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싱크대 구조 및 내부

아이디어가 부족 조회수 : 5,023
작성일 : 2014-03-24 12:25:19
아이가 싱크대를 온통 망가트린지 7년
문짝없이 살다가 다시 할려고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싱크대에 부족한 점, 지적 좀 해주세요.

1. 상부장은 없앨까 합니다.
2. 상판은 대리석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인조 대리석? 스텐?
3. 하부장 내부에 이것은 꼭 필요하다 이런 것은 무엇일까요?
     * 냄비 뚜겅 보관함.
     * 서랍은 몇칸이나?
4. 상부장 하부에 고리가 많을 수록 좋겠죠?
5. 싱크대 자체를 원목으로 하는 것은 어떨지...

기타 이것 필요한것은 무엇일까요?

IP : 121.178.xxx.76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4.3.24 12:30 PM (14.52.xxx.59)

    상부장 없애도 돼요
    벽 수평 잘 맞춰서 타일로 시공하세요

    상판 스텐은 기스나서 보기 싫고 인조대리석 정도가 좋아요

    하부장 내부는 서랍이 많을수록 좋던데요,전 그릇이나 냄비도 다 서랍에 보관합니다

    상부장 고리에 뭐 매달면 보기싫어요,특히 통일 안된 조리기구들...

    싱크대 자체를 원목으로 하면 많이 비싼데 관건은 방부처리가 잘 되야합니다
    몇몇 공방에서 해주는데 가격 부담 없으시면 예쁘기야 하죠

  • 2. 저는
    '14.3.24 12:30 PM (1.251.xxx.35)

    상부장 있는게 좋은거 같구요(미관상은 당연히 없으면 좋지만,,집은 잡지가 아니니까요)
    싱크대를 원목으로 하는건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잡지에서 보니 원목에 물튈까 노심초사하던데
    이것도 집은 잡지가 아니니까, 물이 맘껏 튀어도 되는 소재를 할것 같아요.

    싱크대가 상전이 아니니까요^^
    싱크대 하부에는 저라면
    바퀴달린 수납함을 만들것 같아요.

    그리고 씽크대 하부에 쓰레기통이나 재활용쓰레기도 모을수 있게 할것 같구요

  • 3.
    '14.3.24 12:33 PM (61.102.xxx.34)

    1. 집이 몇평이냐 주방 구조가 어떠냐에 따라서 달라 지겠지요.
    그리고 수납공간이 별도로 넉넉하신지? 그게 아니라면 수납공간이 부족해서 힘드실수도 있어요.
    또 살림 스타일에 따라서 노출해놓는것을 좋아 하는지 보이지 않게 감추는걸 좋아 하는지에 따라서도 다르지요.

    집이 평수가 크고 주방이 넓고 별도로 수납장이 크게 있다면 상부장이 없어도 괜찮습니다만
    집이 좁고 수납공간이 없다면 많이 아쉬우실거에요.

    2. 스텐은 좀 너무 싼티 나고요. 물론 이것도 고급버전도 있긴 하더군요.
    인조대리석이 가장 무난 하고 대리석은 많이 비쌉니다.
    요즘은 나무상판도 유행이긴 한데 사용할때 여러가지 주의사항이 있겠죠.

    3. 이것 역시 원글님의 수납과 살림 스타일에 따라서 다르지 않을까요? 그동안 사용 하시면서 꼭 필요 했다 하는걸 넣으심 되는거죠. 남들이 어떻게 이걸 맞추겠어요? 살림 종류나 갯수에 따라서도 다르겠구요.
    저는 써보니 냄비도 그냥 통 수납장 보다는 큼직한 서랍에 넣어 두고 꺼내 쓰니 겹쳐 올리지 않아도 되고 편하긴 하더군요. 다만 이때 서랍은 반드시 튼튼하게 만들어야 합니다.특히 무쇠종류 넣으실거면 더욱 그래요.

