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동생을 어디까지 도와주어야 하는지

고민 조회수 : 2,857
작성일 : 2014-03-16 00:45:44
자세히 얘기하기는 그렇고...

동생이 생활기반을 잃었어요

본인이 지금 벌고는 있고


이미 빌려준돈도 8천정도고 ..

사실 그만큼 돈이 갈때까지는 이번이 마지막이다 식이었고..

음..  사실 앞으로도 틈틈이 도와줄 일 생길텐데...

참 신경쓰이고 그렇다고 현재 내 수중에 돈은 있지만 나도 쉽게 버는 돈 아니고 노후를 위해 모아야 하는데...

혹시 형제,자매분들이 어려울때, 어떤 기준을 가지고 도와 주시는 지요?

어이 없는 말이기도 하지만..   

동생 생각만 하면  힘이 드네요.




IP : 175.125.xxx.245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좋은언니시네요
    '14.3.16 12:56 AM (112.214.xxx.152)

    이미 간 액수만으로도.. 동생이 벌고있다하니 이젠 밥으로만 응원하세요. 우리 자매는 돈얘긴 입도 뻥긋 못할분위기라.. 좀 부럽네요. 저리 생각해주는 내편인 언니라니. 동생도 알거예요.

  • 2. oops
    '14.3.16 1:00 AM (121.175.xxx.80)

    마음가는데까지 도우시면 되고 또 결국은 그렇게 되겠죠.


    문제는,
    원글님의 그 아름다운 배려가 혹시라도 동생분의 자립심을 해치지는 않을까.... 늘 그런 부분을 살피시길...

  • 3. ,,,,
    '14.3.16 1:05 AM (58.237.xxx.106)

    원글님이라도 기반을 탄탄하게.
    동생이 벌고 있다니 지금은 지켜보세요.
    돈 주는 게 능사는 아님.

  • 4. ..
    '14.3.16 8:01 AM (175.112.xxx.17)

    평생을 저희 엄마께 기대는 엄마 남동생 제겐 외삼촌
    가족도 없고 지금은 나이드신 엄마대신 제가 간간히 병원이나 그밖에 사고친거 수습하러 다니는데요
    돈은 제가 나서면서부터 딱 끊었어요
    진찌 평생이더군요... 그
    자립할 수있게 지켜봐주는게 현재로선 더 도움되는거라고 생각해요

  • 5.
    '14.3.16 8:09 AM (221.151.xxx.147)

    끊으셔야 합니다
    평생을 그렇게 살게 될겁니다.
    지금은 누나 돈, 그 다음은 부모님 집도 잡혀먹고
    온 식구 돈 다 들어 먹습니다. 그리고 빚까지 지고요.
    나중에 계산해 보니 그동안 번게 아니라 빌려간 돈으로 생활 한거더군요.
    월급이나 따박따박 타면서 아끼면서 살면 빚 안질텐데
    사업이니 뭐니 한다고 하면서 헛꿈 꾸며 돈을 뿌렸더군요.
    8천만원씩이나 가져가고도 또 손을 벌린다면
    이미 선을 넘은 것이니 이참에 선을 확실히 그으세요.

  • 6. 저는
    '14.3.16 10:13 AM (59.15.xxx.240)

    기반을 잃었고 다시 일어나야하는데 그개 어렵다면
    혼자 일어설 수 있을 때까지 도와줍니다

    약간의 도움이 진창에서 나올 디딤돌이 될 만큼이요

    그리고 그 돈은 내가 없어도 현재 내 가정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규모예요

    근데 대체 어느 정도길래
    이미 들어간 게 8천이고
    돈을 버는데도 앞으로도 들어갈 돈이 또 있다는건지...

