번 있었던
    논술시험까지 본 세대입니다.
    대신 마지막 학력고사부터
    첫수능 세대 가르쳤구요.
    처음 나온 수능은 어려웠어요.
    기출이 없어서 가늠하기 힘들고
    난이도도 들쑥날쑥이었죠.
    안정된 후를 비교하자면 영어빼고
    학력고사가 더 어렵습니다.
    물론 단순암기라 쉽다 하시겠지만
    그건 공부가 좀 되는 사람들 이야기고
    평범한 아이들 기준으로 그나마
    과목이 현저하게 준 지금이 더 편하고 쉬워요.

  • 15. ...
    '14.4.10 9:17 AM (14.37.xxx.234)

    맞아요.
    첫수능 세대는 정말 어려웠어요.
    제가 가르치기 벅찰 정도로 어려웠고
    황당한 문제도 너무 많아서
    애들이 그야말로 멘붕이었어요.
    국어도, 수학도, 사회과목도 모두
    이런 미친... 이라는 욕이 절로 쏟아졌죠.
    지금 애들 그 수능은 진짜 넘사벽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7023 이 시국에 일상 글 올려서 미안해요 싱글분들 3 ... 2014/05/06 1,173
377022 전국학부모들 촛불시위 최종결정.jpg有 12 베티링크 2014/05/06 3,992
377021 해경은 돌아가신 잠수사분이 누구인지도 모르는건가요? 2 거짓말 2014/05/06 1,622
377020 이와중에 실례합니다. 건강때문에 다이어트 9 2014/05/06 1,875
377019 팽목항의 통곡 9 ㅠㅠ 2014/05/06 3,789
377018 한살림 과일 정말 믿을만한가요 3 랭면육수 2014/05/06 3,529
377017 전우용 역사학자 트윗 9 저녁숲 2014/05/06 3,408
377016 [동영상]세월호 참사, 엄마들의 여론! - 홍대거리에 침묵 행진.. 4 lowsim.. 2014/05/06 1,823
377015 글 다시 끌어올립니다. '세월호... 그 진실은' 10 @@@ 2014/05/06 1,691
377014 [팩트TV 세월호참사 현장생중계] 5월 6일 오후3시 오창석 아.. 2 lowsim.. 2014/05/06 1,409
377013 왜 언딘에 우리 세금으로 돈을줘야해요? 6 ? ? ? 2014/05/06 1,338
377012 항생제와 성장 촉진제 안 쓰는 우유 추천해주세요.. 5 .. 2014/05/06 2,918
377011 정말 영수학원만 보내면 갑인가요? 11 중2 공부안.. 2014/05/06 4,269
377010 이젠 하우스푸어가 침몰할 차례 37 뉴시스 2014/05/06 18,444
377009 세월호를 잊지 않기 위해 정당에 가입하려고 합니다 5 다짐 2014/05/06 1,389
377008 아래 이상호기자가 쫓겨났다는 기사는 동아 찌라시 기사입니다. 8 동아 찌라시.. 2014/05/06 2,480
377007 해경은 세월호 탑승자 명단 공개하라!!!! 4 .. 2014/05/06 1,581
377006 외로운게 맞는걸까요? 9 이건 2014/05/06 2,582
377005 이상호기자 가족 항의받고 취재현장서 쫓겨나 46 ... 2014/05/06 11,486
377004 승용차만 124대인데 일반인 73명 탑승? 12 이리보고저리.. 2014/05/06 3,780
377003 5월8일7시 '청와대 앞에 갑시다'와 세월호 특검 청원 서명 12 이번주 일정.. 2014/05/06 1,998
377002 서영석의 라디오 비평(14.5.6) - 박근혜 무서워할 이유없다.. lowsim.. 2014/05/06 1,518
377001 일상적인 글 쓰는게 왜 죄스럽기까지 해야하는지... 30 무무 2014/05/06 3,403
377000 빨갱이가 뭐죠? 11 기다리래~~.. 2014/05/06 1,392
376999 오늘 절에 가서 세가지를 빌고 왔습니다. 4 꼭 이뤄지.. 2014/05/06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