    4. 이것 역시 원글님 스타일 따라 다릅니다.
    참고로 저는 주방 상부장밑에 고리 달아서 주방기구 쭉 걸어 놓는걸 아주 혐오 하는 스타일이라서요.
    무조건 안보이게 깔끔하게 쓰는걸 좋아 합니다. 그리고 상부장 새로 해서 걸면서 튼튼하게 하면 괜찮긴 하겠지만 의외로 그 상부장에 무거운거 넣는거 위험 해요. 그거 무너져 내리거나 떨어져서 다치거나 살림들 박살난 사람 여럿 보았습니다. 저는 가벼운거 아님 넣지 않고 있어요.
    그러니 뭔가 주렁주렁 다는것도 전 좀 별루에요.

    5.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견적이 정말 헉 소리 나오더군요. 저도 아는 분이 원목가구 하시는 분이라서 견적 의뢰 했다가 턱빠질번 했네요. 그리고 정말 잘하는 곳에서 하셔야 할거에요. 주방가구만 전문으로 하는 브랜드는 내부나 악세사리류가 잘 되고요. 원목은 그런 브랜드 보다는 따로이 원목가구 하는데서 해야 더 좋은 나무에 좋은 짜임으로 좋긴 한데 이런 곳은 또 싱크 전문이 아니니까 그런 부분이 조금 아쉽기도 하고 그렇더라구요.

  • 4. 원글
    '14.3.24 12:43 PM (121.178.xxx.76)

    감사합니다.
    집은 42평이구, 부엌구조가 옜날식이라 크지 않습니다.

    집에서 보면 상부장은 거의 쓰지핞고, 제일 아랫칸 하나 정도만 쓰더라구요.
    그릇은 많지 않아 수납공간이 크게 필요없고,
    의외로 마른 것들 페트병에 보관을 많이 하는 편입니다.

    원목상판은 무리겠군요.
    무난한 것으로 선택하겠습니다.
    상부장을 없애면 제일 먼저 먼지가 걱정이어서..

  • 5. 그렇다면
    '14.3.24 12:47 PM (61.102.xxx.34)

    상부장을 꽉 차게 넣지 마시구요.
    아래 위로 공간을 주고 작은 사이즈로 다세요.
    어차피 윗부분 칸을 안쓰시면 그냥 손 닿기 편한 위치로만 높이를 작게 해서 달으시라는 거죠.
    그리고 그 안에 마르고 가벼운 것들만 수납 하시거나 하면 좋으십니다. 비는 윗부분에는 뭐 이쁜 소품 같은거 얹어서 장식 하셔도 되구요.

    그리고 전체적으로 다 있어 답답한것 싫으시면 원하는 부분에만 달아 주셔도 좋구요.

  • 6. ..
    '14.3.24 1:03 PM (14.45.xxx.251)

    전 상부장 답답하고 어차피 무거운거 올리지도 못하고 불편해서 없앴어요. 대신 스텐선반 설치해서 스텐냄비들 다 올려두고 쓰는데 남편이 더 좋아합니다. 왜냐면 바로 눈에 보여서 안뒤져도 되니까...냄비뚜껑에 먼지가 앉긴한데 전 어차피 장에 넣어놨어도 이용할때마다 새로 씻어서 쓰기때문에 문제가 안되네요.
    상부장 없애서 부족해진 수납은 허리까지 오는 수납장을 부엌에 따로 만들었는데 이쪽이 훨씬 이용하기 편하다고 잘했다고 하네요. 상부장보다 안정적이라 무거운거 다 들어가고 뭐 꺼내느라 의자 필요없고요.