  • 7. ..
    '14.3.16 11:14 AM (118.221.xxx.32)

    벌고ㅜ있는데 왜 자꾸 빌려달래요
    버는 안에서ㅡ살아야죠

  • 8. ...
    '14.3.16 11:37 AM (121.158.xxx.107)

    제 경우를 말씀 드리면 시동생네 길에 나앉게 되고, 신용불량으로 몰릴 때 이대로 두면 가정파탄에 인생까지 무너지겠다 싶어 오히려 신랑 반대 무릎쓰고 도와주었네요. 결혼할 때 시어머니가 얻어 주셨던 전세금 4천만원은 어디로 날아갔는지 이미 다 날아가서 월세로 살고 있었구요. 계속 지켜보고만 있으면 큰일 나겠더라구요. 하나 믿은거라고는 시동생이랑 동서가 기본 심성이 착한 사람들이라는 것 하나였네요. 다만 경제 관념이 부족해 없는 살림 쪼개 살지 못하고 운이 나빴다고 보았거든요. 그 때 동서 앞세워 카드 돌려막기 하던 은행마다 찾아가 대출금 상환하고, 그 자리에서 카드 해지하고 가위 들고 카드를 잘랐네요. 동서 자존심 상했겠지만 이 것도 못 이기면 세상에 어떻게 나가 살겠느냐고 일부러 독하게 델고 다니며 눈 앞에서 잘랐어요. 카드 4개 해지하고 빚진 돈 이 것 저 것 갚는데 한 5천만원 들어갔던 것 같아요.
    그 후에도 사실은 비슷한 사건이 한 번 더 있었구요, 그 때도 신랑이 펄펄 뛰었지만 동서 이혼하고 시조카 둘 내가 키우게 되는 상황보다는 더 났다며 또 한 번 제 의견 밀어붙였었네요.

    결론은 지금은 시동생 성실히 일하고 있고, 집도 30평대 내 집 마련 했구요, 오손도손 잘 살고 있네요. 울 동서 저한테 어찌나 잘하는지 제가 다 미안할 지경이구요. ^^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 두 번 무너질 때 도와주는 손길이 있느냐 없느냐가 정말 많은 걸 결정하는 것 같아요. 저희 부부 결혼 후 3년동안 악착같이 저축한 돈의 거의 전부를 털어 넣고 돌려받지 못했지만 지금도 아깝다 생각은 안합니다. 돌려받을 생각도 없구요. 그저 그 집 4식구 행복하게 사는 것, 저희 시어머니 편히 눈 감으신 것 그 것 하나로 제 평생 가장 잘한 일 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 9. ...
    '14.3.16 12:02 PM (182.226.xxx.93)

    윗님 진짜 훌륭하십니다. 저같으면 그렇게 못했을 것 같네요, 두 번 씩이나. 한 가정을 구하셨네요.

  • 10.
    '14.3.16 1:57 PM (182.222.xxx.219)

    위에 ...님 진짜 대단하시네요. 보살이 따로 없으십니다.
    82에서 보기 드문 분이세요.

  • 11. 와 정말
    '14.3.16 4:51 PM (182.210.xxx.57)

    ...님 훌륭한 분이네요. 존경스럽습니다.
    시동생분이 도와준 사람 욕되지 않게 일어선 것도 기쁘고요.

  • 12. 121님 대단하세요.
    '14.3.16 9:14 PM (188.23.xxx.220)

    님 글 많이 올려주세요.

  • 13. ...
    '14.3.16 10:45 PM (121.158.xxx.107)

