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민간 어린이집을 보내지 말아야하는 이유

햇살햇볕 조회수 : 5,680
작성일 : 2014-03-13 19:44:00

요 밑에 어린이집에서 돈 많이 벌거라는 글도 있고해서

어린이집에서 회계운영위원을 했었을 때의 깨달음(?)에 대해 써봅니다.

큰 아이를 공동육아 어린이집 보내면서 회계 운영위원을 맡았는데

그때 깨닫게 된 게 있어요.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려면 원장 개인의 이익을 위해 운영하지 않는 어린이집

예를 들어 공동육아어린이집이나 복지재단이 운영하는 어린이집에 보내야한다는 것이었어요.

그런 깨달음을 얻게 된 과정을 이제 설명드릴게요.


참고로 공동육아 어린이집에 대해 설명하자면,

일반 어린이집이 원장이 자본을 투자해서 어린이집 터전을 만들고

부모들은 원비만 내고 아이를 맡기는 것인데 반해

공동육아 어린이집은 아이의 부모가 출자금을 투자해서 터전을 만들고

원장이 하는 어린이집 운영을 부모들이 나누어 같이 하는 형식의 어린이집입니다.

저는 그 중에 돈에 관련된 일을 맡아했던 것이구요


제가 어린이집 회계를 하면서 처음에 놀랐던 것은 어린이집이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재무 ․ 회계 규칙을 따른다는 것이었어요.

즉 어린이집은 복지시설이었어요

그래서 수입과 지출이 일반 기업처럼 수입 비용이 아니라 세입 세출이라고 불려요

일반 기업처럼 이익을 내서는 안되고 그래서 이익에 대한 세금도 안 내요.


그건 어찌보면 당연한거죠. 아이를 키우는 일이잖아요.

학교에서 아이 하나하나에 대해 수익을 내려고 하지 않고 잘 가르치려고 하듯이

어린이집에서 아이를 보육할 때도 아이 한명당 수익을 내려고 하지 않고

잘 먹이고 잘 키워야하는게 당연한 것인거죠.


그리고 필요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린이집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복지시설이니까)

어린이집이 부모로부터 받을 수 있는 보육료를 정부가 매해 정하고 있어요.

(어떤 때는 몇년간 동결하기도 해요)

일반 기업과 다른 거죠. 일반 기업의 물건값을 정부가 매해 정하지는 않는데 말이죠.


그리고 수입을 정부가 규제하는 대신 여러 지원을 해줍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누리과정교사에게는 선생님개인계좌로 돈을 쏴주고

누리과정하는 어린이집에 원아당 몇만원씩 어린이집에 돈을 줘요

도청에서 또 지원이 나옵니다.(서울시라면 서울시청이겠죠) 이건 도마다 달라요.

처우개선비라고 해서 선생님 개인계좌에 얼마씩 돈을 넣어줘요.

시청에서 또 지원이 나와요.(서울시라면 구청겠죠) 이것 역시 시마다 달라요.

겨울난방비, 여름에어컨비도 주기도 하고 급식교사 월급을 지원하기도 하고 쌀값을 주기도 합니다.

각 지역의 육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에 보면 지역별 지원 내용이 다 설명이 되어있어요.


암튼 제 아이가 다녔던 어린이집은

선생님들 월급 적지 않게 드리고

아이들 한살림, 생협, 초록마을에서 유기농으로 사다 넉넉히 멕이고

교재교구 아끼지 않아요.

그리고 제가 결산해보면요. 정부가 정하는 보육료로는 어림택도 없어요.

부모들이 낸 보육료 전부가 누구 주머니에 들어가지 않고 다 아이들 보육하는 데 쓰여도 그래요.


그럼 부모들이 모든 예산과 지출에 관여하는 공동육아 어린이집도 아니고

재단에서 복지차원에서 수익을 생각하지 않고 운영하는 어린이집이 아닌

일반 우리같은 사람이 운영하는 어린이집을 생각해봐요.

한 개인이 먹고살려고 어린이집을 하려고 한다면 어떻게든 되도록 이익을 많이 내려고 하지 않겠어요?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수입을 늘이거나 지출을 줄이거나 둘 중 하나겠죠.


그래서 우리가 어린이집 관련해서 소비자고발이라든가 뉴스에서 보던 것들이 여기서 나오는 거예요.