  • 7. 얼마전
    '14.3.24 2:19 PM (106.69.xxx.152)

    외국인데 지난 연말에 부엌 해 넣었어요. 젤 많이 나가고 무난한 디쟈인으로요.
    하부장은 아주 큰 서랍식인데 (딱 2개) 넓고 문이 서서히 조용히 닫히게 되는 걸로 했네요.
    나머지는 그냥 여러가지 섞어서리..
    원목이나, 대리석 상판 별로구요. 저희는 그냥 평범한 플라스틱 인걸로..다만 싱크대는 무려 50만원 이나 들여서
    검정 플라스틱으로 했습니다. 부딪혀도 소리가 안나게끔.. 집이 좁아서 설거지 스트레스였는 데, 시끄럽다고.. Franko 인가 이탈리안 브랜드라고.. 싼티는 다행히 안나내요.

    상부장은 달을 수 있는 데는 일단 다 달아놨습니다. 수납공간 많아보이게요.

  • 8. 좋기야
    '14.3.25 4:17 AM (210.205.xxx.161)

    상판 스텐이 좋지요.
    근데 스텐 잘 안나와요.추세가 아니라서...

    원한다고해서 생각대로 되는건 아니더라구요.

    저희는 잔이나 그릇이 좀 있다보니..(그릇장 하나 없애고나니 부엌이 난리통) 상부장으 없으면 안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4948 고승덕후보가 딸과의공개카톡날짜가 몇일? 3 카톡한 날.. 2014/06/01 2,997
384947 (교육감 조희연) 급하긴 급한가 봅니다 12 oo 2014/06/01 4,648
384946 고승덕씨 사무실 문닫고 모든 일정 중단했다더니 1 ^^ 2014/06/01 2,859
384945 글 제목 앞에 (교육감 조희연)이라고 붙이자구요 ㅇㅇ 2014/06/01 571
384944 이상면 서울시교육감후보의 충격폭로-문용린 큰일났다 12 집배원 2014/06/01 7,436
384943 “박태준 아들·문용린 후보 야합으로 딸의 글 나온 것 의심” 고.. 6 점입가경 2014/06/01 2,112
384942 부인이 한글을 가르치지 않았다는데 4 고승덕 2014/06/01 3,680
384941 여성 시위자 하이힐에 머리 맞아 피흘리는 경찰관 6 ... 2014/06/01 2,070
384940 (김석준)부산 교육감 5 김석준 2014/06/01 1,370
384939 [긴급]서울 사시는 분들 도돠주세요 4 나무 2014/06/01 1,414
384938 쓰레기 종편 2 추한 몽즙 2014/06/01 1,083
384937 프리미시돈급식과 돈의 흐름 특검으로 2014/06/01 1,040
384936 한계좌에서만 출금가능한 카드를 만들수있나요? 2 현금카드 2014/06/01 801
384935 (문용린)도 기자회견 한다네요... 15 // 2014/06/01 3,817
384934 세월호 참사' 관련 준비하자 중단지시…SBS PD협회 항의성명 3 저녁숲 2014/06/01 1,506
384933 고승덕과 고희경양 카톡 공개 25 ... 2014/06/01 18,868
384932 티벳 버섯 애타게 구합니다 4 쭈니 2014/06/01 1,609
384931 고승덕 기자회견 전문 27 탱자 2014/06/01 3,870
384930 냉장고 혼자 옮겨 보셨나요 ?? 7 늙은 자취생.. 2014/06/01 1,745
384929 서울시 조희연 교육감후보 아들이 서울시민들에게 올리는 편지글입니.. 5 집배원 2014/06/01 1,832
384928 김삼순 아버지 맹봉학님은 지금 4 우리는 2014/06/01 1,889
384927 고승덕 사퇴 안한 건 여러분 덕분입니다. 5 무무 2014/06/01 2,590
384926 코스트코 회 사다가 내일 먹어도 되나요? 5 다시 한번 2014/06/01 2,965
384925 ㄱ ㅅㄷ 화이팅!! 5 광장 2014/06/01 1,118
384924 고승덕이랑 문용린이랑 박터지게 싸워서 8 해피엔딩 2014/06/01 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