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내에 빌라 전세, 외곽의 아파트매매 어느 쪽이 더 좋을까요?-지방

집고민 조회수 : 1,036
작성일 : 2014-04-08 23:19:35

결혼한 지 3년 차인 주부입니다. 아이 하나 있구요. 지방에서 자가로 살다가 3천만 가지고 이사를 가야할 상황이 되었는데

집을 어디로 가야할지 고민이고 걱정입니다.

일단 가지고 있는 돈으로는 전세나 매매는 절대 꿈도 못 꾸고 시내에 (여기도 사실 시내중심가하고는 거리가 있지만)

빌라 전세가 7천에서 8천 정도. 쓰리룸이나 주택 전세가 5,6천 정도 하네요.

살던 지역이라 생활권이 바뀌지 않고 신랑 친구들도 다 여기 있어요. 병원, 마트, 학교 등은 이쪽이 훨씬 잘 되어 있어요.

그리고 외곽지역으로 가면 20년 된 아파트 매매가가 8천 정도 해요. 24평 기준이요.

외곽이고 좁은 동네지만 발전가능성이 있고 나름의 편의시설은 갖춰져 있구요. 신랑이 출근하기가 좀 더 가까워집니다.

저는 사실 아파트 메리트는 크게 못 느껴서 (관리비도 비싸고, 오래된 아파트는 배관이나 샷시가 문제 있는 경우도 많대서)

빌라나 주택도 괜찮거든요. 같은 평수면 빌라나 주택이 더 크기도 하고

외곽에서 아파트를 살 돈이면 시내에선 신축 쓰리룸 전세로 들어가고도 남고요.

신랑은 근데 전세의 경우엔 나중에 다시 못 돌려 받을 경우가 생길까봐 걱정인 것 같습니다.

이것도 다 전세대출이나 집담보대출을 좋게 받을 수 있는 경우에나 할 수 있는 고민이지만

일단은 대출받는 다는 전제 하에 어떤 집이 더 좋을까요?

세 가족이 쓰리룸, 방2칸 주택 등 살기 괜찮을지(게다가 둘째 계획도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돼서 미뤄야 할지도 모르지만...) 전세로 얻으면 나중에 다시 돌려받기는 수월할지... 90년대 초반에 지어진 아파트는 수리하지 않고도 아기데리고 살 수 있을 지...

인생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IP : 175.200.xxx.17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애가 몇살인지
    '14.4.9 8:00 AM (112.173.xxx.72)

    초등 가기전에 한곳에 정착하세요.
    쓰리룸도 좋고 아파트도 좋고 빌라도 좋으니 어디든 동네를 자꾸 안옮기는 쪽으로 집을 구하면 좋겠네요.
    아이들이 스트레스가 커요.
    대출이 가능하다면 아파트 매매해서 사는것도 좋겠네요.
    내집이니 맘대로 꾸밀수도 있고.. 집값도 8천이면 저렴한데 대출이 오천이나 가능한지는 모르겠어요.
    복비랑 취등세도 내어야 하고.. 집 사면 도배 장판 페인트 정도는 해야 하고..
    여유돈이 못해도 500은 있어야 해요.
    화장실 수리 같은 거 안하더래도 말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1301 이런 사람은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5 ... 2014/04/16 1,775
371300 전원이 끊어지면 객실출입문이 잠긴다는데 5 설마 2014/04/16 3,844
371299 단원고 학생 244명 실종 상태 12 ... 2014/04/16 4,547
371298 최초 신고도 학부모가 했대요 17 111 2014/04/16 7,273
371297 제주도 수학여행을 배로 가기도 하나요?? 32 .. 2014/04/16 4,995
371296 270만원으로 생활하기 -50대공무원월급어느정도? 20 생활비조언 2014/04/16 7,194
371295 저도 수학여행위원이였어요 9 홍아 2014/04/16 3,864
371294 스마트폰,컴퓨터 잘아시는 분..질문좀요... 4 ㅇㄹㄴㅇㄹㄴ.. 2014/04/16 1,031
371293 박근혜가 지시내린 특공대는 어디서 뭐하고 있나요? 34 눈물 2014/04/16 2,916
371292 제발 제발 제발 9 ... 2014/04/16 2,189
371291 시사통 김종배입니다 (14.4.16pm) - 가정폭력, 국가의 .. 1 lowsim.. 2014/04/16 1,298
371290 결국 오늘 사고 여객선 구조보도전쟁에서 구조된 것은 박근혜 뿐 6 구조 2014/04/16 2,183
371289 이문자를 보니 눈물이 확나네요. 28 2014/04/16 17,288
371288 다이나톤인지 뭔지 이 와중에 그러고 싶어요? 1 아 정말.... 2014/04/16 1,702
371287 내일 비온다는데 ㅠㅠ 부디 안오길 바랍니다 6 ... 2014/04/16 1,724
371286 인터뷰때 구조인원이 너무없다고.... 14 ㅠㅠ 2014/04/16 3,717
371285 끝날때까진 끝난게 아니라죠. 희망을 가져요. 2 제발~ 2014/04/16 1,111
371284 브리핑 내용 전부 2 .. 2014/04/16 1,418
371283 [진도 여객선침몰]긴박했던 순간 "죽을 힘 다해 헤엄쳤.. 7 ... 2014/04/16 3,148
371282 남편의 바깥 생활 3 ?? 2014/04/16 2,172
371281 구명조끼입고 바다로 뛰어들어가라고 방송 해줬으면 ... 24 로즈 2014/04/16 5,099
371280 단원고 3학년 김민혁 트윗 22 /// 2014/04/16 28,572
371279 한국이 후진국도 아닌데 인명사고가 왜이렇게 잦나요 42 ... 2014/04/16 3,052
371278 290명 이라는 숫자가 왜 이렇게 비현실적인가요? ㅠㅠ 5 뽀로로32 2014/04/16 1,956
371277 오전에 사고 관련 글 썼다 지웠었는데.. 2 ... 2014/04/16 1,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