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친정에서 산후조리 하신분...

ㅇㅇㅇ 조회수 : 4,389
작성일 : 2014-03-09 14:10:07

1월에 내려와서 이제 3월말쯤 집에 가려고해요.

조산기가 있어서, 친정에 일찍 내려왔었고 2월초 출산...조리원2주 있다가 친정에 와서 지금껏있어요.

아가가 손을타서 내도록 안아줘야하고 잠도 잘안자서 엄마랑 같이 보는데도...너무 힘드네요.

연세많으신 엄마도 넘 고생이구요..

아가 상태봐서 담주나 한주정도 더 있다가 이제 가려고 하는데,,

보통 친정에서 산후조리하신분들 얼마정도 드리시나요?

3달정도나 있었는데 어느정도 드리면 좋을지...

출산축하금으로 엄마한테 2백 받았구요. 저는 올라갈때 2백만원 그대로 다시 드리면 될거 같은데,,

신랑은 백만원만 드리자하고,,;;;

어느정도가 좋을까요..말씀 부탁드려요..^^

 

IP : 118.139.xxx.17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쓰이
    '14.3.9 2:12 PM (58.231.xxx.81)

    출산축하금다시돌려드리고 이백드렸네요 저희는

  • 2. ..
    '14.3.9 2:12 PM (14.45.xxx.251)

    전 한 달 약간 더 있었고 백오십 드렸었어요. 석달이면 이백은 드려야하지 않을까요...백은 넘 적은것 같아요.

  • 3. 원글
    '14.3.9 2:15 PM (118.139.xxx.177)

    저도 더 드리고 싶은데,,,신랑 눈치가 보이네요..ㅠㅠ 복귀할 직장이라도 있으면 당당하게 더 드리고 할텐데....제가 제 할일 못하고 노는것도 아닌데, 왜케 눈치가 보일까요....3달에 백이면 너무 작은거 맞죠?? 이백드리고 선물이라도 하나 해드려야겠어요...^^

  • 4. 형편에 따라
    '14.3.9 2:17 PM (39.7.xxx.11)

    저는 안드렸어요
    엄마가 산후도우미로 조리해준거 아니라고 해서

  • 5. ....
    '14.3.9 2:19 PM (211.208.xxx.136)

    그래도... 세달인데 게다가 축하금도 200 받으셨다면 사실 산후조리비 드리는것도 아니잖아요...
    백만원은 말도 안돼요

  • 6.
    '14.3.9 2:20 PM (58.225.xxx.25)

    님 남편 참 양심도 없네요. 그렇게 오래 머물렀으면서 장모님 공을 날로 먹으려고 드네...
    본인 엄마가 저렇게 힘들여서 산후조리 해주셨대도 이백받고 백만 드리자고 할지..

    가급적 넉넉히 드리세요. 친정에 머무는동안 각종 생활비, 난방비, 식비에 젤 중요한 어머님 인건비가 들어갔잖아요.
    조산기 있으셨으면 그때도 꼼짝 못하고 계셔서 어머님께서 다 돌봐주셨을거고 산후조리는 뭐 말할거 있나요?
    조리원 기간을 빼도 2달반 넘게 계신거 같은데 최소 삼백은 드려야 하지 않아요? 그래봤자 월로 계산하면 월 백 조금 넘는거밖에 안되잖아요. 무조건 님이 생각하는 액수보다 더 넉넉하게 드리세요.
    저희 언니집에 산후조리 도우미 아주머니 주 5일, 9-5시 출퇴근이신데 집도 작고 딱히 할 일 없다고 아주머니 스스로가 말씀하실 정돈데도 월 100 드렸어요. 애 보는 것도, 애 목욕도 전부 언니가 시켰는데도요. 참고하세요.

