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내에 빌라 전세, 외곽의 아파트매매 어느 쪽이 더 좋을까요?-지방

집고민 조회수 : 1,058
작성일 : 2014-04-08 23:19:35

결혼한 지 3년 차인 주부입니다. 아이 하나 있구요. 지방에서 자가로 살다가 3천만 가지고 이사를 가야할 상황이 되었는데

집을 어디로 가야할지 고민이고 걱정입니다.

일단 가지고 있는 돈으로는 전세나 매매는 절대 꿈도 못 꾸고 시내에 (여기도 사실 시내중심가하고는 거리가 있지만)

빌라 전세가 7천에서 8천 정도. 쓰리룸이나 주택 전세가 5,6천 정도 하네요.

살던 지역이라 생활권이 바뀌지 않고 신랑 친구들도 다 여기 있어요. 병원, 마트, 학교 등은 이쪽이 훨씬 잘 되어 있어요.

그리고 외곽지역으로 가면 20년 된 아파트 매매가가 8천 정도 해요. 24평 기준이요.

외곽이고 좁은 동네지만 발전가능성이 있고 나름의 편의시설은 갖춰져 있구요. 신랑이 출근하기가 좀 더 가까워집니다.

저는 사실 아파트 메리트는 크게 못 느껴서 (관리비도 비싸고, 오래된 아파트는 배관이나 샷시가 문제 있는 경우도 많대서)

빌라나 주택도 괜찮거든요. 같은 평수면 빌라나 주택이 더 크기도 하고

외곽에서 아파트를 살 돈이면 시내에선 신축 쓰리룸 전세로 들어가고도 남고요.

신랑은 근데 전세의 경우엔 나중에 다시 못 돌려 받을 경우가 생길까봐 걱정인 것 같습니다.

이것도 다 전세대출이나 집담보대출을 좋게 받을 수 있는 경우에나 할 수 있는 고민이지만

일단은 대출받는 다는 전제 하에 어떤 집이 더 좋을까요?

세 가족이 쓰리룸, 방2칸 주택 등 살기 괜찮을지(게다가 둘째 계획도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돼서 미뤄야 할지도 모르지만...) 전세로 얻으면 나중에 다시 돌려받기는 수월할지... 90년대 초반에 지어진 아파트는 수리하지 않고도 아기데리고 살 수 있을 지...

인생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IP : 175.200.xxx.17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애가 몇살인지
    '14.4.9 8:00 AM (112.173.xxx.72)

    초등 가기전에 한곳에 정착하세요.
    쓰리룸도 좋고 아파트도 좋고 빌라도 좋으니 어디든 동네를 자꾸 안옮기는 쪽으로 집을 구하면 좋겠네요.
    아이들이 스트레스가 커요.
    대출이 가능하다면 아파트 매매해서 사는것도 좋겠네요.
    내집이니 맘대로 꾸밀수도 있고.. 집값도 8천이면 저렴한데 대출이 오천이나 가능한지는 모르겠어요.
    복비랑 취등세도 내어야 하고.. 집 사면 도배 장판 페인트 정도는 해야 하고..
    여유돈이 못해도 500은 있어야 해요.
    화장실 수리 같은 거 안하더래도 말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1118 2014 최고의 밭두렁프로젝트 4 하늘을속여라.. 2014/07/24 978
401117 말콤글레드웰 스타일 책 추천해주세요 3 망고 2014/07/24 814
401116 [김어준 평전] 18회 - 꺾인 꿈...총선 출마 lowsim.. 2014/07/24 1,095
401115 시신만 찾으면 할일끝? 다음주 휴가간다~~ 3 발그림 2014/07/24 1,063
401114 요즘 전세계적으로 왜이리 사고가 많이 나는 걸까요 3 심란해요 2014/07/24 1,011
401113 [다시열림]82모금계좌가 다시 열렸습니다. 불굴 2014/07/24 805
401112 여기 82에만 들어오면 6 도대체 왜?.. 2014/07/24 1,220
401111 항우울제 약 종류 잘 아시는 분 계세요? 2 세월호100.. 2014/07/24 4,877
401110 연도에 82쿡 엄마당 출현 10 。。 2014/07/24 1,608
401109 유병언 관련 발표 100% 믿을 수 있어요~ 11 .. 2014/07/24 2,441
401108 다리가 토막났다가 다시 붙는 꿈을 꿨어요 2 @@ 2014/07/24 1,323
401107 답답해요. ㅠㅠ 2014/07/24 875
401106 [세월호 100일-126] 잊지 않겠습니다 2 그럴수도 2014/07/24 820
401105 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이 우네요 ㅠ 6 에고 2014/07/24 13,764
401104 (잊지말아요세월호)요즘 볼만한 영화 뭘까요? 1 영화 2014/07/24 707
401103 주호영...세월호 사고가 교통사고라 과잉배상 안된다... 3 새누리 미쳤.. 2014/07/24 1,497
401102 팔자주름 시술은 뭘 해야 하나요? 부산에 피부과 추천 부탁드립니.. 팔자주름 2014/07/24 1,101
401101 뇌종양도 가족력 많을까요..???ㅠㅠ 5 ... 2014/07/24 4,054
401100 이제 이 평화로움도 내일이면 끝이나네요...ㅠㅠㅠ 13 2014/07/24 3,228
401099 (세월호 100일-123) 비 2 아마 2014/07/24 812
401098 쌀벌레 퇴치하는 효과적인 방법 알려주세요 6 귀한쌀 2014/07/24 1,203
401097 이효리 코 수술한건가요? 22 .. 2014/07/24 18,539
401096 (세월호 100일-122) 잊지 않겠습니다 물냉비냉82.. 2014/07/24 792
401095 [세월호 100일-121] 잊지 않겠습니다. 행동하겠습니다... 1 에혀 2014/07/24 743
401094 벌집떼러 오셨던 소방관님들 7 울컥 2014/07/24 2,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