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명절에 남편 혼자 시외가 가는 것.. 어떻게 생각하세요?

셀프효도 조회수 : 4,008
작성일 : 2014-03-17 17:10:02

전날 시댁 가서 음식하고 하룻밤 자고 다음날 12시 넘어서 저희 부부는

저희 집으로 옵니다. 와서 좀 쉬다가 저녁 즈음에 친정으로 가서

저녁을 먹고 하룻밤 잡니다.

다음날 남편 혼자 시댁으로 다시 가서,

시부모님과 시누이 부부와 함께(사위도 같이) 다같이 시댁 외가로 갑니다.

가서 남편은 시외할머니 및 조카들에게 선물 및 용돈을 주고 옵니다. 돈쓰고 오는거죠.

왠지 못마땅한데.. 셀프 효도니까 그러려니 해야겠죠?

저까지 데려가는 건 아니니까요.

IP : 119.198.xxx.237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정도는...
    '14.3.17 5:13 PM (110.12.xxx.202)

    봐주셔야죠.원글님보고 같이 가자는 것도 아니고...

    그래도 남편분께는 외할머니이고 조카들인데 일년에 두번 있는 명절날 선물이랑 용돈드리는 것 까지 못마땅

    하시는 건 좀 그래요.

  • 2. ..
    '14.3.17 5:15 PM (122.36.xxx.75)

    본인이 좋아서 가는건데 어쩌겠어요 보통은 시댁이나 남편이 같이 가자하는데
    안가는것만해도 땡큐! 하세요

  • 3.
    '14.3.17 5:16 PM (121.160.xxx.193)

    못마땅 하신가요?
    원글님께 같이 가자고 안하셔서요?
    설마... 돈이 아까우셔서요?

    남편분 입장에선 외할머니고 외삼촌이고 조카들이예요.
    어린 시절부터 쌓인 정이 있을텐데요.
    찾아 뵙고 싶고 뭐라도 드리고 싶은 건 당연한 거 아닌가요?

  • 4. ....
    '14.3.17 5:16 PM (112.220.xxx.100)

    돈쓰고 오는거죠...........라니...........;;

    울 올케는 안 이래서 얼마나 다행인지...-_-
    친정가기전에 꼭 부모님이랑 같이 외할머니 보로 외갓집 들리는데..
    반전은 울 외할머니랑 성이 같이서 둘이 너무 친한...ㅎㅎㅎ
    제가 질투날 정도로..ㅋㅋㅋ
    그냥 그렇다구요~

  • 5. 셀프효도
    '14.3.17 5:17 PM (119.198.xxx.237)

    본인이 좋아서 가는 건 아니고.. 시어머니가 끌고 가는 거에요. 자기 딸을 데려가니 차마 저한테는 가자는 얘기를 못하시는 거고.. 남편 갈때마다 돈 깨지니 좀 짜증나네요. 제가 외가가 없는 것도 아니고. 저도 챙겨야겠어요.

  • 6. --
    '14.3.17 5:17 PM (121.141.xxx.92)

    같이 가자고 안 하는 거면 그냥 넘어가세요. 결혼하면 명절 때 외할머니도 못 뵙나요?

  • 7. 셀프효도 보다
    '14.3.17 5:18 PM (180.65.xxx.29)

    용돈 주는게 못마땅한것 같은데 그러지 마요. 원글님 애낳고 그애가 원글님 엄마에게 용돈주는거
    못마땅해 하고 하면 어떤가요?

  • 8. 셀프효도
    '14.3.17 5:18 PM (119.198.xxx.237)

    남편은 사촌과도 정이 없는 사람이에요.

  • 9. ..
    '14.3.17 5:19 PM (222.110.xxx.1)

    돈 쓰고 오는거 못마땅할수도 있죠
    같이 벌어서 나는 천원한장에도 벌벌떠는데 남편만 매번 명절마다 몇십만원씩 자기식구들에게 혼자 기분내고 오면 좋을리가 있나요

  • 10. 카틀레아
    '14.3.17 5:21 PM (121.166.xxx.157)

    그냥 다 싹끊고 살았으면 좋겠죠? ^^

  • 11. 셀프효도
    '14.3.17 5:22 PM (119.198.xxx.237)

    돈을 적당히 써야 말이죠. 명절때 친정대비 시댁엔 4,5배 돈이 들어가니 못마땅하네요.

  • 12. 셀프효도
    '14.3.17 5:23 PM (119.198.xxx.237)

    아.. 결국은 돈이 문제였네요. 돈이 웬수야..

  • 13. 헐...
    '14.3.17 5:24 PM (1.243.xxx.53)

    그럼..남은 명절은 님혼자 지내는건가요?