수입을 늘이기 위해 정부가 정한 보육료 외에 특활비, 차량운행비 등등

가외로 받을 수 있는 명목을 최대한 부풀려서 받고요.

정부 지원이 후한 영아를 모집하려고 부모와 짜고 가짜로 아이를 등록시키기도 해요.

지출을 줄이기 위해 보육교사들에게 형편없는 월급을 주고

아이들에게 무조건 싸거나 유효기간이 지나거나 아니면 턱없이 적은 음식을 주고

색종이 하나도 못쓰게 하는거죠.

추운데 난방도 안하고 더운데 에어컨도 안 트는거예요.


남편이 제가 어린이집 회계를 맡았을 때 차라리 어린이집을 차리라고 했어요.

너무 열심히 해서요. ^^

그때 제 대답이 뭔 줄 아세요. 정직하게 운영하면 돈 못 번다는 거였어요.

저는 그냥 취학 전에는 충분이 놀리고 싶어서 공동육아 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낸 것이었는데

회계일을 하면서 다시 한번 제가 잘 선택했구나 다행이다 라는 생각을 했어요.

몇달 어린이집 회계일 하니까 딱 답이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만약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실 분은

원장 개인의 이익을 위해 운영하지 않는 어린이집

예를 들어 공동육아 어린이집이나

복지재단에서 운영하는 어린이집

또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시립/구립 어린이집 등에 보내세요

(시립/구립 어린이집도 민간에 위탁해서 운영하는 곳이라 이익을 추구한다는 말도 있긴 하던데

전 잘 모르겠네요)

즉 아이 하나하나를 돈으로 보지 않고 이익 생각 없이

아이를 잘 먹이고 잘 키울 수 있는 구조의 어린이집이요.


물론 개인이 운영하더라도 원장 마인드가 훌륭한 곳도 있겠죠.

그런데 개인적인 자아 성취가 불가능하고 남편에게 종속된 삶을 살고

아들을 낳아야 사람 대접 받았던 옛날 한국 가부장사회 구조에서

개인의 인성과 상관없이 시어머니-며느리 착취구조가 존재할 수 밖에 없었듯이

요즘 계속 터지는 어린이집 문제의 원인은 원장 개인적인 인성의 문제라기 보다는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의 어린이집에 수익을 목적으로 개인들이 뛰어들다보니 생긴

구조적인 문제는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어요.

IP : 14.52.xxx.6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근데
    '14.3.13 7:53 PM (61.109.xxx.79)

    시립, 구립도 민간에 위탁해서 개인이 운영하는걸로 알고 있는대요

  • 2. ddd
    '14.3.13 8:03 PM (175.208.xxx.91)

    그거 아세요. 구립이라고 해서 구청에서 운영하는게 아니라 법인이나 개인에게 위탁해서 운영하거던요.
    거기도 마찬가지예요. 개인과 다를바 없어요.
    민간은 답없어요.
    어린이집 다 돈많아서 차리는것 같지요. 서울 강남 같은경우 1억에 월세 얼마 내고 어린이집 운영하는데
    세 내랴 월급 주랴 20명 해도 겨우 자기 월급 300정도 나온다더군요. 12시간 일해야 하고 신경쓰고
    300이면 너무 낮죠

  • 3. 햇살햇볕
    '14.3.13 8:15 PM (14.52.xxx.62)

    아 그런가요? 보육사업안내 책을 보니 시립이나 구립같은 정부지원 어린이집은 원장 보육교사 월급도 정해져있고 지원도 민간어린이집보다 많고 규제도 그만큼 엄격하고 해서 원장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던데 실상은 다른가보네요.
    그럼 공동육아어린이집이나 안되면 최소한 복지재단에서 운영하는 어린이집 말고는
    아이 하나하나를 돈으로 보지 않고 이익 생각 없이 아이를 잘 먹이고 잘 키우는 어린이집은 없는 건가요? --;

  • 4. .....
    '14.3.13 11:02 PM (211.111.xxx.110)

    공동육아도 일반 어린이집보다 비용이 비싸더라구요 부모가 그만큼 신경써야하는것도 있고요
    시립도 들어가는데 제약있고 차량운행이 안되는 등 아무나 활용하기 어렵구요
    민간 어린이집에 크게 기대하는게 없어요
    그저 선생님이 아이 때리거나 화만 내지 않음 되는거고 아이들과 잘 어울려 놀다 오면 그뿐이에요
    엄마가 옆에서 신경쓰지 않음 몇젓갈 자기가 먹고 싶은것만 떠먹고 마는 아이 식단도 유기농 필요 없고
    국산으로 아주 부실하지만 않음 그만이고요
    교육을 시키고 싶음 유치원이 더 낫다고보고요 어린이집이야 유치원 생활해보기전 해보는 연습용으로 보내는
    거라 잘 놀다 오면 되는거라고 생각해요

