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어머니 환갑잔치 해드려야 하나요..?

조회수 : 10,324
작성일 : 2014-03-14 09:20:44

82에서 환갑잔치 어쩌고 나오면 100세 시대에 정말 말도 안되는 이벤트라고 생각했는데....

전 그냥 간단히 직계 가족끼리 밥 먹고(이것도 외식은 절대 안하심)

평소 드리던 것보다 용돈 좀 더 드림 된다고 생각했어요.

 

저희 부모님과 시아버님은 결혼 전 다 환갑이 지나셨고,

시어머님 환갑만 남아 있습니다.

 

시골분들도 아니신데 시어머님 친형제자매(많습니다. 8남매...)분들은

전부 다 환갑잔치를 친척 모아놓고 다 하셨나봐요.

 

남편은 그 동안 얻어먹은게 있는데 어찌 우리만 안하냐고 하는데

정말... 환갑잔치라는 걸  해야 하는걸까요?-_-;;

시부모님들이 경제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도 아니고 하게 되면

저희가 금전적인 부담은 100%인데, 모이면 서른명 넘습니다.

 

정말 하고 싶어 하실까 싶어 아직 시어머니께는 얘기 안 꺼냈습니다.

자식들이 해드리겠다 하면 거절하실 분은 아니셔서;;;

IP : 168.248.xxx.1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3.14 9:25 AM (117.111.xxx.162)

    에구 이십년전에도 환갑잔치 안하시는 분들 많았어요.
    요즘 제주변의 60초반분들중 그렇게 친척들 다 모아놓고 생일하시는 분들 없던데요. 아직 기력 팔팔하시니 자매분들 같이 여행이라던가 부부동반여행 그정도에요.
    어쨌든 일반적인 생일보다는 좀 돈을 쓰죠(*_*)

  • 2. ㅇㅁ
    '14.3.14 9:26 AM (203.152.xxx.219)

    얻어먹은게 있고 그 형제들 환갑에 낸 돈이 있으면 그 시어머님 형제분들은 부르세요.
    그형제들 환갑에 낸돈이 있으면 빈손으로야 안오시겠죠.
    아무리 외식 싫어한다고 명색이 환갑잔치라고 하면서 집에서 하자고야 안하시겠죠.
    그냥 좀 괜찮은 홀 하나 빌려서 시어머님 형제분들하고 자녀들 모아서 밥한끼 드세요.

  • 3. ...
    '14.3.14 9:27 AM (118.221.xxx.32)

    시가 일은 남편이 하잔대로 하는게 편해요
    형제들끼리 다 초대해서 밥 먹었으면 안하긴 어려우니 적당한데서 하면 어떨까요
    그러면 칠순까지 10년은 별말 없을거에요

  • 4. 케바케
    '14.3.14 9:27 AM (39.7.xxx.209)

    여기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친정부모 환갑에
    언니랑같이 각1500드린다는 글도 있어요.
    대부분 식사 해외여행(친정인경우 건강할때 보내드린다고 크루즈 여행 보내는집도있고)
    여긴 친정이냐 시댁이냐 시누냐 올케냐 친구냐 따라180
    도 다른 댓글 달리니 참고만 하고 오프에서는 두발 땅에 딪고 있자구요 융통성있게

  • 5. 사탕
    '14.3.14 9:29 AM (118.42.xxx.125)

    친정아빠는 가족끼리 밥만먹었고, 시댁은 시골이라 그런지 두분다 하셨어요. 동네어르신들 다 하는 분위기더라구요. 주위에서 너도 나도 하면 그냥 해드리는게 나을거같네요. 없는자리에서 누구 자식은 어쨌니 저쨌니 말 나오느니...시어머님도 대놓고 해달라고는 안하셔도 내심 바라실거같네요.

  • 6.
    '14.3.14 9:29 AM (122.34.xxx.30)

    요즘 환갑잔치는 거의 하지 않죠. 적으신대로 가족끼리만 좀 특별히 축하하고 지나가는 게 대세예요.
    같은 맥락에서 아이 백일 잔치도 안 하게 되었죠. 영아 사망율이 급감한 시대니까요. 사실 칠순이나 돌잔치도 하기엔 명분이 적어진 시대이고요, 팔순에 이벤트 펼치는 정도가 적당할 듯.

  • 7. 잔치는 민망
    '14.3.14 9:31 AM (115.140.xxx.74)

    할거같구요..