  • 7.
    '14.3.9 2:28 PM (58.232.xxx.219)

    본인 맘이 원하는대로
    이백이상 드리세요
    이백받고 백이 뭐에요
    나중에 님이 후회해요

  • 8. 님남편
    '14.3.9 2:30 PM (122.36.xxx.73)

    진짜 공짜좋아하는 사람인가봐요.세상에..님 애기보면서 집에 계속 있으면 돈버는 유세 꽤나 하겠어요.
    세달가까이 친정에서 신세진거 밥값만 아니라 물값 전기값 애기봐주는 사람 구하는 비용 아낀거..사실 다 주고도 모자르죠.그만큼 정성으로 해주셨을텐데...축하금 200받은거 민망하지도 않으셨는지...다달이 생활비라고 드렸어야했는데 그것도 안하시고..이제와 한꺼번에 고맙다는 성의표시하는데 그나마도 백만원만 하자는 남편..어으..정떨어져요.앞으로 친정에 애 맡길 생각나거나 님이 힘들다고 친정엄마 부를 생각은 하지도 마세요.남한테 주는 돈보다 적은 돈으로 쓰고 싶으면 시어머니보고 와서 그리 해달라 하라 하세요.친정엄마 아시면 섭섭하시겠네요.많은 금액 드리면 어머님도 기분좋으시고 애기 선물더해주시면 더해주시지 님네 손해볼거 하나도 없어요.님남편 진짜 싫어요..ㅠ.ㅠ..

  • 9. ...
    '14.3.9 2:31 PM (112.155.xxx.92)

    친정어머니니 특히나 더 넉넉하게 드리라는 소리 나오는거지 님네 형편에 맞추어 하세요.

  • 10. ...
    '14.3.9 2:48 PM (125.186.xxx.80)

    형편것 하시면되고, 친정어머니가 돈계산 하시며 주신 돈도 산후조리도 아닐 것 같네요.

  • 11. 시어머니였으면
    '14.3.9 2:51 PM (122.36.xxx.73)

    세달을 저렇게 편하게 있을수나 있었을까요? 이 글에 친정이라 넉넉히 하라 한다는 말은 좀 아닌듯하네요.시댁이었으면 남편이 백만원만 드리라고 하지도 않았어요.

  • 12. 프린
    '14.3.9 2:52 PM (112.161.xxx.204)

    남편분은 글쓴님이 백만원정도 사례할만큼만 있으셨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거 같아요
    제생각도 조리원 다녀오고는 집으로 가셨어야지 맞지 싶구요
    기간을 생각하면 그리고 꼭 사례를 해야한다면 2백도 적다 싶지만
    저도 그렇고 친정에 돈 안드렸거든요
    돈이 필요하지도 않았지만 또 돈으로 환산하기엔 너무 컷거든요
    시터도 엄마가 쓰셨고 애기물품도 엄청나게 사드리시고 돌침대가 좋다고 조리용으로 돌침대샀구요
    암튼 친정에서 머무는거 자체가 남편이랑 의논이 되었어야 돈문제도 쉬워요
    남편분 입장서 조리원은 조리원대로 또 친정조리는 조리대로 비용이 나감 부담되는건 사실이죠

  • 13. 형편따라 하세요
    '14.3.9 2:57 PM (39.121.xxx.22)

    외벌이면 남편어깨가 얼마나 무겁겠어요
    그나저나 님 애크면 직장 다니셔야겠네요
    앞으로 남편눈치보고 서운할일많겠어요

  • 14. 음...
    '14.3.9 3:45 PM (182.209.xxx.83)

    돈좀 있었으면 그럴 남편 아니면 그냥 넘어가시고요...

    남편작자가 원래 자기계산에 밝은 존재라면... 그거 다 드리고 100 얹어서 내놓으세요,버릇좀 갈키게...

  • 15. 허 참
    '14.3.9 4:24 PM (220.255.xxx.49)

    이게 뭔가요.... 아무리 내리 사랑이라지만
    님 친정부모님은 님한테 출산 축하금 주실때, 잠 못 자고 힘들게 산후조리하실때
    이만하면 될까 저만하면 될까 머리 쓰면서 하시진 않았을텐데...