  • 5. dd
    '14.3.13 11:09 PM (180.65.xxx.134) - 삭제된댓글

    시에서 운영하는 기관에 애 맡겼다가 애 선생한테 학대당했네요. 민간어린이집 평가인증 받은데 보냈더니 선생이 이뻐하는 애들만 끼고 있고, 애가 다쳐도 모르더라구요. 시립이라도 꽝인데 있고, 민간은 더 말할것도 없고, 믿고 보낼수가 없네요...

  • 6.
    '14.3.14 12:11 PM (122.37.xxx.222)

    제아이가 다니는 민간 어린이집은 정말 선생님이 훌륭하신데 가정식 인원도 적은데 엄마들에게 먹거리 신경쓰는 모습도 오픈하여 보여주시고(엄마들이 방문함) 가서보니 집보다 깔끔하더라구요 원장님이 직접하심. 올해부턴 운영위원한다고 학부모중에서 선출하여 어린이집 운영내역도 공개한다 하시고 이리하셔서 남은게 있을까 싶을정도에요. 생일선물까지.크리스마스엔 산타복을 애들 다 보내주시는 정성에 학기말에 선물준비했다가 정색하고 거절당했음 공동육아에 설명회도 다녀와서 포기한게 사실 아무래도 이미 너무 훌륭한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어서..... 정부에서 특별활동도 제약하는 점 때문에 많이 고충이 있으실 것 같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9555 정말 싸서 올려드려요^^ 3 웸메 2014/07/18 3,277
399554 냉동해서 지방분해 하는 미쿨, 클락투 받아보신분 계신가요?? 3 미쿨,클락투.. 2014/07/18 2,813
399553 영화 싱글즈 다시 봤어요 7 ... 2014/07/18 2,407
399552 황태 그냥 먹어도 되나요? 6 궁금 2014/07/18 5,592
399551 세월호 실종자 1명 추가 수습…훼손상태 심해 女조리사로 추정 7 마니또 2014/07/18 3,600
399550 문지방 넘기가 힘이 들어 화가 난 나머지 5 문지방 2014/07/18 2,654
399549 집에서 사용컴퓨터 조심하세요 3 벨라지오 2014/07/18 3,042
399548 중3졸업반2학기회장 1 푸른바다 2014/07/18 1,424
399547 배란이 됬는데 생리를 안할수도있나요? 4 ** 2014/07/18 4,079
399546 백화점갈때. 9 .. 2014/07/18 2,890
399545 초5 딸에게 홍이장군을 먹여볼까 하는데요. 3 dd 2014/07/18 1,870
399544 협상의 법칙 이라는 책 읽을만 한가요? 2 추천 2014/07/18 991
399543 파우더 좀 골라주세요 1 선택 2014/07/18 1,222
399542 스티로폴 박스로 반찬 보냈는데 괜찮을까요? 2 .. 2014/07/18 1,180
399541 요즘 코난에 빠져있습니다ㅋ 10 코난 2014/07/18 2,266
399540 이니스프리랑 토니모리랑 팩 공장이 같네요 8 이니스 2014/07/18 4,325
399539 대체 사고력수학이라는게 뭔가요? 7 수학초보맘 2014/07/18 3,648
399538 곱창 1인분도 포장가능한가요? 6 2014/07/18 1,943
399537 하루 종일 짖어대는 윗집개 5 ㅁㅊㄱ 2014/07/18 1,862
399536 밀레나 지멘스 세탁기 쓰고계신분있나요? 4 asdf 2014/07/18 3,071
399535 동대문 노란천막 (야시장) 거기 오늘 몇시부터 시작하나요? 3 dma 2014/07/18 3,858
399534 속좁은 나의이야기 28 더워 2014/07/18 15,544
399533 요즘 수박 단가요? 7 .. 2014/07/18 2,195
399532 양파 소비를 위해 양파효소 담는건 어떠세요? 5 양파순이 2014/07/18 1,962
399531 ㅈㅔ주 중문 콘도나 숙소 추천 지젤 2014/07/18 1,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