  • 14. 헐..
    '14.3.17 5:25 PM (1.243.xxx.53)

    그럼..남편이 시가에 가는동안..님도 혼자서 친정가세요
    그게 공평하죠

  • 15. ..
    '14.3.17 5:26 PM (222.110.xxx.1)

    다음번 명절에는 원글님도 원글님 외할머니까지 찾아뵙고 남편이 쓰는거랑 똑같은 금액으로
    현재 친정에 들어가는 돈의 4,5배 쓰고 와보세요. 남편이 뭐라고 하나.

  • 16. 원글이가 천원한장에
    '14.3.17 5:26 PM (110.70.xxx.164)

    떠는지는 알수 없고 결론 애친정보다 시댁에
    더 가는것 같아 심술난다.....님이 더버시고 친정에
    더 주시구랴 공평좋아하니

  • 17. 친정에도
    '14.3.17 5:28 PM (180.65.xxx.29)

    외할머니 있다면 명절에 용돈 드리세요. 명절 2번인데 그정도는 드릴수 있다봐요

  • 18. 뭐라고 하는 분도 계시지만
    '14.3.17 5:38 PM (122.34.xxx.34)

    결국 시어머님이 본인 친정나들이에 자식들 대동하고 가서 자식 농사 잘졌다 자랑도 한껏 하시고
    그다음 본인돈 아닌 자식돈으로 자기 친정에 기분 내고 오는거네요
    님은 싫으실수도 있지만 어머님 입장에서는 일년중에 가장 크게 자식 키운 보람 느끼실 시간 같네요
    아마 가지도 않는 며느리가 싫다고 하면 시어머님 입장에서는 뒷목잡고 넘어갈 일이죠
    내 아들이 자기 외할머니 조카들 챙긴다는데 왜 암것도 안하는 며느리가 !!! 할 노릇이죠
    특히 결혼전부터 그래왔다면 더군다가 뭐라고하기 힘들어요
    현실적으로 금전이 문제다 그런다면 ....억만금을 쓰고 오는건 아닐테고
    친정에도 같은 금액 하고 싶다가 차라리 말이 되지 나 그돈 아까우니까 이젠 하지말자 할 명분 찾기 힘들어요
    돈 문제로 공평찾기 시작하면 님 가정이 흔들리고 둘사이 믿음이 깨지고 말아요

  • 19. ..
    '14.3.17 5:39 PM (58.225.xxx.25)

    그럼 님 남편은 보통 3일 있는 명절 중 두번째날 오후에 처갓댁 가서 함께 저녁먹고 처갓댁에서 자고...그게 끝인가요? 명절 마지막날엔 본인 외가를 가면...3일 중 이틀은 그냥 자기 집 식구들과 보내는거나 마찬가지네요?

  • 20. 흠.
    '14.3.17 6:38 PM (219.251.xxx.135)

    저도 시외가 방문 문제 때문에 속 좀 끓였어서.. 원글님 심정 이해는 해요.
    다만 저는.. 제 친정은 못 가게 하고, 시외가에 명절 당일에 끌려가야 해서 끔찍했었고요..
    시외할머니와 조카들에게 용돈 주는 건 당연하다 생각해요.
    그래서 남편 혼자 다녀온다면 대대환영일 것 같습니다^^;

    참고로 맞벌이고요, 남편과 수입은 비슷한데 시댁에 쓰는 돈은 5배쯤 되네요.
    그런데 친정 가면 애들 용돈 명목으로 드린 돈의 5배는 받아요... 시댁에서는 한 푼도 못 받고요.

    이제는 명절 당일에 시외가 안 가지만.. (동서 들어오고, 시외숙모임이 암에 걸리면서 안 가게 됐죠. 외숙모님이 얼마나 힘드셨을까 싶어 안쓰럽더군요..;;)
    명절이면 저보다 남편이 스트레스를 받아서 (자꾸 돈 달라는 시댁과 조금이라도 더 주려는 친정이 비교되니깐요) 짠한 마음에.. 명절 전주에 시외할머니만 시댁에 오시라고 해서 용돈 챙겨드리네요.
    조카는 아직 없어서 시외삼촌댁 아들인 남편의 외사촌동생에게 기피프트콘.. 보내고요.

  • 21. 셀프의 어려운 점은
    '14.3.17 7:21 PM (59.6.xxx.151)

    감정적 독립도 되어야 한다는 거고요

    양상차뱔 주장하는데(저 역시, 아니 특히)
    왜 시외가는 늘 외가 라 한치걸러 두치의 느낌으로들 대하시는지.

