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엿기름가루로 조청만드는 법 아시는 분 계신가요?

아이구야 조회수 : 4,213
작성일 : 2014-03-04 11:22:13

어머님이 엿기름가루를 물에 잘 씻어(?) 그 물을 달이면 조청이 된다 하시면서

만들어서 설탕 대신 쓰라고..

와 간단하다 싶어 냉큼 엿기름가루를 샀는데요.

검색해보니 고두밥을 지어서 해야하나요?

우잉..그럼 간단하지가 않은거 같은데 ㅠㅠ

전화드리니 그냥 해봐~~하시는데 일단 여기 여쭤보고 시작을 하려구요.

어머님 말씀대로 하면 조청이 되나요? 아무래도 아닐거 같아요..ㅠㅠ

 

IP : 115.126.xxx.100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3.4 11:25 AM (116.121.xxx.197)

    검색하신대로 고두밥에 엿기름 가라앉힌 물을 넣고 삭혀 그걸 고아야 조청이 됩니다.

  • 2. 안나파체스
    '14.3.4 11:28 AM (49.143.xxx.75)

    엿기름으로 식혜만들어서 물만 건지고 그걸 뭉근한 불에 계속 저어가면서 졸이면 되는 것으로 알아요.

  • 3. 어릴적
    '14.3.4 11:28 AM (112.148.xxx.5)

    어깨너머로 본기억은 엿기름 과 고두밥으로 식혜를 진하게 한다음 그걸 체에 걸러낸 물을 밤새 가마솥에서 저어며 끓였던 기억이

  • 4. 초록이
    '14.3.4 11:31 AM (172.56.xxx.36)

    제 경우
    찹쌀혹은 쌀을8컵 씻어서 5_6시간 불립니다
    찜통에 베보자기를 펴서 쌀을
    강불에 30분 찝니다
    엿기름 걸른물을 밥통에 담고
    그안레 방금 찐 쌀을 부어
    5시간 삭힙니다
    삭힌 쌀을 베 보자기에 걸러 짜주고
    그 물을 중 불 역불에 계속 조리면
    조청이 되는겁니다

  • 5. 숨은꽃
    '14.3.4 11:32 AM (125.177.xxx.5)

    그거 쉬운 일이 아니예요
    어머님께서 하실때 같이 한번 해보시고 나서 하세요
    하루종일 고아햐 하는데 쉽지 않아요
    고두밥 쪄서 식혜 만들어서 건더기 건져내고 그물을 고야야 하는데~
    어른들은 당신 생각만 하시고 쉽다고 하시지요
    한번 해보면 할수 있겠다고 어머님께 같이 해보자고 하세요 ㅎㅎ

  • 6. ...
    '14.3.4 11:33 AM (61.79.xxx.13)

    전기압력밥솥말고 전기밥솥에 넣고 취사를 누르고
    꺼지면 또 취사 누르고를 반복하면 조청이 됩니다.
    하지만 전 아직 안해 봤어요 ^^ 이론만 ㅋ

  • 7. ..
    '14.3.4 11:34 AM (112.150.xxx.146)

    고두밥 짓고 엿기름물 이용해서 식혜를 만들고
    그 식혜를 오래오래 달이면 조청 되지요.
    저도 실험삼아 한번 해봤어요 ㅋㅋ
    그.러.나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고
    가스값이 만만치 않아요~

  • 8. ..
    '14.3.4 11:34 AM (112.150.xxx.146)

    저도 조청 좋아해서 설탕대신 쓰려고 해봤으나
    일반 아파트에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결론 봤어요.
    아궁이에 땔감때서 느긋하고 부담없이 달일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서요.

    그래서 조청같은거 선물로 들어오면 감사히 잘 먹고요
    꿀등으로 대신하려고 해요.

  • 9. 아이구야
    '14.3.4 11:34 AM (115.126.xxx.100)

    쉬운게 아니군요 ㅠㅠ
    전 고두밥도 주부15년차지만 아직 한번도 안해봤는데 말이지요

    우잉 어머님 절 너무 과대평가하셨나이다 ㅠㅠ

    일단 방법 알려주신대로 잘 숙지해서 덤벼보든가
    포기하고 엿기름가루는 냉동실로 직행시키든가 해야겠습니다.

    덧글님들 다들 감사드리고요. 좋은 하루 되세요^^

  • 10. 묻어서
    '14.3.4 11:36 AM (221.152.xxx.64)

    그럼 짠 식혜 찌꺼기는 어떻게 하나요?

  • 11. 모ah
    '14.3.4 11:37 AM (183.108.xxx.126)

    전기밥솥에 하는거 비추요..
    저 아는언니 하다가 넘쳐서 치우느라 죽을뻔했대요
    취사누르면 밥하는것처럼 되는게 아니고 물이 끓는거기 때문에 난리난대요

  • 12. 아이구야
    '14.3.4 11:38 AM (115.126.xxx.100)

    덧글을 보면 볼수록 점점 엿기름가루는 냉동실로 직행하는 쪽으로~~~~ ㅠㅠ

  • 13. ...
    '14.3.4 11:39 AM (61.79.xxx.13)

    모ah님..
    밥솥의용량 초과하신거 아닐까요?
    제가 본 블로그에서는 밥솥의반정도 하던걸 봐서요..

