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의대공부> 인문계박사공부 넘사벽인가요

// 조회수 : 2,519
작성일 : 2014-03-23 13:08:04
써놓고 보니 제목이 참 황당하게 들리는데;; ㅎㅎ
전 지금 외국에서 인문계쪽 박사 중이고 제 동생은 한국에서 음 사실 의대까진 아니고 의전들어가서 공부중인데요..
뭐 의사공부가 어려운건 알지만 저도 사실 남의 나라 언어로, 논문 죽도록 읽고 쓰고 티칭도 하고..안되는 머리라 그런가 나름대로 머리털 빠지는 중이거든요?.. 근데 저희가족은 동생은 의사공부한다고 무조건 더 힘들고 고생한다는 걸로 늘 단정짓고 말해요.. 가령 제가 동생한테 카톡으로 뭐 좀 부탁하려고 하면 바쁜 애한테 왜 그런걸 시키니 엄마가 늘 그러시고..
제가 뭘 까먹거나 빼먹거나 하면 엄마는 늘 "하물며 바쁜 XX(동생)도 그런건 야물딱지게 챙겨서 하는데 정신좀 차리고 다녀라"이런식으로 말씀..  의사공부 어려운건 알겠는데 그렇게 확연히 다른 레벨, 넘사벽 수준인가요?..
저도 요즘 학업 스트레쑤 때문에 피부가 꺼칠해지고 있다고요..꺼칠... ㅜㅜ
IP : 68.49.xxx.12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4.3.23 1:15 PM (61.79.xxx.99)

    어느게 더 힘든지는 개인차겠지만 두 공부의 방식은 분명 다르네요
    의대 공부는 눈물나는 암기의 연속입니다. 외울양이 어마어마하게 많고 시험도 계속해서 치고 며칠밤을 새어가며 공부해야 겨우 한번을 볼수있을까 말까한 양이지요
    인문계 박사는 잘 모르지만 일단 박사학위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지식을 암기하기보다는 자기만의 세계를 하나 더 만들어가는 창조적인 과정이구요
    창조의 고통(박사학위)과 vs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인 수면박탈, 자유의지 박탈(의대공부)
    이라고 볼수있겠네요

  • 2. ~~
    '14.3.23 1:21 PM (58.140.xxx.106)

    어떤 지휘전공자가 나중에 피아노로 전공을 바꾸었더니
    할아버지께서 말씀하시길
    이제야 그 녀석이 최소한 뭐라도 하려는구나
    하셨대요.
    뭔가 눈에 보이는 것만 카운트할 수 있는 사람의 한계인데
    어쩔 수 없어요.

  • 3. 뭘 카톡으로 부탁하세요?
    '14.3.23 1:33 PM (98.217.xxx.116)

    본인 생활은 본인이 알아서 하셔야지. 그것은 누구 공부가 어렵고 말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 4. 졸리
    '14.3.23 2:00 PM (121.130.xxx.127)

    의대는 일단 공부양이 넘 방대해요
    그런데 그걸가지고 시험을 보니 정말 힘들죠
    무조건 외워야해요
    따지다간 시간 다갑니다


    박사공부는 뭔가 창조를 해야하니 그건 의대와는 좀 다른 스트레스죠

  • 5. 솔직히
    '14.3.23 4:50 PM (116.121.xxx.142)

    의대가 더 힘들긴 해요. 박사 논문 물론 스트레스 되지만 의대-레지던트처럼 하는 사람 저는 미국 아이비리그에서도 별로 못봤네요. 인턴 때는 일주일에 총 10시간 잤다는 둥 그런 얘기도 많던데 박사 공부 그렇게 하면 학위 3년만에 딸 거 같아요. 저는 각각 다른 전공으로 박사과정 2번 경험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 6.
    '14.3.23 8:00 PM (175.223.xxx.107)

    저 미국에서 인문계다니다 의전다니고 있는데요....상상초월이에요.... 공부내용이 어렵다기 보단 양이 너무 방대하고 일주일에 시험 한 번씩 보는데 한 번 실수하면 유급이구요. 그래도 저 미국에서 학교다닐 땐 좀 더 인간답게 살았던 거 같아요.... 공부공부공부 잠하면 일주일 끝이에요...원래 저꾸미는거 좋아했는데 점점 시간이 없다보니 썬크림만 바르네요 ㅠㅠ 박사는 그래도 방학도 있고 하지 않나요?

