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온동슬럼프 어떻게 극복하죠?

조회수 : 909
작성일 : 2014-03-26 08:10:19

운동을 오랫동안 해왔고 늘 즐겁게 했는데요

 

최근엔 운동을 해도 효과도 없고 별로 기분좋아지는것도 없네요.

 

어떤 운동을 해도 몸매가 예전처럼 탄탄해질거 같지도 않아요.

 

헬스개인렛슨도 꽤 남아있는데 연기해야할지...

 

그런데 한두달 쉬면 예전보다 더 후퇴할거 같아서

 

쉬겠단 결정도 잘 못내리겠네요..

 

트레이너들이 회원들 슬럼프로 한두달 쉬는것 이해해주나요?

 

흠...이 슬럼프 어떻게 극복해야하죠?

IP : 115.21.xxx.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3.26 8:15 AM (112.152.xxx.115)

    슬럼프라고 빠지다보면 몇달씩 가더라구요.
    저도 가기 싫고,하기 싫은 날은 최소한의 운동만 하고 오자 라고 생각하고 다녀와요.가서도 강도도 높이지 않지만,안가면 더 스트레스 받아서요.

  • 2. ,,,
    '14.3.26 8:43 AM (203.229.xxx.62)

    몸이 아파서 시작 했는데 처음에 몸이 점점 좋아 지다가 무리해서 일을 하거나 외출을 하면
    두세달에 한번씩 다시 예전으로 돌아간처럼 아파서 운동해도
    소용 없구나 절망적인 마음이 들어서 선생님께 의논 했어요.
    선생님이 운동 효과가 계속 있는게 아니라 살아 있는 몸이라서 좋아졌다 나빠졌다 하면서
    몸을 만들어 가는거라고 아파도 계속하면 좋아 진다고, 운동 안하는것다는 운동 하는게
    훨씬 좋다고 위로해 주더군요. 내 자신이 느끼지 못해도 속 근육이 생기는거라고요.

  • 3. 꾸준히 운동
    '14.3.26 11:11 AM (112.186.xxx.156)

    제가 숨쉬기 운동외엔 암것도 안하고 살다가
    98년도 봄에 크게 깨달은 바가 있어서 운동을 시작했어요.
    당시에 운동이라곤 해본 일이 없어서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일단 줄넘기 운동으로 시작했어요.
    매일 아침에 깨자마자 세수하고
    졸린 눈을 부비면서 줄넘기줄을 가지고 집앞 공터에 나갔었네요.

    그렇게 운동을 시작해서 지금까지 만 16년동안
    이런저런 운동 많이 해왔답니다.
    그 과정에서, 사람은 각자 자기와 궁합이 맞는 운동이 있는 걸 알게 되었어요.
    또 자신의 생활패턴 상 아무리 좋은 운동이라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도 있을 수 있구요.
    그러니까 자기 성향에도 맞아야 하고 실생활에서도 무리없이 할 수 있어야 하더군요.

    또 모든 운동이 조금 물릴때가 있어요.
    이때에도 꾸준히 기본을 해줘야 실력이 늡니다.
    나이들어서 운동을 하는건 젊은이가 운동 배우는 것보다 훨씬 더 힘들고
    어느 단계에 이르기까지 공력도 많이 들어가요.

    그러니까 슬슬 지루해질때도 눈 딱 감고 자기가 계획했던 것만큼은
    꾸준히.. 정말 꾸준히 해줘야 합니다.
    꾸준한 것 외엔 어느 수준으로 올라갈 다른 방도가 없어요.
    공부말고 운동도 왕도는 없다고 봐요.
    더구나 나이들어서 시작한 운동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0724 무식한 질문인데요. 3 무식 2014/04/17 1,186
370723 이번 사건 보면...한심한 공무원 집단들.. 15 참나.. 2014/04/17 2,372
370722 이번 인재는 컨트롤 타워의 부재가 화근이다. 인책론 2014/04/17 840
370721 선장 진짜 이상해요 1 .. 2014/04/17 1,535
370720 현재 우리나라는? 그리고 우리는.... 4 침몰하는중 2014/04/17 1,146
370719 제발 모닝 2014/04/17 645
370718 근데 구조대원들도 죽을힘을 다해 구조하는데..비난하는 거 그만했.. 19 333 2014/04/17 4,051
370717 과실치사 아니예요 1 선장 2014/04/17 1,284
370716 tv를 껐습니다 1 천사 2014/04/17 1,003
370715 다른 선진국들도 이런 대형사고에는 속수무책이었을까요? 7 제발 2014/04/17 1,691
370714 22살 여승무원 박지영 양을 의사자로 선정해야 합니다! 7 참맛 2014/04/17 3,752
370713 이건 사고가 아닌 살인이예요 4 진도여객선 2014/04/17 1,162
370712 여섯살 아이가 세월호에서 구출된 뉴스를 보았어요.. 3 아가야.. 2014/04/17 3,094
370711 그만둬야겠지요? 2 조언 2014/04/17 1,410
370710 헬리콥터 500대도 안 될까요? 7 하자 2014/04/17 2,020
370709 침몰한다는 방송은 10시15분, 선장은 9시 탈출???? 8 참맛 2014/04/17 2,800
370708 선장이 주머니에 돈을 말리고 있었다라... 선장이라는 .. 2014/04/17 2,527
370707 이 와중에 내일 유치원 소풍.. 5 돌돌엄마 2014/04/17 2,546
370706 생존자 많대요. 배에서 구조 기다리고 있대요. 16 아직은 2014/04/17 15,214
370705 2014년 4월 17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4/04/17 1,031
370704 2학년 9반 담임교사 최혜정씨 시신 확인 12 슬픔 2014/04/17 7,643
370703 생명줄이라는 구명보트는 왜 펴지지 않았을까요 4 진홍주 2014/04/17 2,269
370702 동생이 미국서 사는데, 크루즈 여행을 최근에 다녀왔어요. 3 알콩달콩 2014/04/17 5,349
370701 한 영화만 떠오른다는.. 그냥 2014/04/17 1,033
370700 이번사고 박근혜 대통령 책임론 19 진실은폐 2014/04/17 3,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