    시어머님 형제분들과 밥한끼정도 대접혀드리셔요.
    부페 예약하셔서

  • 8. 잔치는 안해도
    '14.3.14 9:32 AM (180.65.xxx.29)

    돈은 더 들지 않나요? 식사하고 기본 두분 해외여행이던데 용돈도 드리고

  • 9. 핑계김에
    '14.3.14 9:32 AM (110.47.xxx.111)

    어머니 형제들끼리 식사한번 하는거다 생각하고 적당한곳에서 식사대접하세요
    그정도면 큰돈 들어가진않잖아요

  • 10. 사탕
    '14.3.14 9:35 AM (118.42.xxx.125)

    잔치라는게 그냥 식당가서 형제분들 모셔놓고 밥먹는거잖아요. 어렵게 생각할 필요없어요. 봉투들어온거 그거 드림 되고요.

  • 11. 다른 형제분들
    '14.3.14 9:36 AM (114.204.xxx.23)

    하셨다면 형제분들만
    모시고 식사해야죠.

  • 12. 좋은날
    '14.3.14 9:42 AM (14.45.xxx.101)

    요즘은 칠순잔치도 하지 말자고 해요.
    그냥 해외여행가게 경비달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냥 가까운 친척 불러서 저녁한끼하시고.
    환갑잔치라. 요즘은 민망하네여 ㅎㅎ

  • 13. 맞벌이면
    '14.3.14 9:45 AM (175.223.xxx.165)

    내돈 쓰지 말자고 하고
    전업이면
    자기돈도 아닌데 남편 하자는대로 하세요.

  • 14. 식사
    '14.3.14 9:48 AM (118.37.xxx.27)

    잔치는 모르지만 어머님이 원하시면 적당한 부페집 예약해서 식사 대접하세요.
    솔직히 식사 대접이 제일 비용도 적게 들고 편하실껄요.
    저희도 잔치는 안했지만 부모님 모시고 식사하고 두분 해외여행 보내드리고 여비 드리고 하니까 3형제인데 각자 250씩 냈어요.
    차라리 잔치가 더 싸게 들거 같아요

  • 15. ...
    '14.3.14 10:07 AM (175.223.xxx.201)

    제가 지금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이유는
    1. 남편이 4개월째 무직 상태입니다. 어디든 조만간 취업은 하겠지만...(남편은 착하고 상식적인 사람이니욕은 말아주세요.) 위에 또 맞벌이 운운하신 분이 있어서 덧붙이자면 저는 직장이 있습니다.
    2. 시어머니께서 저한테 평소 농협포인트 마냥 깨작깨작 적립될만한 언행을 하셔서 포인트가 제법 많이 쌓여 있습니다. 솔직히 내키질 않아요.

    1번 상황에도 불구하고 찾아뵐때마다 저에게 너무 당당하셔서 좀 황당할 때가 있습니다. 왠지 적고보니 답정녀 같네요-.-;;

  • 16. 랑데뷰
    '14.3.14 10:27 AM (183.106.xxx.161)

    아들, 며느리가 실직상태인데
    100세시대의 요즘세상에 만으로 60살이 머그렇게 대수라고....
    받아먹는것이 더 부담스러울듯한데......


    .

  • 17.
    '14.3.14 10:35 AM (61.102.xxx.34)

    그나마 잔치만 해달라 하심 다행입니다.
    잔치는 잔치대로 여행은 여행대로 보내달라 하심 정말 허리 부러져요.ㅠ.ㅠ
    안그럴거 같죠? 그렇게 바라는 시부모님들도 생각보다 많으시더라구요.

    전 뭐 친정부모님 환갑때는 간단하게 가족여행 가고 직계가족 식사만 했고
    시부모님은 결혼전에 환갑이셨고 결혼후 어머님은 칠순전에 돌아 가셨고
    아버님 칠순때는 잔치 원하셔서 해드렸구요. 팔순때는 간단하게 가족여행만 했습니다.
    은근히 잔치 바라셨는데 위에 형님들이 잔치는 남 좋은 일이라고 딱 자르셨어요.

  • 18. 해드리세요
    '14.3.14 11:08 AM (125.177.xxx.37)

    본인이 원하는대로 해드리세요.
    예전엔 나이 먹는게 뭔훈장이라고 자식들 힘들게하나..흉봤어요.
    저 지금 나이 마흔에 암투병인중인데..건강하게 오래 사시는거 훈장 맞습니다.
    저희 친정 아버지 칠순때 제대로 하려고 환갑생략했는데 칠순 목전에 두고 돌아가셨어요. 자식입장에선 그것도 한이 되네요.

  • 19. 올렛브라운
    '14.3.14 11:30 AM (211.107.xxx.253)

    자식 형편이 어려운데 부모가 되서 먼저 자녀들 입장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체면만 생각하고
    은근히 그럼에도 뭔가 대접받기를 원하는 그런 마음이 며느리를 더 힘들게 하죠.
    100세 시대에 60세 된 것이 뭔 그리 대수라고 남편 백수에 형편도 어려운데 가정 형편 말씀드리고
    최소한 선에서 식사 한끼 대접하는 선에서 요령껏 하세요.
    잔치니 여행이니 하는 것도 자녀들 형편이 되고 형제들이 많아서 서로 부담감이 적으면 모를까
    님 입장에선 가정살림도 어렵고 100% 본인 부담이면 오로지 며느리 부담 아닌가요?