  • 7. ...
    '14.3.24 4:50 AM (142.157.xxx.14)

    박사는 방학 없습니다. 의대 공부가 체력적으로 더 힘이 드는 건 양적인 면에서 더 힘들 수도 있다고 할 수 겠지만...인문계 박사과정을 외국에서 하신다면..그것도 다른 의미에서 힘이 든다고 할 수 있겠네요.

    가까이 있는 동생의 고생이 더 보이시 건 부모 입장으로서 당연한 겁니다. 그런 걸로 서운해 하지 마세요.

    저는 학업의 수준으로만 따지자면 의대공부보다...박사과정을 위한 학업이 더 높은 차원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의대 졸업해서 가지고 있는 지식만 가지고 의사를 시작해도 논문 쓰고 하다보면 다른 차원의 것이지 직접적인 비교대상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생각하면 암기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의대공부가 더 편할 것이고..깊이 사고하는 걸 즐겨 하는 사람은 박사공부가 더 편하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6954 이럴 경우 어떻게 하는게 현명할까요. 4 ㅊ초5 2014/06/06 1,336
386953 결혼 정보회사의 재혼남? 7 고민 2014/06/06 3,584
386952 장롱(가구)에 지폐를 붙이는 행위는 어떤 이유로 하는건가요? 1 미신 2014/06/06 1,426
386951 서른 후반.. 평생을 할 운동이 뭐가 좋을까요? 17 운동 2014/06/06 6,349
386950 보수에 가까운 내가 진보교육감을 뽑은 이유 /펌 9 진짜있었을듯.. 2014/06/06 2,461
386949 언론개혁프로젝트가 많이 힘드네요... 7 추억만이 2014/06/06 1,221
386948 마른오징어 물에 몇시간 정도 불리나요? 2 부침개 2014/06/06 2,090
386947 일반글) 남편에게 맞은 기억은 지워지지 않나요? 13 언제쯤 2014/06/06 3,409
386946 전년 대비 국세 수입 실적- 법인세 2조천 , 근로소득세 +2조.. 참맛 2014/06/06 1,210
386945 마트에서 파는 자장면 맛있는거 추천요! 17 그네하야 2014/06/06 3,764
386944 퇴직연금제도 잘 아시는 분 조언 부탁드려요! 2 노후가 중요.. 2014/06/06 1,308
386943 안양시장 재검해서 새누리됫다는데 경기 부산 뭐하나요 3 새누리는가능.. 2014/06/06 2,609
386942 퍼즐연산 잘푸는분~풀어주세욤 6 수학연산 2014/06/06 981
386941 안철수 대표를 귀하게 여기시는 안철수 지지자님들께... 71 체면 2014/06/06 2,654
386940 [펌] 김준엽 전 고대총장님 변(辯).jpg 10 저녁숲 2014/06/06 2,224
386939 개인주의가 만개한 사회를 소망합니다. 10 .. 2014/06/06 2,567
386938 적양파즙 다인님과 대추 하늘정원님 보세요 1 무지개마마 2014/06/06 1,642
386937 군대간 아들이 4 궁금맘 2014/06/06 2,269
386936 마성의 도지사레요 ㅋㅋㅋ 22 2014/06/06 12,695
386935 갑상선암이셨던분들... 10 힘들다 2014/06/06 4,492
386934 동작구, 우광재를 소환하라~~!! 9 재보선 2014/06/06 3,002
386933 개도 밥주는 사람 알아보는데 7 세월호 2014/06/06 1,459
386932 손뉴스.. 서복현기자를 맬 보니 정 들었어요 ㅎㅎ 3 마니또 2014/06/06 2,345
386931 안희정 선거기간에 이런 일이... 25 참~~ 2014/06/06 12,060
386930 순금의땅 보신분 계세요?.여주답답.. 4 ㅇㅇ 2014/06/06 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