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출용 현대차는 단단할까요?

제대로 만들라 조회수 : 1,312
작성일 : 2014-03-10 21:23:47
현대차는 쳐다보지도 않으려 했는데...
수출용차를 누가 가지고 들어와 판답니다.
연식은 그리 오래 되지 않았고요.

아주 오래 전 타 본 기억으로도, 듣기로도, 수출용차는 내수용과 크게 차이가 난다고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옵션이나 외양 말고, 엔진이나 바디도 수출용은 제대로 튼튼하게 잘 만들어져 있을까요?

잘 아시는 님들 답변 좀 꼭 부탁드립니다.
IP : 59.187.xxx.5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3.10 9:55 PM (1.241.xxx.158)

    요구하는 조건이 있다고 하네요. 외국에선 외국에. 국내에서는 국내에. 그 조건에 만족만 하면 팔수 있게 하는것이고 그러니 그 조건에 맞추어 만들어 파는것이지요.
    국내는 국내용 조건에 맞게. 외국은 외국에 맞게.
    큰차이가 있다 하더라고 국내 자동차 회사 연구원에게 물어보니 ??? 이런 표정으로 진심 아무것도 모르겠다는 표정으로 보더군요.

  • 2. ...
    '14.3.10 10:17 PM (119.148.xxx.181)

    미국에서 수출용 기아차 사가지고 들어와서 타고 있는데요.
    차체도 더 튼튼하다고 하고, 에어백도 더 많이 달려있고..(저도 자세하게는 모름)
    암튼 주행과 안전에 관해서는 내수용 차보다 좋다고 해요.
    그런데..자잘한 옵션은 많이 떨어져요. 내부 인테리어 자제도 좀 떨어져요.
    사양이 낮은거면 특히 심해요.
    예를 들면 사이드 미러가 자동으로 접어지질 않아요. 미국에선 그런게 필요가 없거든요.
    국내에서 그 기능 다는데 50만원이래나...
    헤드라이트도 어두운 곳에 가면 저절로 켜지는..그런 기능이 없어요. (미국은 헤드라이트 항상 켜요)
    저희는 중형차에 낮은 사양이라 그런지도 모르겠어요.
    주행이나 안전쪽은 걱정마시고 자잘한, 너무 당연시하던 소소한 옵션들 잘 살펴보세요.

  • 3.
    '14.3.10 10:22 PM (218.149.xxx.84)

    미국에서 타던 현대차 들고 들어왔어요.
    작은 사고가나서 문짝옆이 찌그러졌는데 현대a/s 에서 고치시는 분이 애먹었다고 했네요.
    차체 강판이 완전 달라서 너무 두껍고 더 견고하다고 하나(?) 하여간 펴기가 너무 힘들었다고 했어요.
    근데 수출용이라도 나라마다 다르다고 했어요.
    미국용은 안전면에선 더 좋은데 내부 인테리어라는게 별거 없어요. 완전 실용성 위주여서요.

  • 4. 원글이
    '14.3.10 10:44 PM (59.187.xxx.56)

    나라마다 다르다고요?
    그러면 안 되는데...
    미국서 가져온 건 아니거든요.

    전 옵션은 하나도 중요하지 않아요.
    하드웨어만 튼실하다면요.

    그래도 사이드미러 안 접히는 건 좀 그렇네요.ㅎㅎ
    미국도 자동세차기에도 들어가고 할텐데, 많이 불편할 듯 싶어요.

    에어백은 제가 직접 비교해 봤는데, 더 많은 거 맞고요.

    에라이...내수용도 그리 좀 만들란 말이다...

    일단은 괜찮을 듯 하네요.
    답변 주신 님들 고맙습니다.^^

  • 5. 어이없어요
    '14.3.10 11:45 PM (61.73.xxx.246)

    나라마다 자동차 안전에 대한 규정이 달라요.
    그래서 에어백같은 옵션이 달라질 수 있어요.
    미국법이 안전에 좀 더 신경을 쓰는 편이구요.

    그러나 차체 강판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 얘기는 차 좀 아는 사람이 들으면 웃어요.