    자기 자식 낳은건데,,, 뭔 축하금 챙겨줘, 애 봐줘, 자식 챙겨줘
    그러고도 사위는 어떻게든 손해 안보려고 해, 딸도 머리 굴려..
    아... 정말 부모의 삶은 힘들군요!

  • 16. 조리원에서
    '14.3.9 6:50 PM (58.143.xxx.236)

    2주 더 있는게 더 낫죠. 서로 고생 벌써 손타니 힘들죠.
    전 사십대지만 뼈 마디마디 안아픈 곳이 없어요.
    전문가에게 맡기는게 좋죠. 돈백이든 이백이든 안받고
    안하고 싶은게 부모맘이죠.

  • 17. 저라면
    '14.3.10 1:05 AM (110.8.xxx.239)

    삼백은 드립니다.이백 드려도 사실 어머니돈 그대로 드리는 거잖아요.친정에서 이백씩이나 주셧으면 많이도 주셧는데 딸이랑 사위 맘 씀씀이가 좀 그렇네요.너무하셧어요..

  • 18. 원글
    '14.3.13 3:00 PM (118.139.xxx.26)

    많이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해요.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9261 노력대비 효과 적은 반찬 13 거가 2014/03/11 4,004
359260 나에게 나쁘게 한 사람 복수하는 법 뭐 있을까요? 7 나에게 2014/03/11 6,875
359259 82에는 왜케 잘사는 사람들이 많을까요? 10 통계 2014/03/11 3,230
359258 의협심 강하신분 계세요? 1 나도 용감해.. 2014/03/11 430
359257 한.캐나다 FTA 타결 2 광우병 발병.. 2014/03/11 512
359256 치맥 하면서 밀린 드라마 보고 있어요ㅎㅎㅎ 4 사월의비 2014/03/11 1,089
359255 돌직구 날리고 나니... 4 고래사랑 2014/03/11 1,305
359254 초등읽을책 관련 사이트 올린글을 찿을수가 없네요 1 초등읽을책 .. 2014/03/11 300
359253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오리지날' 커피 중 어떤 걸...? 14 몰라서요 2014/03/11 4,341
359252 해외 여행갈때마다 6 서른 일곱 .. 2014/03/11 1,470
359251 크고 작은 모든 병은 집에서 당장 고친다. 강은설 2014/03/11 786
359250 친정부모님 이혼 사실을 시댁에 알려야 하나요? 5 여러분이 저.. 2014/03/11 3,989
359249 82추천 치과 검진 후기 8 써근니 2014/03/11 3,871
359248 홍은희는 참 부럽네요 6 2014/03/11 3,714
359247 고등학생 영어 영작공부 필요한가요? 영작 2014/03/11 358
359246 오래된 피아노 조카에게 물려주고 싶은데요.조율 비용이~ 11 이럴 경우 2014/03/11 2,943
359245 하지정맥을 운동으로 고칠 수 있을까요? 2 다리가무거울.. 2014/03/11 2,223
359244 도미 생선...구이로 해먹음 맛있나요? 3 코코 2014/03/11 681
359243 쌍둥이 졸업앨범..두권 사야할까요? 15 고민 2014/03/11 3,442
359242 두돌 애 앞에서 자꾸 싸워요.. 10 도와주세요 2014/03/11 1,421
359241 통돌이 세탁기-섬세코스로 니트 빨아도 되나요? 2 자취녀 2014/03/11 8,930
359240 옷장정리 - 옷색깔을 그라데이션 기법으로..좋네요^^ 4 ㅋㅋ 2014/03/11 1,962
359239 남자대학생 로션스킨 추천해주세요. 2 ㄱㄱㄱ 2014/03/11 2,440
359238 국산 가방브랜드 좀 알려주세요. 3 애국녀 2014/03/11 6,635
359237 로레알 새치염색약 마지 브라운 샀는데 셀프 염색하는 방법 좀 알.. 4 떨림 2014/03/11 10,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