    처음에는 단순하게 생각했었어요. 지금 우리가 도와주지 않으면 100% 가정해체에 자칫 잘 못하면 감옥까지 갈 수도 있는 상황인데 그 것보다는 지금 도와주는게 낫다라구요. 남편은 정신 차리게 그냥 두라는 의견이었고 제대로 바닥을 보게 해야 나중을 위해 낫다는 생각이었는데, 그 생각이 맞았었는지는 아직도 의문이에요. 왜냐하면 좀 더 작은 규모이기는 하지만 비슷한 사고를 그 후 2년 이내에 한 번 더 치고 또 다시 수습을 해주어야 했거든요. 작은 규모의 벌이에 맞게 결핍에 익숙해져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던 두 사람이다 보니 또 다시 카드 빚을 쌓았더군요. 두 번의 바닥과 도움으로 끝난 것이 우리 두 가족에게 모두 행운이 따랐던 것이라 볼 수도 있겠지요. 선뜻 도와줄 수 있던데에는 친정 친척분이 없는 집 장남에게 시집 가 집안 전체를 일으켜 세우는 것을 보았던 탓도 있을거에요. 먼저 자신부터 일어 선 후에 동생 하나를 서포트하고, 다시 그 동생과 힘을 모아 그 밑의 동생을, 또 그 다음까지... 네 형제 모두 지역에서 산다 하는 집이 되었지요. 선순환의 좋은 예를 가까이서 본 것이 도움이 되었고 운도 따랐다 생각합니다.
    잡으라고 내민 손까지 잡아 당기며 주저 앉는 예도 없다 할 수 없으니까요.

  • 14. //
    '14.3.17 1:44 AM (211.209.xxx.95)

    윗님 참 대단하십니다. 마음 씀씀이가 따뜻함을 넘어 대인배 십니다.
    각박해지는 82에서 이런글 참 좋네요.
    사랑합니다..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1545 지난번에 드디어 살이 빠진다고 글 썼었죠...^^ 8 비는 엄청 .. 2014/06/23 3,995
391544 인터넷기사보는데 맞춤법 가관이네요. 8 어이무 2014/06/23 1,676
391543 낮잠을 자도 키가 크나요?? 2 낮잠?? 2014/06/23 7,340
391542 새누리 대변인, 문창극 청문회 기회 주어져야 8 Sati 2014/06/23 2,042
391541 맨날 다이어트 한다는 사람 4 다이어트 2014/06/23 2,213
391540 세월호 참사를 성찰하는 '시민토론회'와 '시민집담회' 기억하겠습니.. 2014/06/23 936
391539 아마존 직구 4 50대 아줌.. 2014/06/23 2,900
391538 서울숲 안의 뚝섬승마장 운영되고 있나요? 궁금이 2014/06/23 1,457
391537 도와주세요 csi !!! 7 대체뭐냐 2014/06/23 1,270
391536 경제학과 전자공 복수전공 12 복전 2014/06/23 3,058
391535 어제 축구시합은 대한민국을 그대로 보여주네요. **** 2014/06/23 1,386
391534 살안찌는 집들 반찬 어떻게 해드세요? 아이들... 41 2014/06/23 13,721
391533 가정용 혈압 측정기 추천해주세요 3 선물할거예요.. 2014/06/23 2,478
391532 드라마 육남매의 장남 오태경.. 4 우연히 2014/06/23 3,049
391531 마녀사냥.. 성시경의 큰고모 딸이 조카에요? 6 사소한 거지.. 2014/06/23 7,133
391530 환율 70%,80%우대.무슨 뜻인가요? 4 환전 2014/06/23 28,389
391529 신발 브랜드 좀 추천^^ 3 as 2014/06/23 1,940
391528 동네 꼬마들하고 친해지면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3 2014/06/23 1,037
391527 차두리가 왜 사과를 하는지...뭘 잘못했다고?? 15 .... 2014/06/23 13,544
391526 美언론 - 한국, 월드컵 나올 자격 없는 팀 6 진짜? 2014/06/23 3,521
391525 제주도 2박3일 여행후기 12 콩이 2014/06/23 5,421
391524 이등병 대근이에게 무슨 일이 생겼던 걸까 3 부대내 가혹.. 2014/06/23 2,686
391523 캄보디아 출장... 괜찮을까요? 2 캄보디아 2014/06/23 1,478
391522 자동차 좀 골라주세요~~ 12 차바꾸고시포.. 2014/06/23 2,298
391521 아래 화장지 글 읽고 이나라 교육이 진짜 7 교육 2014/06/23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