    가족중 하나가 현대차 다닙니다.
    몇 년전에 내수 물량이 딸려서 공장가서 담판짓고 수출 물량을 내수로 돌렸다는 얘길 하더라고요.
    그 차 수출 담당자는 엄청 난감해진 상황이 되고.

    인터넷에서 강판이 다르다고 하는데 정말이냐 물어보니까 웃어요.

    강판 다르게 하면 공장을 하나 더 지어야 한답니다.
    공정이 완전 달라진다네요.
    뭐하러 미쳤다고 일부러 훨씬 더 많은 비용 들여가며 강판 다른 거 쓰냐고 그럽디다.

    그리고 무조건 두껍고 튼튼한 강판쓰면 좋을 것 같아도 사고나면 차는 멀정한데 사람은 죽는답니다.
    충격이 다 탑승자한테 가서요.
    좋은 차는 사고 날때 잘 찌그러지면서 충격흡수하고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이랍니다.

    정말 좀 알고들 얘기하면 좋겠네요.

  • 6. 강판 달라요
    '14.3.11 12:05 AM (50.148.xxx.239)

    제 가족 중에 현대자동차 다닙니다. 개발업무 하고 있고요. 그 분이 말씀하시길, 현대차 수출용은 벤츠급 강판을 쓴다고 했어요. 미국에 생산공장 있고요. 거짓말 할 이유가 없는 분입니다.

  • 7. 어이없어요
    '14.3.11 12:22 AM (61.73.xxx.246)

    윗님 제 가족도 거짓말 할 이유가 없는 사람입니다.
    윗님 가족이 말씀하신 강판은 두께가 아니라 도금이 다르다는 의미였을 겁니다.

    강판이 다르면 예를 들어 같은 소나타가 아니라 차가 다른 종류인겁니다.
    전에 부식문제 규정이 있어 도색이나 도금이 다른 적은 있어요.
    두께가 다른 문제가 아니고요.

    소나타를 굳이 공장 하나 더 만들어 미국 수출용을 따로 만들어야 할까요.
    그냥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세요.
    강판 달라지면 모든 기계와 부품이 달라집니다.

  • 8. 저는
    '14.3.11 1:01 AM (116.40.xxx.30)

    미국에서 현대차 가지고 와서 네비, 사이드미러, 선팅 등등 자잘한 인테리어 손 보고 타고 있어요.

    현대차 팬됬고...주식 째려보고 있어요. 폭락하거나 싸지면 현대차 주식 가지고 싶을 만큼.

    차 너무 너무 좋아요.
    도요타 타다가 현대차 탄보니 넘 좋아서 첨 얼마간 행복했어요. 일본차보다 훨씬 좋아요.

  • 9. 원글이
    '14.3.11 9:02 AM (59.187.xxx.56)

    미국에 생산공장이 따로 있다면, 미국에서 생산되는 차는 다르게 만들 수도 있을 듯 한데요?
    그런데, 문제는 그 차는 미국에서 가져온 차가 아니라는 거...ㅜㅜ

    우리나라에서 만들어 수출하는 차는 바디가 똑같단 얘기는 설득력 있긴 해요.

    하지만, 강판이 얇아야(?) 더 안전하다는 말은 동의할 수 없어요.
    그럼 강판 두껍기로 유명한 외제차들이 사고시에 더 취약하다는 말씀인가요?
    말도 안 되는 현대차측 주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내수용과 수출용이 옵션정도만 차이가 있다면...다시 고민에 빠지네요.ㅜㅜ

  • 10. 어이없어요
    '14.3.11 9:04 AM (61.73.xxx.246)

    원글님 강판이 얇아야 안전하다고 주장한 적 없어요.

    글의 요지를 잘 못 이해하셨네요.

    강판이 두꺼울수록 안전하면 모든 자동차 회사마다 고급차는 엄청 두껍게만 만들겠지요.
    사실 벤츠나 마티즈나 강판 두께차이는 크지 않아요.
    안전하다는 벤츠도 기름값 상관없이 어마무시하게 두껍게 만들었겠지요.

    안전도는 자동차 뼈대 이런 것도 크게 좌우하고요.
    사고시 탑승자를 최대한 보호하면서 차체에 충격이 흡수되도록 예쁘게 찌그러지는게 기술이겠지요.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안전운전입니다.
    벤츠도 큰 사고나면 죽어요.