  • 14. 가짜조청
    '14.3.4 11:49 AM (180.228.xxx.9)

    마트에서 파는 유명 식품회사 조청 "재래식 방식, 국산쌀 100%조청"에 샀는데...
    아무 맛도 없고..
    후라이팬에 조금 묻은 조청 설거기할려고 물을 담아 놨더니 물이 완전 갈색..물감으로 염색 잔뜩한 가짜 조청이었어요.

  • 15. 엿기름은
    '14.3.4 11:55 AM (223.62.xxx.3)

    그냥 식혜 만드시고

    조청은 사다 쓰세요 .. 한살림꺼 맛있던데요
    진짜 옛날 조청맛 ㅎㅎ 비싸지만 하루종일 그거 고으는 공이나 가스값 생각하면 -_-;;;
    다른 생협이나 유기농 매장에도 그런것 있겠죠??

  • 16. 가짜조청님
    '14.3.4 12:16 PM (211.186.xxx.187)

    그거 어디서 나온 조청인지 알수 있을까요?

    저 마트에 파는 오*기 조청 사다 먹거든요
    혹시 그건가 해서요

  • 17. ㅇㅇ
    '14.3.4 12:45 PM (124.5.xxx.36)

    가짜조청님 저도 궁금해요. 어디꺼예요? 저도 윗분처럼 그 제품 사다먹는데요.

  • 18. 밥솥에
    '14.3.4 1:34 PM (223.62.xxx.18)

    식혜 끓이기 전까지 만들어서 슬로우 쿠커에 넣고, 뚜껑 열어 놓고 계속 졸이면 조청돼요.

  • 19. 조청
    '14.3.4 4:56 PM (116.33.xxx.166)

    조청 만들기 어렵던데요
    아무리 끓여도 걸쭉 하기만하고

  • 20. 김흥임
    '14.3.4 5:52 PM (112.159.xxx.4) - 삭제된댓글

    제가 일하며 남는밥으로 허구헌날만들어 퍼돌리는조청
    요즘은 우찌나 세상좋은지
    고두밥이니뭣이니도 필요없고

    그냥 밥에 엿기름 확질러 휘훠섞어 보온해두면 밤사이 알아서
    삭습니다
    그건지 건져 국물알뜰히짜모아 다시 잘씻은밥통에 붓고
    뚜껑열어둔체 (꼭기억하실일) 취사눌러두면 알아서 졸아듭니다

    농도헛갈린다싶으면 적당히걸죽할때 불꺼 식혀보면 뚜거울때랑달리
    농도가늠이됩니다

    묽다싶으면 역시 뚜껑열어둔체 좀더 조려주면 완성
    생각보다 양 많이 나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7255 그것이 알고싶다 세월호 2부 합니다 4 심플라이프 2014/06/07 1,716
387254 김무성아웃! 최대의 유행어. 확인할 수 없습니다!! 7 부산영도구 2014/06/07 2,922
387253 진짜 한심하네요 수원대 사학비리 1 추적60분 2014/06/07 2,712
387252 놀이터에서 위험하게 노는 남의 아이(비위 약하신 분 패스) 1 4학년 2014/06/07 1,795
387251 (닭아웃) 시장치킨이 제일 맛있네요 2 ㅁㅁ 2014/06/07 1,637
387250 집에서 만든 청국장 생으로 먹어도 되나요? 고픈배 2014/06/07 1,675
387249 김무성 딸 대단해요. 30 2014/06/07 20,710
387248 ebs 세계명화는 인터넷 실시간으로 방송 못보나요. 4 아깝네요 2014/06/07 2,087
387247 스텐 궁중팬 추천해주세요 5 Sky 2014/06/07 4,391
387246 완두콩을 씻어서 냉동하나요 8 브라운 2014/06/07 1,960
387245 지금 책 뭐 보세요? 26 심심.. 2014/06/07 2,781
387244 배가 아플 때는 병원 어떤 곳으로? 2 mm007 2014/06/07 1,047
387243 추적60분. 교육부는 뭐하는겁니까?? 9 어휴 2014/06/07 3,145
387242 무릎 통증 잘 아시는 분.. 3 .. 2014/06/07 1,999
387241 의절한 친구 다시 만나볼까요? 7 40대 2014/06/07 3,952
387240 그것이 알고싶다. 세월호 참사입니다. 4 오늘 2014/06/07 1,896
387239 서울은 어디가 살기가 좋은가요 26 좋은아침 2014/06/07 9,454
387238 추적 60분에 4 .. 2014/06/07 3,436
387237 저기..노래 하나만 찾아 주세요. ㅠ.ㅠ 4 알리자린 2014/06/07 1,108
387236 오늘 그것이 알고 싶다 세월호2편합니다 4 산이좋아 2014/06/07 1,420
387235 일본어 인터넷 페이지가 해석이 안되네요... 5 ... 2014/06/07 990
387234 다문화 시어머니들 보면 답답해요 11 다른 건 그.. 2014/06/07 5,761
387233 요즘 기기변경할 때 뭘 잘 봐야할까요? 1 핸드폰 2014/06/07 1,168
387232 80년대남자가수이름 26 가물가물 2014/06/07 23,519
387231 좋은 집을 찾긴 했는데 이사갈지 고민이에요 4 동네 2014/06/07 1,906