  • 20. ......
    '14.3.20 9:48 PM (1.233.xxx.169)

    젊은 사람이 보기에나 환갑잔치 별거 아닌것 같지요.
    부모님 두분 환갑때 보니 정말 옛날 사람들이 왜 환갑을 해먹었는지 알겠더군요.

    건강한 사람은 환갑에도 팔팔하고 80 90 까지 산다지만.
    요새도 수명만 길어졌지 병원에 일찍부터 드나드는 분이 더 많아요,
    젊은 사람들도 암에 많이 걸리고 ...병이 얼마나 많은데요.

    환갑잔치를 자식들 부담 될 정도로 거하게 하는건 안되지만,
    자식들이 되는 선에서 부모님과 상의해서 잘 하도록 하세요.

    부모가 이기적으로 환갑을 해먹으려고 하고 자식들한테 금전적 부담만 준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시면 참 답이 없어요.

    말이 100세시대지, 실제로 100살까지 사는 사람 비율이 뭐 얼마나 되나요.
    100살까지 산다고 해도 병원에서 시달리다가 죽는 사람이 태반일걸요.
    집안식구들이 다 건강한 사람들이 노인들 나이 갖고 우습게 생각하고 그러죠.
    본인도 몸이 안좋고, 식구들 중에 아픈사람있으면 정말 환갑 뿐만 아니라 매 생일이 애틋하고 그럽니다.

    노인들 건강은 하루앞을 장담할수 없어요...나는 안늙을것 같고 자식신세 안질거라고 말들은 쉽게 하지만
    누구나 공평하게 노인이 되고 병에 시달리다 죽어요. 남의 일이라고만 할수 없지요.

    무리해서까지 하시진 말고, 부모님과 상의해서 진행하세요. 되도록 원하시는 대로 해드리면 좋지요.
    부모님들 환갑을 가볍게 생각하시는것 같아도 속으로는 앞으로 살날이 얼마 남았을까...착잡해 하시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2099 저 어릴땐 계몽사 아저씨가 집에 방문해서 25 2014/03/18 3,369
362098 식당에서 주문할때.. 3 문득 궁금 2014/03/18 752
362097 김두겸 울산시장 예비 후보가 도로를! nnMa 2014/03/18 545
362096 초등저학년 생각하는걸 힘들어해요. 1 각설탕 2014/03/18 562
362095 이럴때 어떤 편이세요?? 1 궁금 2014/03/18 350
362094 박원순 "야권 신당, 차선이지만 역사의 도도한 물결&q.. 샬랄라 2014/03/18 372
362093 요요가 오고 있어요. 1 .. 2014/03/18 1,140
362092 롯데아이몰에서 지방시요~ 2 지방시 2014/03/18 2,201
362091 의사들에 밀린 정부…건정심 구조 개편 수용 3 세우실 2014/03/18 1,135
362090 돼지고기 수육은 따뜻하게 먹어야 하는거죠? 7 채식인간 2014/03/18 2,018
362089 주식 하시는 분들...무식해서 죄송한데요... 2 .. 2014/03/18 1,153
362088 사람들 만나고 밤 9~10시쯤 집에 들어오면 밤새 한숨도 못자는.. 2 ... 2014/03/18 1,128
362087 앞접시 고르는 중이예요 1 .... 2014/03/18 1,242
362086 1학년 아이 오늘 지각했는데 31 1학년엄마 2014/03/18 3,527
362085 하지원이요. 4 .. 2014/03/18 2,136
362084 어떡하죠? ㅠㅠ 2 제 맘이 너.. 2014/03/18 516
362083 이전 거주자가 주소이전을 안할경우 3 전입신고 2014/03/18 3,523
362082 중딩, 공부 잘 하면 은따나 왕따 덜 당하나요? 13 고민 2014/03/18 4,581
362081 6000투자에 순이익 300.. 5 ... 2014/03/18 1,937
362080 겉으론 까맣게 썩었는데 치료할 필요 없다는 치과는 양심치과일까요.. 14 치과 2014/03/18 4,300
362079 애들 어렸을때 보던 전집을 팔고 싶은데 7 웃자 2014/03/18 911
362078 고시생 남편한테 무슨 선물이 조을까요? 4 콩수니 2014/03/18 2,897
362077 과배란 인공수정,쌍둥이 확률 높겠죠? 3 쌍둥이 2014/03/18 11,736
362076 경제살림을 어떻게해야할지...매달적자 16 .. 2014/03/18 2,920
362075 결혼식이 3주 남았는데 피부&몸매 관리 받을까요? 3 예비신부 2014/03/18 1,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