    여튼 여기 인터넷 보면 자동차에 잘 모르는 일반인들이 말도 안되는 걸 상식이라고 함부로 얘기하는 경우가 너무 많아요.

  • 11. 원글이
    '14.3.11 10:16 AM (59.187.xxx.56)

    잘못 이해하지 않았어요.

    '무조건 두껍고 튼튼한 강판쓰면 좋을 것 같아도 사고나면 차는 멀정한데 사람은 죽는답니다.
    충격이 다 탑승자한테 가서요.'

    라고 쓰셔서 상대적으로 얇다 라고 표현한 겁니다.
    정확한 표현이 아닌 듯 해서 괄호해서 물음표도 넣은 거고요,
    표현하신 그대로라면 예쁘게 찌그러지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좀 더 무르고 얇아야 가능한 거 아닌가요?

    제가 그다지 억지이해를 한 것 같진 않은데요?

    그러나, 불행히도 강판 문제는 예전부터 말이 많았던 건 사실이잖아요.
    처음에 강판 논란이 일어났을 때 펄쩍 뛰며 반박했죠.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9303
    그러나, 전 저 기사보고 새로운 의문점이 생길 뿐이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9383 시사통 김종배입니다(14.5.12pm) - 담론통 세월호와 합리.. 2 lowsim.. 2014/05/12 1,023
379382 젊은엄마들 1 .... 2014/05/12 1,896
379381 [펌]野 세월호 정부책임론 본격화..진상규명 드라이브 1 야당은 뭘하.. 2014/05/12 935
379380 가만히 있어라 방송을 한 사람 선장이 아닐 수도 13 새로운사질 2014/05/12 4,195
379379 국민라디오 "오늘" 들어보세요! 11 2014/05/12 1,210
379378 홍대에 항의전화했습니다 후기 11 열받아서 2014/05/12 7,525
379377 정몽준이 서울시장 새눌당후보 확정됐네요 23 2014/05/12 2,968
379376 왜 300여 명을 몰살시켰는지 알 것 같습니다. 97 // 2014/05/12 18,607
379375 시원해지는 미국교민 댓글좀 보세요 20 속이 2014/05/12 4,170
379374 좋은 레시피 찾으실 때 어디에서/어떻게 찾으시나요?? 6 맹맹이 2014/05/12 1,660
379373 알바비50만에서-4대보험을 떼갔어요 10 ? ㄴㅌ 2014/05/12 5,881
379372 박영선 김한길 안철수 사무실에 전화했어요 51 ㅇㅇㅇ 2014/05/12 4,410
379371 남은 가족들 국악원으로 옮겨가셨으면.. 9 애달파 2014/05/12 1,791
379370 온갖 사이트 아이디가 제 각각인데요.. 4 아이디 2014/05/12 1,073
379369 정몽준 ”박원순의 서울시, 기업이라면 부도 났을 것” 32 세우실 2014/05/12 2,836
379368 떡볶이 먹으러오던 단원고 남녀학생 찾아요 14 참맛 2014/05/12 5,263
379367 MBC 간부, 세월호 유족에게 ‘그런 X들, 관심 안가져야’ 50 광팔아 2014/05/12 8,347
379366 우리가 아는 것들을 다른 사람들도 공유하게 하려면? 2 2014/05/12 999
379365 해경 수사 발표, 국민을 속이고 있는 부분 10 중요 2014/05/12 1,811
379364 인터넷,전화 해지 위약금 이십육만칠천원 6 ㅇㅇ 2014/05/12 2,504
379363 왜 구하지 않았느냐고 물어보긴 했나요? 3 나무 2014/05/12 1,022
379362 kbs수신료 한전에전화했어요.. 9 소심이 2014/05/12 2,107
379361 7급 기술직 공무원 조언 좀 얻고 싶어요 2 루미에르 2014/05/12 6,073
379360 미국 애틀랜타 CNN 본사 앞, 뉴욕타임즈 본사앞 세월호 추모 .. 5 ... 2014/05/12 2,170
379359 죄송합니다만,, 인테리어(올수리)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14 clara 2014/05/12 3,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