    나무 번다하고 생활에 지장을 주는게 문제라면 모를까
    시외가라서 문제가 되는 건 아니겠죠

  • 22. ...
    '14.3.17 7:32 PM (121.181.xxx.223)

    시외가 갈 수 있죠..외가나 친가나 똑같이 생각해야해요..내아이가 친가만 챙기고 외가 안챙기면 좋겠습니까.

  • 23. 외가를 챙기는것보다는
    '14.3.17 7:40 PM (122.36.xxx.73)

    명절에 님가족들끼리 보내는 시간은 없는게 문제네요.차라리 설전날 어차피 님 시댁서 일하고나서 저녁먹고 남편과 둘이 인사드리러가세요.글고 명절 마지막날은 두분(아직 애기없는거죠?) 영화보러가거나 하시죠 뭐

  • 24. ...
    '14.3.17 10:33 PM (1.242.xxx.102)

    직장인이라 아들을 친정엄마가 키웠어요
    장가든 지금도 엄마보다 외할머니를 더 챙겨요
    엄마는 씩씩하니 걱정안되지만 오할머니는 연로하셔 애틋한가봐요
    명절도 생일도 똑같이 챙기고 찾아가요
    내할일을 할머니가 하셨으니 챙기는것도 내가할테니 너는 다른손자들만큼만하라해도
    끝까지 잘해드리고 싶답니다
    할머니께 용돈드린것 내게준것 모두 계산해놨다가 더 보태서 무슨일 있을때 돌려주네요
    겨울될때 캐나다 구스도 사주고 며늘 공부자금도 보태주고요

  • 25. 도대체 왜
    '14.3.17 10:39 PM (59.6.xxx.71)

    자식 끌고가서 자식들 지갑 털어내가며 친척들한테 자식유세 하고 싶어하는지 이유를 모르겠어요. 얼굴도 모르는 친척 결혼식에 끌고가서 고액 축의금 내게 하는것도 웃기고. 자존감이 떨어지는건지...무식해서 그런건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8201 백제사 최고의 근성가이 아신왕 3 mac250.. 2014/07/15 1,670
398200 급)고속버스 창원,창원역 어디서 내려야하는지요? 5 궁금 2014/07/15 2,870
398199 파주 롯데캐슬 분양받는거 어떨까요? 아파트 2014/07/15 1,551
398198 [잊지않겠습니다] 엄마의 오열... 6 청명하늘 2014/07/15 1,667
398197 종이 블라인드 써보신분.. 1 눈부셔 2014/07/15 2,923
398196 관리자님, 댓글 60개 달린 글을 삭제하시면? 18 .. 2014/07/15 2,332
398195 새누리 새 대표 김무성…'친박' 서청원에 압승(종합) 세우실 2014/07/15 1,896
398194 중1에게 피씨방가는 거 허락하시나요? 8 중딩 2014/07/15 2,122
398193 갤럭시s5 화면캡쳐 잘되세요?다른방법없나요? 3 2014/07/15 5,451
398192 창만이 등빨 1 유나짱 2014/07/15 1,483
398191 자산 상황 3 ᆢᆢ 2014/07/15 2,129
398190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7/15am] 김무성 대표됐다. 그래서 뭐.. lowsim.. 2014/07/15 1,296
398189 4인가족이면 네 명이 수건 다 따로 쓰나요? 30 수건 2014/07/15 5,079
398188 제주 해군기지 케이슨 파손..입지 선정 재논란 롯데월드미래.. 2014/07/15 1,167
398187 중요한 일 앞두고는 상가집 안가는 게 좋은가요? 7 문상 2014/07/15 5,782
398186 2014년 7월 15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4/07/15 1,343
398185 운전 연수 받기 전에 차를 구입하려니 모르겠네요. 5 숙제 2014/07/15 1,414
398184 오미자즙 내고 남은 설탕 2 달달한 인생.. 2014/07/15 1,087
398183 더운 여름날 손님 30명 치릅니다. 음식 추천해주세요^^ 15 여름손님 2014/07/15 3,994
398182 욕실 곰팡이 냄새 히잉 2014/07/15 2,193
398181 완전한 어둠엔 빛이 있다 갱스브르 2014/07/15 953
398180 얼...미세먼지가 최악인가봐요.. 2 ㅇㅇㅇ 2014/07/15 2,628
398179 귀차니스트 뱃살 빼기 절반의 성공 177 뱃살 2014/07/15 24,772
398178 유산균은 꼭 먹어야 하나요 2 유산 2014/07/15 2,949
398177 스텐팬 요령 40 2014/07/15 6,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